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수용자의 다양성과 상관없이 의미 전달을 위한 표현방법론으로 최근 TV 광고 영상 이미지에 시각적 기법으로 나타난 에셔의 테셀레이션은 광고의 내용을 구성하고 광고가 표출하고자하는 의미를 소구 대상에게 전달하기 위한 시도로 활용되어지고 있다. 특히 테셀레이션을 통한 시지각 표현은 시각대상을 경험과 지식에 비추어 다양하게 해석하여 다의성(多義性)과 모순성(矛盾性) 등을 내포하고 있다. 이와 같은 시각적 의미에 대한 분석뿐 아니라 수용자의 입장에서 광고 모션 그래픽 이미지가 감성 평가 프로세스를 통해 어떠한 감성 이미지로 도출되는지 실증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영상 디자인 분야에서의 새로운 모션 그래픽 표현방법론으로서의 가능성 및 활용에 대해 검증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세련되고 뚜렷하고 재미있지만 생소하다’라고 조사 되었다. 본 연구는 에셔의 테셀레이션 패턴이 TV 광고에 활용되어 나타난 감성 이미지 추출 및 새로운 모션 그래픽의 표현 가능성을 열었다는데 의미와 가치를 둘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모션 그래픽 디자인을 평가하고 해석하는 디자이너들의 기존 표현방법론을 한 단계 향상시킨 테셀레이션의 이해와 해석을 가능하게 함과 모션 그래픽 이미지 제작의 다양성을 부여하고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테셀레이션의 활용에 대한 표현 방법론으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키워드

Tessellation, Motion Graphics, Escher

참고문헌(10)open

  1. [단행본] 정우근 / 2005 / 영상 분석의 실제 / 푸른미디어

  2. [학위논문] 조민수 / 2006 / 에셔(M. C. Escher, 1898~1972)의 판화 <변형> 연작 연구

  3. [학위논문] 임현숙 / 1999 / 테셀레이션(Tessellation)을 응용한 패턴 디자인 연구 : 에셔(M.C.Escher)의 작품을 중심으로

  4. [단행본] D. Seymour / 1989 / Introduction to Tessellation / Seymour Publications

  5. [학위논문] 이영수 / 2005 / 영상광고에 나타난 편집 단순화 전략에 대한 연구 : 엔트로피 개념을 중심으로

  6. [단행본] Colin Ware / 2004 / Information Visualization / Morgan Kaufmann Pub

  7. [단행본] 진중권 / 1992 / 예술.기호.정보 / 새길 : 170

  8. [단행본] 루돌프 아른하임 / 1996 / 엔트로피와 예술 / 전파과학사

  9. [학술지] Judy Gregory / 2002 / Social issues infotainment :Using emotion and entertainment to attract reader's attention in social issues leaflets / Information design journal issue 11

  10. [단행본] John Fiske / 1997 / 문화커뮤니케이션론 / 한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