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3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초등 영어 학습에서 부호화 학습전략의 양상이 학습자의 영어과 학업 성취 수준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주된 연구 방법은 심층 면담에 기반한 질적 연구 방법이다. 즉,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5학년 학생 중 영어과 학업 성취도 평가 결과 고성취학습자와 저성취학습자를 선정하여 심층 면담을 시행한 후, 각각의 수준에 따라 부호화 학습전략을 사용하는 양상을 확인하였다. 학습전략에 대한 대부분의 선행연구는 고성취학습자가 저성취학습자보다 학습전략을 더욱 빈번히 사용한다는 것을 밝히는 데에 그쳤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고성취학습자와 저성취학습자의 부호화 전략은 차이가 있으나 공통성 또한 존재하였다. 고성취학습자는 시연과 인출 학습전략이 효과적이라 인지하였으며, 자신의 학습 양식에 알맞은 다양한 학습전략을 구사하였다. 저성취학습자의 경우에도 학습자 개인의 독자적인 학습전략이 존재하는 경우가 있었으며, 학습 시 어려움을 극복하기에 효과적인 방법을 주로 시도하였다. 그러나 영어 과목에 대한 낮은 자기 효능감 등 정의적 요인에 의해 자신의 학습전략에 대해 성찰하는 빈도가 낮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 도출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는 교수․학습 시 기본 내용을 시연과 인출을 통해 반복적으로 부호화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둘째, 학습자 수준에 따라 학습전략을 교사가 명시적으로 교수하여야 한다. 셋째, 교사는 저성취학습자가 자신의 부호화 학습전략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학습에 대한 성찰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usage of students’ encoding learning strategies and explore differences among their English competency levels. This study sampled and interviewed 5th graders with different English competency levels in elementary school. The results were analyzed and interpreted by qualitative logic to identify the strategies - rehearsal, organization, elaboration, and retrieval - they have been using while studying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in the high-competency group not only used a variety of their own learning strategies, but were also aware of the effectiveness of rehearsal and retrieval strategies. Second, since the high-competency group had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ir learning when they used learning strategies, they tried to seek support from teachers to actively learn these strategies during class. Unlike the results learning strategy studies usually display, the low-competency group also used their own learning strategies and tried to overcome their difficulties in studying. However, the low-competency group felt too emotionally insecure to think about strategies mainly because of low self-efficacy when learning English.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recommended that teachers teach learning strategies explicitly according to students’ competency levels, and provide them with opportunities to self-examine their usage of learning strategies when they study English.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56)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8-370-0019020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