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先史 시대에는 주로 口傳이나 事物로 의사소통과 문화 계승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동아시아 文字의 창제 기원을 정확히 고증할 수는 없으나, 『周易』 「繫辭」 등에 河圖洛書․結繩․書契․八卦 등의 上古 문헌의 연원이 기재되어 있어, 이로 부터 文字에 의한 歷史 시대가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동아시아 儒家 經典인 『十三經』 중 『尙書』는 동아시아 最古이면서 最高의 문헌으로서, 公文書이면서 經學의 요체로서 古代 散文의 시초로 간주된다. 또한 古代의 역사․철학․문학의 원류로서도 평가 받고 있어서, 『尙書』에 대한 연구는 제반 학문 분야에서 다양하게 이루어져 오고 있다. 그러나 중국․일본에서 문헌학(서지학, 이하 문헌학)적으로 연구를 활발히 하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아직 한국에서는 『尙書』 고유의 문헌 내용․형식(형태)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尙書』의 원류로부터 『尙書』의 주요 注解書인 『尙書正義』․『書集傳』․『書傳大全』․『尙書注疏』를 중심으로 동아시아 『尙書』 연구의 흐름과 더불어, 經文에 대한 注解의 영향 관계와 간행 형태를 조사․비교하였다. 한국에는 上古시대로부터 이미 『尙書』가 존재한 것으로 여겨지는데, 古代시대에는 唐代 『尙書正義』․中世시대에는 宋代 『書集傳』․近世시대에는 明代 『書傳大全』․淸代 『尙書注疏』가 수용되어 간행․보급된 것으로 보인다. 이 중 한국본으로는 조선시대 국가적으로 공인된 注解書인 『書傳大全』만이 전해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에 대한 정밀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한편 현재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에서 『尙書』의 주요 공인된 注解書로는 크게 『尙書正義』․『尙書注疏』 계통과 『書集傳』․『書傳大全』 계통의 2종으로 볼 수 있는데, 이들 간의 원문서지학적 비교를 통해, 상호보완적 관계로서 『書集傳』․『書傳大全』 계통이 『尙書正義』․『尙書注疏』의 구성체제와 내용체제를 대부분 수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키워드

尙書, 書經, 尙書正義, 書集傳, 書傳大全, 尙書注疏

참고문헌(31)open

  1. [기타] / 三國史記

  2. [기타] / 三國遺事

  3. [기타] / 高麗史

  4. [기타] / 高麗史節要

  5. [기타] / 朝鮮王朝實錄

  6. [기타] / 承政院日記

  7. [기타] / 日省錄

  8. [기타] / 書集傳

  9. [기타] / 書傳大全

  10. [기타] / 尙書注疏

  11. [단행본] 姜廣輝 / 2003 / 中國經學思想史 제1권 / 中國社會科學出版社

  12. [단행본] 溝口雄三 / 2003 / 中國思想文化事典 / 민족문화문고

  13. [단행본] 김동주 / 2014 / 尙書正義 / 전통문화연구회

  14. [단행본] 金斗鍾 / 1974 / 韓國古印刷技術史 / 探求堂

  15. [단행본] 김학주 / 2012 / 새로 옮긴 書經 / 明文堂

  16. [단행본] 野間文史 / 2005 / 十三經注疏の研究: その語法と傳承の形 / 硏文出版

  17. [단행본] 野間文史 / 1998 / 五經正義の研究: その成立と展開 / 硏文出版

  18. [단행본] 劉起釪 / 1989 / 尙書學史 / 中華書局

  19. [단행본] 李民 / 2004 / 尙書譯注 / 上海古籍出版社

  20. [단행본] 蔣伯潛 / 2002 / 儒敎 經典과 經學 / 景仁文化社

  21. [단행본] 鄭傑文 / 2007 / 經學十二講 / 中華書局

  22. [단행본] 정인승 / 1957 / 이희승선생송수기념논총 / 일조각

  23. [단행본] Frank Hole / 1969 / An Introduction to Prehistoric Archeology / Holt, Rinehart and Winston, Inc : 35 ~ 36

  24. [단행본] 何耿鏞 / 1992 / 經學槪說 / 청아출판사

  25. [단행본] 천혜봉 / 2010 / 한국서지학 / 민음사

  26. [학술지] 이강범 / 2012 / 明代 ꡔ五經大全ꡕ 纂修의 배경과 經學史的 意義 / 중국어문학논집 (74) : 431 ~ 457

  27. [학위논문] 李忠九 / 1990 / 經書 諺解 연구

  28. [학위논문] 陳良中 / 2007 / 朱子「尙書」學研究

  29. [학술지] 陳良中 / 2007 / 朱子之論王、蘇、林、呂四家「書」學 / 求索 (12) : 218 ~ 222

  30. [학술지] 陳良中 / 2010 / 朱子與蔡沈「書」學異同考論 / 重慶師範大學學報 (3) : 75 ~ 81

  31. [기타] 辛司可 / 2011 / 韓知名學者稱漢字並非中國文字, 韓國人祖先發明漢字 / 環球時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