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4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청소년기 사이버괴롭힘 가해경험, 부모의 부정적 양육방식 및 도덕적 이탈의 구조적인 관계를 확인하고, 학생이 지각한 반괴롭힘(Anti-bullying) 학급규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탐색해보았다. 또한 이러한 조절된 매개 모형에서의 성별 및 학교급의 차이도 추가로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초등학교 7곳의 5~6학년 학생 229명, 중학교 6곳의 1~3학년 학생 251명, 총 480명(여학생 46.9%)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자기보고 방식을 활용하여 측정하였다. 먼저 PROCESS macro 분석을 통하여 부모의 부정적 양육방식, 자녀의 도덕적 이탈과 사이버괴롭힘 가해경험 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확인하고, 지각된 반괴롭힘 학급규준의 조절된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조절된 매개효과에서의 성별 및 학교급의 차이를 탐색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덕적 이탈은 부모의 부정적 양육방식과 자녀의 사이버괴롭힘 가해경험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였으며, 이때 부모의 부정적 양육방식은 도덕적 이탈을 통해 간접적으로 사이버괴롭힘 가해경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도덕적 이탈과 사이버괴롭힘 가해경험의 관계에서 지각된 반괴롭힘 학급규준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부정적 양육방식이 높은 수준 일 때, 자녀의 도덕적 이탈의 수준이 높아지고, 사이버괴롭힘 가해경험이 많이 나타나는데, 지각된 반괴롭힘 학급규준의 수준이 낮을수록 이러한 정적인 간접효과가 크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지각된 반괴롭힘 학급규준의 조절된 매개효과에서의 학교급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성별의 차이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추후 사이버괴롭힘 가해경험을 예방하기 위한 개입 방안 및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데 체계적이고 유용한 교육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check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yle, moral disengagement, and cyberbullying experience, and to explor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anti-bullying classroom norms. We also want to check the gender gap and school level.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 total of 480 (46.9% girls) studies on 229 students in grades five to six from seven elementary schools and 251 students in grades 1 to 3 from six middle schools. First,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methods, moral disengagement, and cyberbullying experience was confirmed through the PROCESS macro analysis. Additionally, the significance of the moderating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anti-bullying classroom norms was confirmed, and the gender difference and school-level mediating effect in these mediating effects were explored.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ral disengagement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negative parenting style at home and their experiences of cyberbullying appeared to have no effect on the experience. Seco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anti-bullying norm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 disengagement and the cyberbullying experience was confirmed to be significant, moral disengagement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negative parenting style at home and their experiences of cyberbullying, and appeared to have no effect on the experience. This study found that parents’ parenting style at home affected their experiences of cyberbullying directly and through moral disengagement. The mediating effect of this moral disengagement was moderated by the students’ perceived anti-bullying classroom norms, and this mediated effect differed by gender. Through this study, systematic and useful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provided for preparing interventions and programs to prevent future cyberbullying experience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3-370-0001056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