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1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글은 교외화와 인종별 · 민족별 거주지 분리를 특징으로 하는 미국 도시형성의 역사적 맥락 속에서 주류 중산층의 공간적 재현이라 일컬어지는 교외 거주지에서의 한인사회의 범주화 및 동화의 역학에 주목한다. 구체적으로 로스엔젤레스 북동부에 위치한 전형적인 백인 부촌에 한인이 집중거주하며 형성되는 장소의 성격은 어떻게 이들의 관계와 활동 및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거주지가 형성하는 재미한인 삶의 맥락을 분석한다. 종래 이민자가 교외를 거주지로 선택하는 것은 곧 주류 사회문화에의 동화를 반영하거나 동화를 목적으로 이루어진다고 가정되어왔다. 그러나 이 글은, 경제적 조건이 향상됨으로써 교외로 이주하는 것을 주류문화에의 동화로 해석하는 일반화에 문제를 제기하며 미국 교외화의 역사적 맥락 속에서 특정 에스노버브 내 한인의 다양한 모습을 분석한다. 이 글에서 다룬 특정 한인 에스노버브에서 드러나는 한인 내 다양성은 이주세대나 언어능력, 한국문화에 대한 익숙함과 불편함의 정도 뿐 아니라 로컬문화에 대한 수용 또는 저항의 정도에 따라 이루어졌고, 그 지표들은 이들을 이 지역으로 모이게 한 것이 교육인 것과 마찬가지로 교육 담론을 통해 수렴되고 표현되었다. 교외집거지를 통해 재미한인의 삶을 고찰하는 것은 한인사회를 단일한 공동체로 상정하는 시각에서 탈피하여 한인 간의 관계와 활동 뿐 아니라 타인종 및 타민족 집단과의 일상적 관계를 살피고 그 대응의 차이가 다시 한인 내 다양성 형성에 어떻게 관련되는가를 볼 수 있게 한다.

This paper explores the dynamics of differentiation and of assimilation of Korean ethnics in American suburbs, spaces called to represent American middle class life. Specifically it focuses on a typical white upper-class quarter in the LA northeastern region, and examines how the particular locality affects the Korean residents’ relationships, behaviors, and identities. Traditional discussions on immigrant space have seen immigrants’ moving to the suburbs as a sign of assimilation or having such an aim. I problematize this assumption and show how diverse the ethnic Koreans in this particular suburb not only in their immigrant particularities but also in their level of acceptance or of resistance to the local culture. In this particular ethnoburb, differentiation and diversities among Korean ethnics were revealed through the discourse of education just as it was the major pulling factor to the locality. Inquiring into the lives of Korean Americans through the framework of ethnoburb enables us to see, breaking from the convention looking at Korean Americans as a single community, not only their intra-ethnic relations and behaviors but also how their lives are weaved with other groups to make their inner diversity.

목차

1. 들어가며
2. 미국 사회 인종 · 민족 분리의 공간적 재현과 새로운 집거지 모델
3. “La Korea”
4. 교외 한인 집중 거주지의 형성 요인
5. ‘나는 그들과 다르다’: 한인 간 범주화와 차별화
6. 지역사회의 요구와 동화의 스펙트럼
7. 나가며
참고문헌

참고문헌 (38)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0-331-0004621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