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쓰기의 사고 과정은 학습의 사고 과정과 유사한 점이 많다. 이로 인해 쓰기는 학습을 위한 도구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학습의 도구로써 쓰기는 범교과적 글쓰기, 내용 영역 글쓰기 등 다양한 명칭으로 사용되는데, 본고에서는 쓰기가 학습의 전략적 도구로 활용된다는 측면에 주목하여 “학습을 위한 쓰기”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이제까지 학습을 위한 쓰기에 대한 국내 연구들은 1)이의 개념을 정립하는 연구들, 2)학습을 위한 쓰기를 적용한 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이뤄졌다. 그러나 학습을 위한 쓰기가 학습의 실행 과정에서 학습자들에게 어떻게 인식되고 있으며 가치를 가지는가에 대한 근본적인 고민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학교 현장에서 수행되고 있는 학습을 위한 쓰기를 학생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수행하고 있는지에 대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학교 2,3학년 학생 51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통해 학습을 위한 쓰기에 대한 인식과 실태에 대해 살펴보았다. 대표적인 내용교과인 사회와 과학에서 수행하는 쓰기에 대해 물었으며, 크게 1)학습을 위한 쓰기를 활용하는 것의 유용성, 적합한 쓰기 유형 등에 대한 인식, 2)내용교과에서 자주 사용하고 있는 쓰기 유형, 빈도, 길이, 학습을 위한 쓰기 활용의 실제 유용성에 대한 인식을 묻는 내용으로 설문 문항을 구성하였다. 이상의 자료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다수의 중학생들은 학습을 위한 쓰기를 유용한 학습 방법이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실제 활용에 있어서도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수업에서 자주 사용하고 있는 학습을 위한 쓰기 유형은 빈 칸 채우기, 짧은 답(단어, 문장) 적기, 수업 내용/교과서 요약하기와 같은 기계적 쓰기 활동이었으며, 완성된 글의 형태는 한 학기에 1-2회 정도만 수행하고 있었다. 셋째, 응답자들은 사회와 과학 교과에서 학습을 위한 쓰기 수행에 대해 ‘만족하지 않는다(불만족, 매우 불만족)’보다 ‘만족한다(만족, 매우 만족)’는 경향을 보였으나, ‘60%’ 정도의 학생들이 ‘보통’이라는 응답을 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교수학습 상황에서 학습을 위한 쓰기가 다양화되어야 하며, 고차원적 사고력을 향상시키는 유형의 쓰기가 적극적으로 사용되어야 함을 제언하고자 한다. 쓰기가 교수학습 방법으로써 가지는 가장 큰 강점은 학습자의 능동적인 인지 작용을 유도하여 종합적, 분석적, 비판적, 창의적 사고력을 극대화시켜 준다는 점이므로 다양한 쓰기의 형태를 각 교과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교수학습 목표에 적절히 활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학습자들이 학습을 위한 쓰기의 가치와 활용방안에 대해 알 수 있도록, 쓰기의 도구성에 대한 인식과 실제 활용 방안에 대한 지도가 국어 교과를 통해 보다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교육실행 측면에서 교육 수요자인 학생의 입장을 먼저 살펴보았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후속 연구를 통해 또 다른 수업 주체인 교사들의 학습을 위한 쓰기에 대한 인식 조사, 교재 분석과 수업의 관찰을 통해 학습을 위한 글쓰기가 수행 실태 분석이 이뤄진다면 학습을 위한 쓰기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 결과를 축적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키워드

학습을 위한 쓰기, 내용 영역 쓰기, 학습 방법으로써 쓰기, 범교과적 쓰기, 쓰기의 도구성, 쓰기에 대한 인식

참고문헌(39)open

  1. [학위논문] 강주연 / 2013 / 학습일지 쓰기 활동이 초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기주도적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2. [학술지] 김명순 / 2007 / 내용 영역 문식력의 특징과 지도 방향 / 새국어교육 (75) : 91 ~ 120

  3. [학술지] 김선민 / 2008 / 내용 영역의 쓰기에 관한 개념적 접근 / 한국초등국어교육 (36) : 115 ~ 144

  4. [학술지] 김하영 / 2013 / 사회과 인권수업에서의 성찰일지쓰기의 효과 분석 : 학업성취도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 시민교육연구 45 (3) : 81 ~ 102

  5. [학위논문] 김효숙 / 2002 / 지식 구성 능력 신장을 위한 범교과적 쓰기 지도 방안 : 초등학교 6학년 조사 보고서 쓰기를 중심으로

  6. [학술지] 남정희 / 2008 / 논의를 강조한 탐구적 과학 글쓰기(Science Writing Heuristic)의 중학교 과학 수업에의 적용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 (8) : 922 ~ 936

  7. [학술지] 방지원 / 2013 / 역사교육에서 ‘글쓰기 수업’의 실천과 연구 동향 / 역사교육연구 (17) : 107 ~ 150

  8. [학술지] 배희숙 / 2009 / 과학 탐구 능력 신장을 위한 과학 글쓰기 교수․학습 전략 개발 / 초등과학교육 28 (2) : 178 ~ 186

