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자본주의적 세계 안에 존재하지만 존재 의의는 불완전한 양상을 보이며, 극단적인 경우에 소거되기도 하는 대표적인 여성이 성매매(prostitution) 여성이다. 성매매를 성노예로 볼 것인가 아니면 성노동으로 볼 것인가에 대한 질문에 분명히 성노예로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세계는 매매춘 여성들을 비난한다. 그것은 도덕적 가치 기준과 법률의 범주에서 어긋나 있는 이들의 행위가 결코 사회적으로 용인되지 못하는 것이며, 사회악으로 은유화 되기 때문이다. 본고는 매매춘 여성의 삶을 정면에서 호명한 이연주의 「매음녀가 있는 밤의 시장」을 대상으로 이연주의 시에 형상화된 매매춘 여성의 삶과 자본주의적 세계의 상관성에 대한 구명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연주는 자본주의적 세계의 변방에 위치한 매매춘 여성과 그들의 삶을 재현하는 과정을 통해 세계와 인간에 대한 질문을 던지고 있다. 자본주의적 폭력이 지배하는 세계는 가족의 해체를 불러 가장 기본적인 사회 단위의 삶을 영위할 수 없도록 강제한다. 또한 해체된 가족으로 인하여 개별자로 전락한 인간, 특히 여성은 궁극에는 몸으로 자본을 창출할 수밖에 없는 매매춘 여성으로 전화된 삶을 살아가게 된다. 그러나 세계는 이 여성을 피해자로 인지하지 않고 도리어 부도덕하다는 낙인을 찍어 세계로부터 영원히 추방시키려는 의지만을 드러내거나, 이중적 가치관으로 매매춘 여성을 비난한다. 세계에 의해 매매춘 여성으로 낙인찍힌 여성의 삶은 질곡일 수밖에 없다. 세계는 매매춘 여성의 부도덕함을 비난하지만, 이들은 세계를 원망하지 않는다. 바로 이 지점이 이연주가 매매춘 여성을 통해 재현하려는 세계의 모순이다. 틀림없이 존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은밀히 감추려는 사회적 모순이 실재함을 재현하는 과정을 통해 세계를 조롱한다. 그 조롱의 주체가 세계에 의해 비난받던 매매춘 여성이라는 점은 의미심장하다.

키워드

이연주, 「매음녀가 있는 밤의 시장」, 자본주의, 매매춘, 매음녀, 조소

참고문헌(27)open

  1. [단행본] 이연주 / 1991 / 매음녀가 있는 밤의 시장 / 세계사

  2. [학술지] 김승희 / 2007 / 한국 현대 여성시의 고백시적 경향과 언술 특성-최승자, 박서원, 이연자를 중심으로 / 여성문학연구 18 (18) : 235 ~ 270

  3. [단행본] 한국여성연구소 / 2005 / 여성의 몸 : 시각·쟁점·역사 / 창비

  4. [단행본] 김형자 / 1996 / 한국현대문학의 성과 매춘 연구 / 태학사

  5. [단행본] 김홍탁 / 2003 / 광고, 리비도를 만나다 / 동아일보사

  6. [단행본] 다자키 히데야키 / 2006 / 노동하는 섹슈얼리티 / 삼인

  7. [단행본] 김형자 / 1996 / 한국현대문학의 성과 매춘 연구 / 태학사

  8. [학술지] 문선영 / 1992 / 추의 미 발견으로서 아웃사이더의 독백 / 오늘의 문예비평

  9. [학술지] 문희경 / 1992 / 바흐친의 카니발과 카니발 문학 / 현대 비평과 이론 (4)

  10. [단행본] 번 벌로 / 1992 / 매춘의 역사 / 까치

  11. [단행본] (사)성매매피해여성지원센터 살림 / 2006 / 너희는 봄을 사지만 우리는 겨울을 판다 / 삼인

  12. [단행본] 서울대 여성연구소 / 2006 / 성매매의 정치학 / 한울아카데미

  13. [단행본] 수잔 손택 / 2002 / 은유로서의 질병 / 이후

  14. [학위논문] 신정남 / 2006 / 이연주 시의 욕망의 표현 양상 연구

  15. [학술지] 양광준 / 2008 / 이연주 시의 공간 연구 / 비평문학 (30) : 43 ~ 58

  16. [단행본] 원미혜 / 2002 / 용감한 여성들, 늑대를 타고 달리는 / 삼인

  17. [학위논문] 윤향기 / 2009 / 한국 여성시의 에로티시즘 연구

  18. [단행본] 이성숙 / 2002 / 매매춘과 페미니즘, 새로운 담론을 위하여 / 책세상

  19. [학술지] 이승하 / 2000 / 자살한 시인이 남긴 시집-이연주론 / 작가세계 (가을)

  20. [학술지] 이재복 / 2000 / 몸과 죽음의 언어 : 이연주론 / 현대시학 (372)

  21. [단행본] 이효인 / 2003 / 영화로 읽는 한국사회문화사 / 개마고원

  22. [학술지] 임영선 / 2010 / 한국 여성시 비교 연구-이연주, 박서원의 시를 중심으로 / 문명연지 (25)

  23. [학위논문] 정순영 / 2009 / 여성시의 무당적 상상력에 관한 연구 : 김혜순·이연주·김언희 시를 중심으로

  24. [학술지] 정효구 / 1997 / 살기 위해서 선택한 죽음 : 이연주론 / 현대시학 (341)

  25. [단행본] 조국 / 2004 / 성매매-새로운 법적 대책의 모색 / 사람생각

  26. [단행본] 헨리 지거리스트 / 2008 / 문명과 질병 / 한길사

  27. [단행본] 홍성철 / 2007 / 유곽의 역사 / 페이퍼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