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연구는 다양한 기능과 역할을 지닌 사신의 수집서적을 통하여 동아시아 서적교류의 일면을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주로 연행기록에 나타난 서적 求得方式을 우선 파악하여 그 의미를 알아보았다. 연행사가 서적을 구득하고 전파한 중국서적의 전체적인 흐름은 연행연구를 출판 독서문화사적으로 접근하는 데 기본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연행문화의 출판문화적 접근에 필요한 사항으로 일부분이지만 실물자료로 남은 서적에 대하여 현전하는 자료를 몇 종 살펴보았다. 출판문화사와 서적교류사의 연구는 특정 인물이 아니라 전체에서 사상적인 영향력이 큰 영역이 무엇인지, 뿐만 아니라 그 당시 국가전체의 사상적인 수요가 무엇인지 등 사회사, 사상사 전체 차원에서 규명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연행사의 서적구매 방식을 통해서 살펴본 바로는 17세기까지 조선사행단의 중국 내 개인 활동을 엄금하던 것이 18세기 초반부터 조금씩 완화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사실이 서적구매에서 여실히 드러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수많은 종류의 중국서적이 조선에 유입되었고 연행사는 지식의 전달자 또는 유포자로서 그 역할을 충분히 수행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세월이 흐르고 병화와 격동의 시간을 겪으면서 수입된 서적들은 갖가지 사연을 남기고 사라져가고 그나마 온전하게 남아서 그대로 전해지는 자료는 매우 드물게 되었다. 기록에 남아있는 서책을 그대로 확인할 수 있다면 희귀서로서의 가치뿐만 아니라 역사성을 지니는 자료로서 새로운 의미부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본고에서는 몇 종의 서적의 예를 들어 이를 살펴보았다.

키워드

사신, 연행사, 서적, 출판, 인쇄문화, 서적교류, 중국본, 문화교류

참고문헌(28)open

  1. [기타] / 高麗史 / 국사편찬위원회 웹

  2. [기타] / 朝鮮王朝實錄 / 국사편찬위원회 웹

  3. [기타] 姜紹書 / 『韻石齋筆談』 卷上

  4. [기타] 金景善 / 燕轅直指

  5. [기타] 金昌業 / 1713 / 老稼齋燕行日記

  6. [기타] 兪晩柱 / 1786 / 欽英

  7. [기타] 李器之 / 1720 / 一庵燕記

  8. [기타] 李宜顯. / 1720 / 『庚子燕行雜誌』 下, 庚子

  9. [기타] 李宜顯. / 1732 / 『壬子燕行雜誌』, 壬子

  10. [기타] 李正臣 / 1721 / 『燕行錄』, 辛丑

  11. [기타] 洪大容 / 1765 / 『湛軒燕記』, 乙酉

  12. [단행본] 김영진 / 2006 / 19세기 조선 지식인의 문화지형도 / 한양대학교출판부

  13. [학위논문] 김지연 / 2009 / 『흠영』에 나타난 유만주의 독서생활과 서지학적 성과

  14. [단행본] 藤塚鄰 / 1994 / 秋史 金正喜 또다른 얼굴 / 아카데미하우스

  15. [학술지] 박현규 / 2004 / 청 翁方綱 소장 蘇軾 『天際烏雲帖』과 조선 申緯 結緣 / 한중인문학연구 (12) : 259 ~ 280

  16. [학술지] 부유섭 / 2010 / 燕行錄을 통해 본 康雍 年間 中國 書籍 유입에 대하여 / 漢文學報 22 : 269 ~ 306

  17. [단행본] 신익철 / 2014 / 18世紀 燕行錄 記事集成-書籍 書畵篇- / 韓國學中央硏究院出版部

  18. [학술지] 신익철 / 2009 / 연행록을 통해본 18세기 전반 한중 서적교류의 양상 / 태동고전연구 (25) : 227 ~ 264

  19. [학술대회] 옥영정 / 2009 / 원간본의 조선간행과 유통 / 東亞世亞出版文化硏究 國際學術會議

  20. [학술지] 衣若芬 / 2014 / 敬觀真賞: 翁方綱舊藏本《施顧註東坡詩》研究 / 淸華中文學報 (11) : 57 ~ 102

  21. [기타] 임기중 / 2002 / 연행록전집

  22. [기타] 임기중 / 2004 / 연행록해제 / 1~2집

  23. [학술지] 정민 / 2011 / 연행 기록을 통해본 18~19세기 북경 유리창 서점가 / 동아시아문화연구 (50) : 83 ~ 124

  24. [인터넷자료] / 국사편찬위원회

  25. [인터넷자료] 서울대학교 /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6. [인터넷자료] 한국학전자도서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27. [인터넷자료] 국립중앙도서관 / 한국고전적종합목록시스템

  28. [인터넷자료] 한국고전번역원 / 한국고전종합D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