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사람들의 행동은 대부분 어떠한 심리과정을 거친 후에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도덕적 행동은 이러한 심리적 과정이 더욱 필요하다고 생각 되며, 가치 판단이 가장 대표적인 심리작용이라고 할 수 있다. 심리작용의 요소로 감정과 사고, 그리고 동기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세 가지 요소에 초점을 맞춰, 정약용의 맹자에 대한 윤리관을 살펴보고자 한다. 맹자가 말하고 있는 도덕적 행동은 인간의 본성에서 비롯된다. 인간은 어떠한 상황에서도 도덕적 감정, 즉 사단을 느낄 수 있으며, 이러한 감정을 토대로 도덕적 행위를 결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마음에서 어떠한 방향으로 행위를 결정하면, 이러한 행위를 끌고 갈 수 있는 기운, 즉 실천 에너지가 생기게 된다는 것이다. 정약용은 주희와는 달리 性을 嗜好로 보았다. 性이란 善을 좋아하고 惡을 싫어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性은 좋아하는 것을 추구하려고 하고 싫어하는 것을 회피하려고 하는 욕구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욕구가 실제로 드러나는 것이 사단이라는 감정이 된다. 사단은 善을 추구하려는 욕구를 지닌 개별적인 감정이라고 하겠다. 또 思란 ‘大體章’에서와 같이 미미할지라도 道心에서 나온 사단을 자각하고, 이를 기준으로 지각한 외부 대상이 大體에 이로운가를 판단하는 것이다. 정약용은 또 의지란 道心과 人心 모두에서 비롯될 수 있는 욕구로 보았다. 정약용의 견해대로『맹자』를 보게 되면, 도덕행동의 도출과정에서 개인의 도덕적 욕구가 주도적으로 관여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볼 때, 정약용은 형이상학에서 비롯된 권위에 도덕적 근거를 두는 윤리체계보다는, 개인이 자연스러운 도덕적 근거를 내재하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능동적으로 도덕적 주체가 될 수 있다고 하는『맹자』의 윤리관을 보다 더 잘 살린다고 할 수 있다. 또 이를 통하여『맹자』에서 윤리적 자아가 더욱 부각된다고 생각한다.

키워드

맹자, 정약용, 性嗜好, 욕구, 動機.

참고문헌(15)open

  1. [단행본] / 1998 / 경서 / 대동문화연구원

  2. [단행본] / 1989 / 사서대전 2 / 민족문화문고

  3. [단행본] / 1992 / 여유당전서 4 / 여강출판사

  4. [단행본] / 1998 / 맹자정의 / 중화서국

  5. [단행본] / 2007 / 주자어류 / 중화서국

  6. [단행본] 성백효 / 2009 / 맹자집주 / 전통문화연구회

  7. [단행본] 李篪衡 / 1994 / 맹자요의 / 현대실학사

  8. [단행본] 백민정 / 2008 / 정약용의 철학 / 이학사

  9. [단행본] 정일균 / 2000 / 다산 사서경학 연구 / 일지사

  10. [단행본] 전목 / 1997 / 주자학의 세계 / 이문출판사

  11. [단행본] 한국사상연구회 / 2009 / 조선유학의 개념들 / 예문서원

  12. [단행본] 성균관대학교 응용심리연구소 / 2005 / 인간의 마음과 행동 / 박영사

  13. [단행본] 조긍호 / 1998 / 유학심리학 / 나남출판

  14. [단행본] 한덕웅 / 2003 / 한국유학심리학 / ∑시그마프레스(주)

  15. [단행본] 윤사순 / 1998 / 한국의 성리학과 실학 / 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