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1986년 처음 발표된 해러웨이의 「사이보그 선언문 」은그후 “사이보그 ”를 혼종적 주체의 비유로 자리잡게 했다. 그 이후 해러웨이는 사이보그를 재형상화하고 다른 “자매 ”형상들을 덧붙임으로써, 사이보그 형상화 작업의 의미를 더 풍부하게 만들려고 노력해 왔다. 여성 인간 ⓒ, 앙코마우스 TM등은 제2 천년의 기술과학문화가 주조하는 현실을 증언할 수 있는 사이보그의 자매들로 소개되었다. 이 글은 해러웨이의 수사학을 적극적 해석하면서 그것에 담긴 이론적 함의를 재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러웨이에게 형상화는 기존의 기술과학 담론에 대한 대항 담론을 구성하기 위한 전략이다. “사이보그와 그 자매들 ”은 지배적인 기술과학 담론 안에서 보이지 않게 된 권력들, 그리고 그 권력에 의해 이익을 얻거나 고통을 당하는 존재들을 드러내기 위한 수사적 장치이다. 형상화와 더불어 “아이러니”는 해러웨이에게 “상황적 지식 ”을 효과적으로 묘사하고 설득하기 위한 글쓰기전략이다. 이 글은 해러웨이의 수사적 장치들이 지배적인 기술과학 담론에 대한 대안서사를 제시하고, “포스트휴먼 ”현실 세계를 보다 복잡하고 혼종적인 시선으로묘사하는 도구들이라는 점을 밝히고자 한다.

키워드

도나 해러웨이, 사이보그, 형상화, 아이러니, 상황적 지식, 포스트휴먼수사학

참고문헌(20)open

  1. [단행본] 김애령 / 2013 / 은유의 도서관: 철학에서의 은유 / 그린비

  2. [학술지] 노희직 / 2006 / 독일 낭만주의 수사학에 있어서 아이러니 / 수사학 7 (5) : 79 ~ 105

  3. [단행본] 뮈크, D. C. / 1986 / 아이러니 / 서울대학교출판부

  4. [학술대회] 박진희 / 2005 / 페미니즘과 과학기술: 현대 기술에 대한 세 가지 입장을 중심으로 / 한국과학기술학회 강연 자료 : 53 ~ 64

  5. [단행본] 벨러, 에른스트 / 2005 / 아이러니와 모더니티 담론 / 동문선

  6. [단행본] 박진희 / 2009 / 테크노페미니즘 / 궁리

  7. [단행본] 해러웨이, 다너 / 1997 / 사이보그, 사이버컬쳐 / 문화과학사 : 147 ~ 209

  8. [단행본] 해러웨이, 다나 J. / 2002 / 유인원, 사이보그, 그리고 여자: 자연의 재발명 / 동문선

  9. [단행본] 해러웨이, 다나 J. / 2005 / 한 장의 잎사귀처럼, 사이어자 N. 구디브와의 대담 / 갈무리

  10. [단행본] 해러웨이, 다나 J. / 2007 / 겸손한 목격자@제2의 천년. 여성인간ⓒ 앙코마우스TM를 만나다 / 갈무리

  11. [학술지] 현남숙 / 2012 / 사이보그수사학에 나타난 몸의 형상화 / 한국여성철학 18 : 39 ~ 68

  12. [단행본] 헤일즈, 캐서린 / 2013 / 우리는 어떻게 포스트휴먼이 되었는가: 사이버네틱스와 문학, 정보 과학의 신체들 / 플래닛

  13. [학술지] Bartsch, Ingrid / 2001 / Witnessing the Postmodern Jeremiad: (Mis)Understanding Donna Haraway’s Method of Inquiry / Configurations 9 (1) : 127 ~ 164

  14. [학술지] Bastian, Michelle / 2006 / Haraway’s Lost Cyborg and the Possibilities of Transversalism / Signs 31 (4) : 1027 ~ 1049

  15. [학술지] Gane, Nicholas / 2006 / When We Have Never Been Human, What Is to Be Done? : Interview with Donna Haraway / Theory Culture Society 23 (7-8) : 135 ~ 158

  16. [단행본] Gray, Chris Hables / 1995 / The Cyborg Handbook / Routledge

  17. [학술지] Hayles, Katherine / 2006 / Unfinished Work: From Cyborg to Cognisphere / Theory Culture Society 23 (7-8) : 159 ~ 166

  18. [단행본] Harasser, Karin / 2011 / Donna Haraway: Natur-Kulturen und die Faktizität der Figuration / VS Verlag : 580 ~ 594

  19. [단행본] Haraway, Donna / 2004 / The Haraway Reader / Routledge : 47 ~ 61

  20. [단행본] Spoel, Philoppa / 1999 / The Changing Tradition: Women in the History of Rhetoric / University of Calgary Press : 199 ~ 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