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星湖 李瀷이 詩의 창작을 위해 주목했던 대표적인 방법으로 獨創性과 寫實性이 거론된다. 그러나 성호의 글을 보면 성호가 주목했던 독창성은 창작을 위한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형상화의 방법이 아니라 한 편의 시가 만들어내는 작가의 意境과 감정 또는 시의 내용이었다고 생각된다. 寫實性 역시 실질적인 형상화의 방법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眞實을 위한 수단으로 가치를 지닌다. 성호는 시 속에 구현된 개성적 意境과 대상의 眞實을 위해 독창성과 사실적인 묘사를 중시했지만 사실적 묘사가 眞實과 부합하지 않을 경우 언제든 부정될 수 있는 것으로 인식했다. 성호의 詩論은 詩文의 가치와 의미에 대한 성호의 의식이 구체화된 것이면서 동시에 그가 처했던 현실적 처지와 상황에 기반한 것으로, 독창성과 寫實的 묘사에 대한 성호의 깊은 고민의 결과 만들어 낸 자기만의 창작론이라고 할 수 있다. 결국 성호의 시론은 자신의 현실적인 상황과 처지를 기반으로 하여, 시의 본질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창작 방법에 대한 성호의 회의와 자득의 결과물이라는 점에서 星湖學의 일반적인 범주에서 설명이 가능하다. 성호의 시론은 구체적인 창작 방법이 될 수 없다는 점에서 본질적인 한계를 가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한계에도 불구하고 그의 시론은 성호 당대까지 본격화되지 못했던 사실적 묘사라는 창작 방법에 대한 본격적인 고민을 이끄는 계기가 되었고, 시 속에 무엇을 담고자 하느냐는 것에서 나아가 무엇을 담는 행위가 의미 있기 위해서는 어떻게 담아야 하는가 하는 고민으로 확장되었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성호 시론의 가장 큰 의미는 다음 세대를 위한 문을 열었다는 점에 있다.

키워드

星湖 李瀷, 詩論, 星湖學, 獨創性, 寫實性, 繪畫性

참고문헌(10)open

  1. [기타] 李瀷 / 星湖僿說 / 한국고전종합DB

  2. [단행본] 李瀷 / 1997 / 星湖全集 / 민족문화추진회

  3. [학위논문] 김남형 / 1984 / 星湖 이익의 文學論과 詩世界

  4. [학술지] 김인규 / 2012 / 星湖 李瀷의 修養論 − 學問態度와 窮理⋅涵養工夫를 中心으로 − / 퇴계학논총 (20) : 45 ~ 80

  5. [학위논문] 박용만 / 2000 / 이용휴의 시문학 연구

  6. [학위논문] 박준호 / 2000 / 혜환 이용휴 문학 연구

  7. [학술지] 윤재환 / 2017 / 星湖學의 槪念 定立을 위한 試論 -­ 적용의 가능성과 쟁점의 제시를 중심으로 ­ / 동양고전연구 (67) : 9 ~ 34

  8. [학술지] 이성무 / 2013 / 왜 또 성호학인가 / 성호학보 14 : 5 ~ 29

  9. [학위논문] 崔博光 / 1970 / 星湖李瀷의 詩論

  10. [학술지] 추제협 / 2011 / 星湖 李瀷의 窮理涵養功夫와 退溪學 / 한국학논집 (43) : 195 ~ 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