초록

이 연구는 주인공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서사적 비중이 작은 주변 인물의 이본 전승 과정에서의 변이 양상을 살피고 그 의미를 찾는 데 목적을 둔다. 주인공들의 변이와 달리 주변 인물의 변화에는 향유층의 특정한 의도가 자리하고 있을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이다. 판소리(계 소설)의 방자는 작품의 주변 인물이기는 하지만, 작중 인물과 사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서사의 안내자 역할을 하고, 이 도령과 같은 양반 계급의 봉건적 관념과 행동에 대하여 풍자하고 조롱함으로써 희극미를 창출하는 데 기여하는 인물로 평가 받아 왔다. 이에 <춘향전>의 이본을 통해 방자가 어떠한 모습으로 향유자들에게 인식되어 왔는지, 그 의미는 무엇인지를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춘향전> 이본들에서 방자가 등장하고 있는 단위담은 만남담, 이별담, 재회담으로 초기 이본에서는 대체로 만남담에만 등장하여 이 도령과 춘향의 만남과 초야를 주선한다. 이별담에서는 두 사람의 이별을 재촉하고 이 도령을 따라 상경한다. 재회담까지 방자가 등장하는 이본들은 주로 창본 계열로 춘향의 편지를 이 도령에게 전달하고 이후 어사로 인해 옥에 갇히기도 한다. 이상의 양상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삽화 변이의 방향과 의미는 우선, ‘방자’가 하나의 인물 혹은 인물형으로서의 위상을 획득하게 되면서 향유자들은 그를 인간적이고 반규범적인 인간형으로 파악하는 것에 주목하여 왔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춘향전> 이본에서 방자의 역할 확대는 마부나 통인, 농부 등의 인물들을 수렴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졌으며 창본에서 그가 출현하는 비중이 증대되는 것은 연극성의 확대와 관련지어 생각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방자가 등장하는 삽화나 장면들의 양적 비중은 확대되지만 작중 역할이나 기능이 증대되었다고는 볼 수는 없다. 왜냐하면 방자의 안내자로서의 기능은 강화되지만 그의 비판자로서의 기능은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키워드

판소리(계 소설), <춘향전>, 이본, 방자, 주변 인물, 향유자, 단위담, 삽화에서의 변이

참고문헌(23)open

  1. [단행본] 김진영 / 1997 / 춘향전 전집 1 / 박이정

  2. [단행본] 김진영 / 1997 / 춘향전 전집 2 / 박이정

  3. [단행본] 김진영 / 1997 / 춘향전 전집 3 / 박이정

  4. [단행본] 김진영 / 1999 / 춘향전 전집 8 / 박이정

  5. [단행본] 김진영 / 1997 / 춘향전 전집 4 / 박이정

  6. [단행본] 김진영 / 1997 / 춘향전 전집 5 / 박이정

  7. [단행본] 김진영 / 2004 / 춘향전 전집 13 / 박이정

  8. [단행본] 김진영 / 2004 / 춘향전 전집 14 / 박이정

  9. [단행본] 김진영 / 2004 / 춘향전 전집 12 / 박이정

  10. [단행본] 김진영 / 2004 / 춘향전 전집 15 / 박이정

  11. [단행본] 김진영 / 1999 / 춘향전 전집 9 / 박이정

  12. [단행본] 김진영 / 2004 / 춘향전 전집 11 / 박이정

  13. [단행본] 김진영 / 2001 / 춘향전 전집 10 / 박이정

  14. [학술지] 柳振漢 / 1992 / 晩華本 春香歌 / 판소리연구 3

  15. [학술지] 곽정식 / 1990 / 춘향전 개작에 따른 방자의 작중기능 변이양상 / 한국문학논집 11

  16. [단행본] 권두환 / 1978 / 한국소설문학의 탐구 / 한국고전문학회

  17. [학술지] 김종철 / 1999 / 춘향전 교육의 시각 (1) / 고전문학과 교육 1

  18. [학술지] 김현룡 / 1978 / 고소설의 방자 소재 / 국어국문학 79

  19. [학술지] 김흥규 / 1978 / 방자와 말뚝이 : 두 전형의 비교 / 한국학논집 5

  20. [학술지] 박영철 / 1978 / 방자의 민중의식과 한계 : <열녀춘향수절가> <배비장전>을 중심으로 / 국어국문학 15

  21. [학위논문] 서보영 / 2017 / 고전소설 삽화 재구성 교육 연구-<춘향전>이본을 중심으로

  22. [학술지] 정출헌 / 1993 / 춘향전의 인물형상과 작중역할의 현실주의적 성격, 이고본 <춘향전>을 중심으로 / 판소리연구 4

  23. [학술지] 최혜진 / 2016 / 춘향전 인물군의 사회적 성격 / 한국어와 문화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