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임진왜란을 소재로 한 국문필사본 소설 <이한림전>을 대상으로, 임진왜란 속 여성 인물의 고난상과 그 의미를 진단한 것이다. <이한림전>의 한씨와 류씨 고부는 임진왜란으로 인한 피난 상황에서 이경 부자와 헤어진 채 고난을 겪게 된다. 한씨의 경우 며느리인 류씨와도 헤어져 혼자 남겨진 상태에서 안동 본가의 불 탄 터에 움막을 짓고 살아가며, 류씨는 왜장 평수길에게 잡혔다가 도망친 후 평안도 가홍촌에 피난 가 주모의 도움을 받고 지내다가 수청 위기를 겪게 된다. 이후 이경 부자가 일본에 투항했다는 모함에 의해 한씨 고부는 옥에 갇혔다가 한씨는 전라도 광주로, 류씨는 경상도 흥해로 유배가게 된다. 관비 신분이 된 류씨는 흥해 군수에게 겁간당할 위기를 겪고 자살을 기도했다가 마침 그곳에 이른 이경 부자와 상봉하면서 그간의 고난에서 벗어나게 된다. 이와 같은 여성 인물의 고난상이 지니는 의미는 첫째, ‘사대부가 여성의 현실적 고난과 가문의 이름으로 버텨내기’이다. 피난 상황에서 한씨는 극도의 굶주림과 추위라는 현실적 고난을 겪고 류씨 역시 옥중에서 아이를 낳는 등 평소 사대부가 여성이 경험하지 못했던 고난을 겪는데, 그런 이들을 지탱하게 하는 것은 가문 수호의 의지이며 이 때문에 조상 신령의 도움을 받게 된다. 두 번째는 ‘전쟁 속 전쟁, 실절(失節)의 위협’이다. 류씨는 젊고 아름답다는 이유로 왜장 평수길에게 잡히고, 이후 도망쳤다가 류씨인 줄 모르는 남편 이해룡의 상사병 대상이 되어 수청의 위협을 당하며, 갓난아기가 있는 상황임에도 그 미색에 빠진 군수에게 겁간의 위기를 맞는다. 이와 같이 계속되는 실절의 위협은 여성 인물 류씨에게 전쟁 속 또 하나의 전쟁이라고 할 수 있다. 세 번째는 ‘의로운 여성들의 존재와 그들을 기억하기’이다. 류씨가 현실적 고난과 실절의 위기 등에서 벗어날 수 있었던 것은 가홍촌 주모나 흥해 군수 모친과 같은 여성 조력자들 덕분이었으며, 고난이 마무리된 후 류씨는 공적, 사적으로 이들의 은혜를 갚는다. 한편 이들의 조력 과정에서 사대부나 지배층 남성의 허위와 타락이 직접적으로 비판되고 있으며, 이는 전쟁 원인으로서 조선 내부의 문제를 노출하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다.

키워드

임진왜란, 고부, 현실적 고난, 실절의 위협, 의로운 여성

참고문헌(15)open

  1. [기타] / 이한림전 / 국립한글박물관 소장

  2. [기타] / 임진록 /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3. [기타] / 청구영언 / 버클리대 소장

  4. [단행본] 신해진 / 2003 / 朝鮮朝 傳系小說 / 월인

  5. [단행본] 이우성 / 1996 / 『이조한문단편집』 중 / 일조각

  6. [학술지] 강진옥 / 1986 / <최척전>에 나타난 고난과 구원의 문제 / 이화어문논집 8 : 225 ~ 252

  7. [학술지] 권혁래 / 1997 / 조선 후기 역사소설의 개념과 범주에 대한 소고 / 열상고전연구 10 : 155 ~ 184

  8. [학술지] 김지혜 / 2015 / 전란 배경 고전소설에 나타난 여성의 상처와 통합을 위한 서사기법 - <최척전>을 중심으로 / 민족문화논총 (59) : 284 ~ 318

  9. [학술지] 신태수 / 2013 / 여성 인물형상을 통해 본 <崔陟傳>의 창작의도 / 어문연구 77 : 197 ~ 217

  10. [학술지] 엄태식 / 2012 / <최척전>의 창작 배경과 열녀 담론 /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24) : 81 ~ 124

  11. [학술지] 장미경 / 2005 / 전쟁시에 나타난 여성의 양가성 -壬辰倭亂과 丁酉再亂 詩材 한시를 대상으로- /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11 (11) : 331 ~ 356

  12. [학술지] 정출헌 / 2010 / 임진왜란의 상처와 여성의 죽음에 대한 기억 -동래부의 김섬(金蟾)과 애향(愛香), 그리고 용궁현의 두 婦女子를 중심으로- /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21) : 35 ~ 67

  13. [학술지] 조혜란 / 2004 / 여성, 전쟁, 기억 그리고 <박씨전> /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9) : 279 ~ 310

  14. [학위논문] 탁원정 / 2006 / 17세기 가정소설의 공간 연구 : <사씨남정기>, <창선감의록>을 대상으로

  15. [학술지] 홍인숙 / 2001 / 17세기열녀전연구 / 한국고전연구 7 : 94 ~ 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