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1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글은 하나님의 악과 선에 대한 거시적 담론으로서 신정론이 가지는 다원성과 모호성을 평가하고, 이러한 거시적 신정론을 중심으로 하나님에 대해 알고 믿고 있는 한국교회 공동체의 현실을 명확하게 드러냄을 통해 오늘날 신정론 담론의 공동체와 구성원인 한국교회 공동체에 필요한 미시적 신정론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손호현이 정의한 구약성서에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신정론 유형과 오늘날 한국교회 공동체의 하나님 이해는 동일하다는 전제와 함께 그 안에서는 다원성과 모호성이라는 갈등과 긴장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명확한 이해와 결정을 제시할 수 없다는 한계를 인지한다. 신정론 담론의 공동체로서 한국교회는 현대사회의 종교의 흐름에 적합하고 필요한 요구에 중얼대고 머뭇거림으로라도 응답하는 것이 현재를 살아가는 신정론 담론의 공동체로서 한국교회의 사명이라고 여기며 겸손한 삶과 마음과 자세로 변증의 의무를 수행하기 위해 거대한 담론에 맞서는 미시적 신정론을 제안한다. 미시적 신정론은 손호현이 신정론의 세 가지 전제로 제시한 신정론 담론의 공동체, 신정론의 변증목적, 신정론의 성공 척도에 따라 증명된다. 인간 중심적이고 사사화된 한국교회 공동체와 구성원의 현실에서의 하나님 이해는 선악의 존재와 선악의 지배와 선악의 균형에 대한 세심하고 밀접한 이해를 가진 신정론이 필요하며, 이로써 교회 공동체와 성도는 풍성하고 건강하고 성숙된 신앙을 소유하게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valuate the pluralism and ambiguity of the theodicy as a macroscopic discourse on God’s evil and good, and to present the microscopic theodicy necessary for the Korean church community, which is a member of the theology discourse today. It recognizes the limitations of not being able to present clear understanding and decisions because of the conflict and tension between pluralism and ambiguity, along with the premise that the representative theodicy type and God’s understanding in the Old Testament defined by Son Ho-hyun are the same. As a community of theodical discourse, the Korean church considers it the mission of the Korean church to mutter and hesitate to respond to the needs of modern society’s religious flow and proposes Microscopic theodicy against the great discourse to fulfill its duty of dialectic with a humble life, mind, and attitude. Microscopic theodicy is proved according to the community of the theological discourse, the purpose of the dialectic of the theological theory, and the success scale of the theodical theory presented by Son Ho-hyun on the three premises of the theodical theory. The understanding of God in the reality of human-centered and private Korean church communities and its members requires a meticulous and close understanding of the existence of good and evil, the domination of good and evil and the balance between good and evil, and the individualism of the church community and its members will be overcome and have a healthy faith.

목차

한글 초록
Ⅰ. 들어가는 말
Ⅱ. 신정론 이해
Ⅲ. 한국교회와 신정론
Ⅳ. 한국교회를 위한 신정론 이해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3-230-001329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