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유학사상은 다른 어떤 사유체계보다 인간의 윤리를 실현하는 문제에 대해 다양한 설명과 답변을 준비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유학적 전통에서 언제나 인간학적 윤리가 자연과학적 진리보다 중요시되는 것으로 인정된다. 공자, 맹자 이후 주요 유학사상가들과 주자를 위시한 성리학자들은 인간사회에서의 윤리적 행위와 그 정당성를 설명하고 추구하는 철학적 근거와 논리를 찾아내기 위해 노력한 사람들이다. 이런 점에서 유학자들은 엄밀한 의미에서 철학자라고 정의되기 보다는 윤리학자의 역할을 수행하였다고 볼 수 있으며, 춘추전국시대에 태동한 유학사상은 송대 성리학을 거치면서 한층 내용적인 면에서 깊이가 더해졌다. 이 논문은 공맹 이후의 유학의 전통적 윤리이론과 성리학 내지 주자학의 도덕이론을 살펴보고 주자학이 한반도에 깊은 영향을 주는 시기에 활약한 寒岡 鄭逑의 윤리이론의 구조와 특성을 ‘敬’과 ‘義’의 측면에서 고찰한 것이다. 유학사상은 현실 사회에서의 윤리도덕의 실현을 이상으로 여긴다. 따라서 인간이 현실사회에서 실현해야 할 윤리도덕에 대한 교육의 측면을 강조하는 학문적 경향성을 보인다. 寒岡의 유학적 측면에서의 학문적 특성은 유학의 기본목표가 聖人之學에 있다. 나아가 그는 송대 성리학의 선구자인 정자와 성리학의 학문을 체계적으로 완성한 주자, 그리고 한국유학의 대표학자인 퇴계로 이어지는 학문적 계보를 잇고 있으며, 이들은 윤리도덕을 실현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敬’ 중심의 윤리이론을 폈다. 또한 한강은 현실사회의 義理를 추구한 남명 조식의 학문적 전통을 충실히 계승하는 하는 학문적 특성을 보여준다. 그는 퇴계와 남명의 사상을 연계하는 고리의 역할을 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寒岡은 관혼상제 등 현실사회에서 적용되는 예절의 절차를 정리하는 노력을 보여주는데, 禮의 현실적 실용성에 주목하였다는 점에서 사상사적으로 볼 때 퇴계와 남명의 학문을 종합 정리하여 이를 현실에 실현시키려고 노력한 윤리교육이론가이며 실천가라 할 수 있다.

키워드

윤리, 유학, 주자, 한강, 敬, 義

참고문헌(16)open

  1. [기타] / 論語

  2. [기타] / 孟子

  3. [기타] / 中庸

  4. [기타] / 荀子

  5. [기타] / 四書或問

  6. [기타] / 大學或問

  7. [기타] / 朱子語類

  8. [기타] / 1992 / 王陽明全集(卷三) ,語錄三 / 上海古籍出版社

  9. [단행본] 鄭 逑 / 1978 / 寒岡全書 / 景仁文化社

  10. [기타] 鄭 逑 / 寒岡集, in: 韓國文集叢刊 53 / 民族文化推進會

  11. [학술지] 林宗鎭 / 2001 / 寒岡 鄭逑의 修養論 / 東方禮學 (6)

  12. [기타] 友枝龍太郞 / 朱子の學問論, 朱子學大系(卷 1), 朱子學入門

  13. [학술대회] 도민재 / 2002 / 한강 정구의 학문과 예학사상 / 제15회 한국철학자대회보 남명학

  14. [학술지] 송준식 / 2000 / 한강 정구의 사회교육사상 / 남명학연구논총 8 (8)

  15. [학술지] 丁淳睦 / 1985 / 寒岡 鄭逑의 敎學思想 / 韓國의 哲學 (13)

  16. [단행본] Philip J. Ivanhoe / 2000 / Confucian Moral Self Education, Second Edition / Hackett Publishing Company,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