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고는, 儒者 月峯 鄭希得이 정유재란 때 왜군의 포로가 되어 일본의 被虜 생활 중 스스로 경험한 것을 기록한 『海上錄』와 族姪인 유자 隱窩 鄭好仁이 동일한 사건을 필사한 『丁酉避亂記』에 관한 연구인 것이다. 월봉의 『해상록』과 은와의 『정유피란기』는, 선조 30년에 피난하다 왜군에 포로가 된 해(1597)로부터 일본에서 還國하던 해(1599)까지 대강을 적은 일기와 시문집으로, 사료적 중요성뿐 아니라 문학적 가치가 있는 문헌이다. 본고에서 필자는 『해상록』과 『정유피란기』에 나타난 피로인이 경험한 일본의 풍물과 일본인에 대한 인식아파주 일본인과의 교유 목적 그리고 儒者가 지녔던 정신 등의 내용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피로인이었기에 일본의 통신사나 수신사가 쓴 사행록과는 차이가 있었다. 피로인 유자들은 조선 중기 유자들이 지녔던 소중화주의적 사고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했고 왜국에 대한 적대적인 시각으로 그들의 문화를 바라보았다. 또한 정희득과 정호인은 왜국에서 일본인과의 교유 방법이 서로 달랐다. 정희득은 환국의 목적으로 그들과 시문을 수창하였지만, 정호인은 그들이 요구한 한시 창작의 요구를 일절 거절하면서 환국의 날을 기다렸다. 이와 같이 이들이 일본인과의 교유 방법은 달라지만, 그 목적은 환국이라는 동일한 것이었다. 이들이 결과적으로 환국할 수 있었던 정신은 충절은 저버리지 않는 선비精神이 있었기에 가능했던 것이다. 그들이 남긴 한시에는 소무고사와 향수를 통해 변함없는 충절을 보여준 선비정신이 반영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海上錄』과 『丁酉避亂記』를 대비한 결과 『丁酉避亂記』가 초간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키워드

해상록, 정유피난기, 피로인, 일본풍물, 전쟁, 교유관계, 환국 목적, 한시, 선비정신.

참고문헌(22)open

  1. [기타] 鄭希得 / 海上錄

  2. [단행본] / 1977 / 海上錄, 海行摠載 Ⅷ / 민족문화추진회

  3. [기타] 鄭好仁 / 丁酉八月日避亂記

  4. [기타] 李乙浩 / 1973 / 丁酉避亂記, 解題

  5. [기타] 鄭德休 / 1723 / 海上錄, 跋

  6. [기타] 鄭澗 / 1847 / 海上錄, 跋

  7. [단행본] / 海上錄, 海行摠載 Ⅷ

  8. [단행본] / 1981 / 宋刊本十三經注疏附校勘記, In 論語 / 藝文印書舘

  9. [기타] / 漢書, 藝文志

  10. [기타] / 漢書, 李廣蘇建列傳

  11. [기타] / 日本書紀, 本朝高僧傳

  12. [단행본] 금장태 / 2000 / 한국의 선비와 선비정신 / 서울대학교출판부 : 60

  13. [학술지] 윤인현 / 2009 / 『海行摠載』 所載 일본 기행시 考察 / 漢文學報 21 : 33 ~ 71

  14. [단행본] 李埰衍 / 1995 / 壬辰倭亂 捕虜實記 硏究 / 박이정 : 262

  15. [학술지] 이혜순 / 2001 / 睡隱 姜沆의 시적 사유와 그 의미 / 韓國漢文學硏究 27

  16. [단행본] 장경남 / 2000 / 임진왜란의 문학적 형상화 / 아세아문화사 : 223

  17. [학위논문] 張美敬 / 2003 / 宣祖朝 전쟁 체험 한시 연구-尹斗壽․鄭文孚․權韠․鄭希得을 중심으로

  18. [학술지] 장미경 / 2003 / 壬亂 被虜者의 捕虜體驗 漢詩硏究壬亂 被虜者의 捕虜體驗 漢詩硏究­鄭希得을 중심으로­ / 漢文敎育硏究 20 : 267 ~ 296

  19. [학술지] 장윤수 / 2009 / 소무蘇武의 충절의식이 한국문화에 끼친 영향 / 동양사회사상 (19) : 109 ~ 133

  20. [단행본] 정요일 / 2000 / 선비精神과 선비精神의 文學論,In 漢文學의 硏究와 解釋 / 일조각

  21. [학술지] 정훈식 / 2001 / 월봉해상록과 소무전 / 문창어문논집 38

  22. [단행본] 황패강 / 1992 / 임진왜란과 실기문학 / 일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