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한국어 학술텍스트에서 나타난 피동표현 및 저자 입장 연구-국어학과 전자공학 분야의 대조를 바탕으로-

Passive Voice and Stance Taking in Korean Academic Discourse

이중언어학
약어 : BR
2023 no.91, pp.69 - 100
DOI : 10.17296/korbil.2023..91.69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연구분야 : 언어학
Copyright © 이중언어학회
인용한 논문 수 :   -  
10 회 열람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학술텍스트에서 나타난 피동표현과 그것을 통해 드러내는 저자 입장을 살폈다. 국어학과 전자공학 분야의 학술지 논문 총 21편에서 피동표현의 출현 빈도를 유형별 및 논문 구조별로 살피되, 행동주와 텍스트 구조에 따라 피동표현을 통해 드러내는 저자 입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한국어 학술논문에서 피동표현 사용의 빈도가 국어학 논문이 25.94%, 전자공학 논문이 19.96%로 전공 분야에 따라 논문에서 피동표현의 쓰임이 다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결과 한국어 학술논문에서 피동표현 사용의 빈도가 국어학 논문이 25.94%, 전자공학 논문이 19.96%로 전공 분야에 따라 논문에서 피동표현의 쓰임이 다름을 확인할 수 있다. 피동표현의 유형별로 보면 두 개의 분야에서 모두 ‘서술성 명사+되-/받-/당하-’류 피동표현이 제일 높게 사용되었다. 논문구조별로 살펴봤을 때, 국어학 논문에서 피동표현의 사용 빈도가 '본론 >서론 >결론'의 순으로 높았고, 전자공학 논문에서 ‘연구결과 분석 >연구방법 >서론 >논의 및 결론 >(선행연구)’의 순으로 나왔다. 또한 본고에서는 텍스트의 응집성을 제고하거나 화용적으로 불필요한 행동주를 삭제하기 위해 피동표현이 사용된 경우를 구분하였고 저자의 입장을 드러내는 피동표현을 질적 텍스트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피동표현의 행동주를 저자 자신과 타인 등 두 가지의 경우를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행동주가 저자 자신인 경우, 주로 (1) 자신의 주장 및 의견을 제시하기, (2) 연구 과정(연구 절차, 연구 도구 등) 보고하기, (3) 데이터 및 연구 결과 해석하기, (4) 연구의 의의 및 전망 제시하기 등 맥락에서 피동표현을 선호된 것으로 보였으며, 행동주가 타인인 경우에는 주로 (1) 선행연구의 부족한 점 지적하기, (2) 연구 대상에 대한 비판적 관점 제시하기 등 맥락에서 피동표현이 사용된 것으로 나왔다. 본 연구 결과 다른 장르와 구분된 학술텍스트 고유의 피동표현의 기능을 살필 수 있었으며, 학문목적 학습자들이 학술논문에서 피동표현의 사용을 통해 저자 입장을 드러내는 것을 위한 기초 자료가 될 수 있다. 하지만 대상 말뭉치가 작고 특정 한두 개의 전공의 논문에 한정되었다는 점이 본 연구의 한계로 남는다.

This paper discusses passive voice usage and how authors reflect their stance through passive voice in Korean academic papers. While traditionally considered one of the distinctive features in academic writing, passive voice can reveal the author's stance by deleting or de-emphasizing the subject within a sentence. Based on an analysis of 21 published research articles from Korean language and electronic engineering disciplines, the results indicate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of using passive voice across disciplines. The findings also suggest that authors use passive sentences for different purposes depending on the agent. When the agents are the authors themselves, they use passive voice in four contexts: making claims, establishing a procedure, interpreting data and research results, and making predictions and suggestions. On the other hand, the authors prefer the passive voice in two contexts when the agents are the others: pointing out the shortcomings of previous studies and presenting a critical perspective on research subjects. Although the corpus of this research is small and limited to two specific majors, the results may help students understand or make a good choice to use passive voice. Furthermore, the results will help students on handling stance taking in academic papers.

입장, 한국어 학술논문, 피동표현, 말뭉치 기반 연구, 전공별 차이
stance, Korean research articles, passive, research based on corpus, disciplinary differences

* 2023년 이후 발행 논문의 참고문헌은 현재 구축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