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학교교육을 통한 향토예능의 실천 양상과 교사의 역할: 오키나와 현 야에야마 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The practice of folk arts through school education and the role of teachers: The case of Yaeyama Islands of Okinawa Prefecture

교육인류학연구
약어 : jae
2011 vol.14, no.2, pp.165 - 186
DOI : 10.17318/jae.2011.14.2.006
발행기관 : 한국교육인류학회
연구분야 : 교육학
Copyright © 한국교육인류학회
인용한 논문 수 :   -  
158 회 열람

이 글은 일본 오키나와 현 야에야마 지역의 고등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향토예능교육의 예를 통해, 향토음악교육이 지역사회와 불가분한 관계를 맺고 있는 양상과 교사가 문화의 ‘매개자’로서 하는 역할이 학교교육에서 이루어지는 향토음악교육에 중요한 통로를 제공함을 보여주고자 한다. 야에야마 지역에서 이루어지는 향토음악 교육은 주로 교사들에 의해 조직적으로 활성화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야에야마 지역의 ‘전통’이 보존 및 계승되리라는 기대 역시 높았다. 즉 교사가 문화의 ‘매개자’로서의 역할은 야에야마 지역에 있는 예능을 변용시키며, 학교교육의 범주를 넘어서는 교육활동을 만들어 내고 있다. 또한, 동아리 활동은 일반적 동아리 활동의 범주를 넘어서 마을제사에 예능을 봉납하는 중요한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 이것은 단순히 향토예능을 계승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이 자라면서 지역주민, 즉 공동체 성원으로서 자신을 인식해 가는 기회로 연결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는 지역과 학교를 위한 쌍방의 향토음악 및 예능의 계승은 지속적인 지역행사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향토 예능의 계승과 보급 및 발전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case of the folk arts education at high schools in Yaeyama Islands of Okinawa Prefecture to demonstrate the inseparable relationship between the folk music education and the local society and the role of teachers as cultural 'mediators' in the folk music education in school curriculum. The folk music education in Yaeyama Islands was mainly organized and revitalized by school teachers. Such situation led to a higher expectation of the preservation and succession of the Yaeyama 'tradition'. In other words, their role as cultural 'mediators' transformed the folk arts of Yaeyama, and their educational activities extended beyond the school gates. Also, the club activities crossed the category of ordinary club activities and included the performance of arts in the community jesa ritual. This means more than the succession of folk arts but also the recognition of one's membership in the community as local residents among the students. In the final analysis, as the club activities became part of continuous local events, the folk arts education seem to influence the succession, propagation and development of folk arts.

학교교육, 향토음악교육, 지역 사회, 문화의 ‘매개자’
school education, folk arts education, local society, cultural 'mediator'

  • 1. [단행본] 沖原豊 / 1978 / 沖縄の教育 / 第一法規出版株式会社
  • 2. [단행본] 加藤富美子 / 2000 / 地域の音楽の学習における学校の教育力─沖縄・小浜島の一教師と教え子たちのラ イフストーリーを通して─, in 音楽教育の理論研究,音楽教育学研究 : 136 ~
  • 3. [단행본] 小島美子 / 1976 / 日本の音楽を考える / 音楽之友社
  • 4. [학술지] 仲田盛 / 1978 / 新学習指導要領・音楽の批判的検討─とくに沖縄における"郷土の音楽"の継承と結び について─, / 季刊国民教育 (35) : 137 ~ 35
  • 5. [단행본] 仲松弥秀 / 1978 / 古層の村・沖縄民俗文化論 / 沖縄タイムス社
  • 6. [기타] 三島わかな / 2009 / 近代沖縄における音楽教育観の変遷─雑誌, in『琉球教育』.『沖縄教育』の分析を通 して─,ムーサ / 沖縄県立芸術大学音楽学研究誌 : 65 ~
  • 7. [단행본] 琉球政府文化保護委員会監修 / 1972 / 沖縄文化史事典 / 東京:東京堂出版.
  • 8. [단행본] 渡邊欣雄 / 1985 / 沖縄の社会組織と世界観 / 新泉社
  • 9. [기타] / 2009 / 沖縄県高等學校文化連盟郷土芸能専門部資料
  • 10. [기타] / 2006 / 沖縄県文化協会 / 沖縄県文化協会
  • 11. [기타] / 1986 / 創立二十周年記念誌編集委員会 琉球大学八重山芸能研究会創立二十周年記 八重山芸能と私たち
  • 12. [기타] / 1983 / 八重山毎日新聞, 1983년 2월 22일 기사
  • 13. [기타] / 1998 / 琉球大学八重山芸能研究会 / 琉球大学八重山芸能研究会