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산 자를 위한 죽은 자의 마지막 메시지를 담은 유서는 기본적으로 개인의 죽음과 관련된 사적 영역에 속하는 글이다. 많은 경우 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만큼 유서의 사적 성격은 표면적으로도 매우 도드라진다. 반면에 이 유서는 당대의 사회문화적 맥락과 분리할 수 없는 공적 영역의 글이기도 하다. 특히 여성 유서는 여성의 사회적 지위와 역할, 여성에게 부여된 도덕과 윤리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본고는 유서가 가지는 이 공적 영역에서의 기능과 가치에 주목한 논문이다. 본고의 주된 목적은 조선시대 남성 유서와 구분되는 여성 유서의 사회문화적 기능과 의미를 탐색하는 데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유서의 사회문화적 성격을 점검하여 해당 연구의 가능성과 필요성을 먼저 살폈고, 이어 여성 유서가 어떠한 사회문화적 맥락 위에서 창작되었는지를 분석하여 여성 유서의 사회문화적 기능과 의미를 탐색하는 데 필요한 기초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마련된 기초를 토대로 여성 유서의 사회문화적 기능과 의미를 정리하였다. 여성 유서는 남성 유서와 마찬가지로 유교적 가부장제의 속성이 강하게 남아 있는 텍스트다. 다만 젠더의 차이로 인해 여성 유서는 남성 유서와 다른 맥락 위에서 창작되고 소비되었다. 유서의 작성 시기와 작성 배경, 작성 목적과 작성 언어, 작성 내용과 작성 형식, 전달 방식과 소비 방식 등 많은 점에서 차이가 나타나는 것도 이와 관련이 깊다. 그리고 이런 차이는 유서의 기능을 변화시켰는데, 여성 유서는 일차적으로 여성의 윤리를 강화하는 기능을 수행하였다. 특히 사대부 남성들이 정리한 여성 대상 비지문이나 전 문학과 결합되어 그 기능이 강화되었다. 반면에 여성 유서는 여성 윤리를 내부에서부터 뒤집어엎는 역할도 함께 수행하였다. 본고에서는 여성 유서와 여성 유서의 확장판인 <절명사>에 투영되어 있는 다양한 감정과 욕망을 통해 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조선시대 여성 유서의 사회문화적 의미를 규정하였다.

키워드

여성 유서(遺書), 비교 연구, 사회문화적 맥락, 사회문화적 기능, 사회문화적 의미, 성역할의 차이, 여성 윤리의 강화, 여성 윤리의 균열, 감정, 욕망

참고문헌(43)open

  1. [기타] 權尙夏 / 寒水齋集

  2. [기타] 金若鍊 / 庵集

  3. [기타] 金鍾正 / 雲溪漫稿

  4. [기타] 金 烋 / 敬窩集

  5. [기타] 朴汝龍 / 松崖集

  6. [기타] 成文濬 / 滄浪集

  7. [기타] 成海應 / 硏經齋集

  8. [기타] 成 渾 / 牛溪集

  9. [기타] 安鼎福 / 順菴集

  10. [기타] 尹鳳九 / 屛溪集

  11. [기타] 尹 拯 / 明齋遺稿

  12. [기타] 李健命 / 寒圃齋

  13. [기타] 李萬敷 / 息山集

  14. [기타] 李元翼 / 梧里集

  15. [기타] 李 縡 / 陶菴集

  16. [기타] 李最中 / 韋庵集

  17. [기타] 李喜朝 / 芝村集

  18. [기타] 任憲晦 / 鼓山集

  19. [기타] 丁範祖 / 海左集

  20. [기타] 鄭齊斗 / 霞谷集

  21. [기타] 韓 忠 / 松齋集

  22. [기타] 洪良浩 / 耳溪集

  23. [단행본] 강명관 / 2009 / 열녀의 탄생 / 돌베개 : 1 ~ 586

  24. [학위논문] 權 瑚 / 1994 / 碑誌·哀詞 및 遺書類 연구 : 특히 한글 遺書類를 중심으로

  25. [학술지] 길진숙 / 2001 / <命道自嘆辭>의 내면의식과 자탄적 술회 / 한국말글학 18 : 43 ~ 69

  26. [학술지] 김언순 / 2009 / 18세기 종법사회 형성과 사대부의 가정교화: 가훈서를 중심으로 /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83) : 117 ~ 156

  27. [학술지] 김유진 / 2017 / 조선후기 열녀전 읽기 /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35) : 303 ~ 337

  28. [학술지] 김정경 / 2011 / 조선 후기 열녀의 순절의 의미화 방식 연구 -재녕 이씨, 남원 윤씨, 서녕 유씨, 서흥 김씨 유서를 중심으로- / 국제어문 (53) : 9 ~ 35

  29. [학위논문] 申銀姬 / 1993 / 朝鮮中期 遺書의 特性 硏究

  30. [학술지] 이상규 / 2009 / 17世紀 黃汝一의 淑夫人 完山 李氏 한글 遺書와 所志 / 동아인문학 (16) : 65 ~ 102

  31. [학술지] 이수봉 / 1971 / 閨房文學에서 본 李朝女人像 / 여성문제연구 1 : 1 ~ 33

  32. [학술지] 이홍식 / 2012 / 죽음의 문학적 전통과 유서(遺書)-유형별 특징을 중심으로- / 고전문학과 교육 (23) : 267 ~ 299

  33. [학술지] 이홍식 / 2012 / 산 자를 위한 죽은 자의 문학, 유서(遺書) /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34 : 81 ~ 106

  34. [학술지] 이홍식 / 2014 / 조선후기 사대부 여성의 유서(遺書) 창작 양상 연구 /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29) : 95 ~ 123

  35. [학술지] 이홍식 / 2017 / 조선시대 열녀전(列女傳)과 여성 유서(遺書)에 투영된 욕망의 간극과 그 의미 / 한국언어문화 (64) : 163 ~ 185

  36. [학술지] 이홍식 / 2017 / 조선시대 사대부 남성 유서(遺書)의 사회문화적 기능과 의미 탐색 /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47 : 213 ~ 236

  37. [학술지] 임치균 / 1999 / <瑞寧柳氏婦人遺書> 연구 / 고문서연구 15 : 47 ~ 65

  38. [학술지] 정지영 / 2002 / 조선후기 호주승계방식의 변화와 종법질서의 확산: 17ㆍ8세기 『단성호적』에 나타난 과부와 그 아들의 지위를 중심으로 / 한국여성학 18 (2) : 5 ~ 35

  39. [학술지] 진동혁 / 1985 / 恭人 南原尹氏(1768~1801)<命道自嘆辭> 硏究 / 논문집 19 : 7 ~ 36

  40. [학술지] 홍인숙 / 2001 / 봉건 가부장제의 여성 재현 : 조선 후기 열녀전 / 여성문학연구 (5) : 276 ~ 303

  41. [학술지] 홍인숙 / 2018 / 조선후기 여성 유서 연구 — 순절 열녀 신씨부(申氏婦)의 한글 유서를 중심으로 — / 온지논총 (56) : 247 ~ 282

  42. [학술지] 홍인숙 / 2019 / 조선후기 순절 여성 신씨부 한글 유서 재론 - 유서 정보의 재구성 및 글쓰기의 의도와 목적을 중심으로 / 古文書硏究 54 : 265 ~ 285

  43. [학술지] 홍인숙 / 2019 / 열녀 유서에 나타난 감정 규범과 감정 통제의 기제 - 신씨부 유서에 나타난 순응과 위반의 감정 언어를 중심으로 /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39) : 71 ~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