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연구는 학습자들이 고소설 읽기 과정에서 겪는 문제 양상에 대한 조사 연구다. 이를 위해 충남 소재 N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미시적 접근을 통해 연구를 수행하고, 읽기 과정 중 겪고 있는 문제 양상을 텍스트와 학습자 측면에서 고찰했다. 학생들의 읽기 수행 과정에서 나타난 흥미의 결여 문제는 고소설 텍스트를 단순히 옛것으로 취급하면서 나타나는 심리적 거리의 문제로 귀결됐다. 더불어 지식적 차원에서부터 출발하는 흥미 진작의 필요성에 대해 논했다. 또 학습자 스스로 고소설 읽기로부터 이탈시키고 있는 현상과 이를 읽기 실패 경험과 텍스트에 대한 인지적 부조화의 측면에서 살폈다. 학습자들의 읽기 실패는 이전의 실패 경험과 연관이 있었다. 이것들은 모티프 이해의 실패로 표면화되는데, 이는 텍스트 자체에 대해 심리적 연관성이 없는 경우나, 고소설에 대한 편견 때문이었다. 하지만 고소설에 대해 학습자들이 갖고 있는 프레임은 학습자의 해석적 권위의 신장을 통해 해석적 다양성을 발생시킬 수 있는 기제다. 읽기 몰입을 방해하는 요소로 학습자들은 현대의 소설 언어와의 상이성, 장르적 이질성, 화행 파악의 어려움, 어휘 차원의 분석적 의미 이해의 실패 등을 말했는데, 실제로는 이미 제시된 텍스트 상에서 극복이 된 문제였다는 점에서, 이 문제를 학습자들이 적응한 교사 일방의 의미구성 때문으로 파악했다. 학습자가 갖고 있는 기대지평과 어긋나는 경우도 학습자들은 문제시하고 있었는데, 학습자 내적 원인이 읽기에 대한 부정적 태도와 관계가 있었다. 하지만 이는 현대 독자들의 해석적 지평 속에서 파악할 수 있는 교육적 계기로 작용할 수 있다. 학습자들이 겪고 있는 문제들은 대체로 텍스트 자체의 문제라기보다는 심리적 차원에서의 문제들이었으며, 이는 고소설 교육의 발전적 논의 속에 긍정적으로 고려되어야할 지점으로 파악했다. 고소설이 학습자에게 ‘포기하고 싶은 텍스트’로부터 ‘읽고 싶은 텍스트’로 변화하기 위해서는 교수·학습 상황에서의 학습자의 해석적 권위가 높아져야 한다. 또 이를 위해서는 교수·학습 장면에서 경험서사와 텍스트의 연관성을 높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 교육과정의 재구성과 교사들의 자율성 역시 제고되어야 한다.

키워드

고소설 읽기, 읽기 과정, 읽기 실패, 모티프, 텍스트 지식, 해석적 권위, 해석 주체

참고문헌(31)open

  1. [단행본] 강봉근 / 2013 / 고전소설 교육론 / 역락

  2. [학술지] 강상순 / 2014 / 고소설 해석의 방법과 윤리에 대하여- 몇 가지 단상과 제언 / 고소설연구 (38) : 5 ~ 36

  3. [학술지] 김경남 / 2012 / 고전 독서에 대한 연구 경향과 고전 교육 연구가 나아갈 길 ―1990년대 이후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을 대상으로 / 한국민족문화 (44) : 31 ~ 59

  4. [학술지] 김종철 / 2001 / 국문학연구의 문화적 패러다임 : 문학교육의 문화론적 관점 / 국문학과 문화 (단일)

  5. [학술지] 김종철 / 2011 / 고전소설 이해 교육 연구 -중고등학교 학습자의 삽화 이해를 중심으로 / 국어교육연구 (27) : 331 ~ 398

  6. [학술지] 류수열 / 2013 / 고전시가 독서의 재미 요소 탐구-시조를 중심으로- / 고전문학과 교육 (26) : 5 ~ 29

  7. [단행본] 미셸 푸코 / 2001 / 주체의 해석학 / 동문선

  8. [단행본] 미하이 칙센트미하이 / 1999 / 몰입의 즐거움 / 해냄

  9. [단행본] 박영민 / 2003 / 과정 중심 비평문 쓰기 / 교학사

  10. [학술지] 서유경 / 2011 / 고전소설의 비판적 읽기를 통한 창의적 독서 결과 표현 연구 -<심청전>의 개작본 <몽금도전>을 중심으로- / 독서연구 (26) : 413 ~ 440

  11. [학술지] 서인석 / 2006 / 영웅소설 연구사의 담론들-논쟁과 편견 / 韓國古典硏究 0 (14) : 41 ~ 70

  12. [학술지] 신재홍 / 2013 / 고전 소설의 재미 찾기 / 고전문학과 교육 (26) : 31 ~ 59

  13. [학술지] 우한용 / 2014 / 문학교육의 문화론적 관점에 대하여 / 교육논총 34

  14. [단행본] 임경순 / 2003 / 문학의 해석과 문학교육 / 역락

  15. [학술지] 임재일 / 2015 / 자유학기제 연구학교의 학생평가 특징 분석 / 교육과정평가연구 18 (3) : 233 ~ 255

  16. [학술지] 장경남 / 2010 / 고등학교 교과서로 본 고전소설 교육의 문제와 제언 / 우리문학연구 (31) : 177 ~ 204

  17. [학술지] 이광오 / 2010 / 문식성 발달에 대한 인지심리학적 접근 / 한국초등국어교육 (42) : 51 ~ 72

  18. [학술지] 조희정 / 2008 / 고전 시가의 서정적 체험 연구- 윤선도의 <만흥>을 중심으로 - / 국어교육 (126) : 445 ~ 475

  19. [학술지] 조희정 / 2015 / 고전시가 감상 국면의 재미 흥미 의미 - <백설이 자자진 골에>의 감정이입과 공감 체험을 중심으로 / 고전문학과 교육 (29) : 5 ~ 43

  20. [단행본] 조희정 / 2011 / 고전문학 교육 연구 / 한국문화사

  21. [단행본] 존 켈러 / 1999 / 매력적인 수업 설계 / 교육과학사

  22. [학술지] 최광석 / 2001 / 학습자 인식을 통한 고전소설 교육 방향의 모색 / 문학과 언어 23

  23. [학술지] 최인자 / 2008 / 디지털 시대, 문학 고전 읽기 방식 -고전 변용 텍스트의 상호매체적,상호문화적 읽기를 중심으로 / 독서연구 (19) : 97 ~ 128

  24. [학술지] 최지현 / 1998 / 문학감상교육의 교수학습모형 탐구 / 선청어문 26

  25. [학술지] 최호석 / 2014 / 고전소설 교육의 소통을 위한 제언 -2011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문학』교과서의 제 문제- / 한어문교육 30 : 5 ~ 26

  26. [학술지] 한수영 / 2012 / 독서문화의 변화와 고전 읽기 교육 / 어문론집 (52) : 203 ~ 224

  27. [학술지] 허왕욱 / 1999 /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고전문학교육의 방향 / 한어문교육 7

  28. [학술지] 황혜진 / 2006 / 서사텍스트의 주제 진술 방식 연구 / 독서연구 (15) : 457 ~ 487

  29. [단행본] J. 하버마스 / 1982 / 이론과 실천 / 종로서적

  30. [단행본] John Dewey / 1913 / Interest and effort in education / HOUGHTON MIFFLIN CO

  31. [학술지] Terri Flowerday / 2004 / The Role of Choice and Interest in Reader Engagement / The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