  9. [학술지] 손정우 / 2006 / 과학논술능력 향상을 위한 과학적 사고력에 근거한 과학글쓰기 교수법 / 교육과정평가연구 9 (2) : 333 ~ 355

  10. [학위논문] 송정윤 / 2013 / 교과 학습을 위한 내용 영역 글쓰기의 효과 연구 : 중학교 2학년 사회과 글쓰기를 중심으로

  11. [학술지] 신지현 / 2006 / 교과 문식성을 통한 국어과와 타 교과의 관계 / 한국초등국어교육 (31)

  12. [학술지] 안상희 / 2015 / 범교과적 글쓰기(WAC)를 통한 대학 글쓰기 교육 / 작문연구 (24) : 113 ~ 134

  13. [학위논문] 이계향 / 2005 / 학습일지 쓰기의 효과 연구

  14. [학술지] 이동원 / 1998 / 사회과 역사수업이서 글쓰기를 통한 역사적 감응의 신장 / 사회과교육 (31) : 159 ~ 190

  15. [학술지] 이순영 / 2011 / 21세기 국어과 교육과정 개정의 방향 탐색 -미국의 ‘공통핵심기준’의 특성과 시사점 분석을 중심으로- / 청람어문교육 (43) : 7 ~ 35

  16. [학위논문] 이정호 / 2011 / 범교과적 쓰기를 활용한 내용교과 문식성 신장 방안 연구

  17. [학위논문] 이주섭 / 1998 / 범교과적 쓰기 지도에 관한 연구

  18. [학위논문] 윤영주 / 2003 / 역사일기쓰기를 통한 추체험 역사학습 : 초등학교 6학년 1학기 사회교과서의 생활사 내용을 중심으로

  19. [학술지] 장은섭 / 2014 / 초·중·고등학생들의 쓰기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 새국어교육 (99) : 173 ~ 208

  20. [학술지] 조성만 / 2010 / 교과별 좋은 글의 기준 차이에 대한 분석 - 국어․사회․과학 교과를 중심으로 / 새국어교육 (86) : 353 ~ 378

  21. [학위논문] 최현철 / 2012 / 초등학교 교과서내 과학글쓰기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운영실태조사

  22. [학술지] Applebee, A. N. / 1981 / Research : Learning to write in the secondary school : How and where / The English Journal 70 (5) : 78 ~ 82

  23. [단행본] Applebee, A. N. / 1984 / Contexts for Learning to Write: Studies of Secondary School Instruction / Ablex Publishing Corporation

  24. [학술지] Bandura, A. / 1991 / Social cognitive theory of self-regulation /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50 (2) : 248 ~ 287

  25. [학술지] Emig, J. / 1977 / Writing as a mode of learning /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28 (2) : 122 ~ 128

  26. [단행본] Fisher, D. / 2011 / Improving adolescent literacy: Content area strategies at work / Pearson Higher Ed

  27. [학술지] Gagne, R. M. / 1984 / Learning outcomes and their effects : Useful categories of human performance / American Psychologist 39 (4) : 377 ~ 385

  28. [단행본] Guzzetti, B. J. / 2002 / Literacy in America: An encyclopedia of history, theory and practice / Abc-Clio Incorporated

  29. [학술지] Hall, L. A. / 2012 / The role of reading identities and reading abilities in students’ discussions about texts and comprehension strategies / Journal of Literacy Research 44 (3) : 239 ~ 272

  30. [학술지] Langer, J. A. / 1986 / Learning through writing : Study skills in the content areas / Journal of Reading 29 (5) : 400 ~ 406

  31. [학술지] Lawrence, J. F. / 2013 / Learning to Write in Middle School? / Journal of Adolescent & Adult Literacy 57 (2) : 151 ~ 161

  32. [기타] National Governors Association / 2010 / Common core state standards

  33. [학술지] Knipper, K. J. / 2006 / Writing to learn across the curriculum : Tools for comprehension in content area classes / The Reading Teacher 59 (5) : 462 ~ 470

  34. [학술지] Romine, B. G. C. / 1996 / Reading coursework requirements for middle and high school content area teachers : A US survey / Journal of Adolescent & Adult Literacy 40 (3) : 194 ~ 198

  35. [단행본] Soven, M. / 1996 / Write to learn: A guide to writing across the curriculum / South-Western Pub

  36. [단행본] Turbill, J. / 1982 / No Better Way to Teach Writing! / Primary English Teaching Association Ltd

  37. [단행본] Unrau, N. / 2004 / Content area reading and writing: Fostering literacies in middle and high school cultures / Prentice Hall

  38. [학술지] Wilcox, K. C. / 2014 / Adolescents' Writing in the Content Areas : National Study Results / Research in the Teaching of English 49 (2) : 168 ~ 176

  39. [학술지] Zimmerman, B. J. / 1994 / Impact of self-regulatory influences on writing course attainment /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1 (4) : 845 ~ 8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