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정부 수준과 BSC의 효과 -한국과 미국의 지방정부를 중심으로-

The Level of Government and the Effectiveness of BSC - Focused on the Local Governments in Korea and America -

한국거버넌스학회보
약어 : KGR
2010 vol.17, no.2, pp.95 - 112
DOI : 10.17089/kgr.2010.17.2.005
발행기관 : 한국거버넌스학회
연구분야 : 행정학
Copyright © 한국거버넌스학회
202 회 열람

한국과 미국의 지방정부를 사례로 하여, 국가 내부의 정부 수준 사이에 행정조직문화와 BSC 운영 특성에 차이가 있는 지, 그리고 그 차이가 정부 수준간에 BSC의 도입효과에 차이를 초래하는 지에 관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한국에서는 상급과 하급 지방정부간에 행정조직문화의 차이가 존재하지 않으며, BSC 운영 상의 특성은 상급 지방정부가 하급 지방정부에 비해 약간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런 사실은 상급 지방정부에서 하급 지방정부에 비해 BSC의 도입효과가 아주 미미하게 더 큰 결과를 초래하였다. 미국에서는 상급과 하급 지방정부 사이에 행정조직문화와 BSC의 운영 특성의 차이가 전혀 존재하지 않으며, 따라서 BSC의 효과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aper analyzed whether there exist the differences in administrative organizational cultures and operational characteristics of BSC between governmental levels in a nation, and whether those differences lead to the differences in the effectiveness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BSC between the governmental level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in Korea, there do not exist the differences in administrative organizational cultures between upper-tier and lower-tier local governments, and the upper-tier local governments make better use of the BSC than the lower-tier local governments, when it comes to the oper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BSC. These facts lead to the results that the upper-tier local governments have so slight greater effectiveness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BSC than the lower-tier local governments. In America, there never exist the differences in both administrative organizational cultures and operational characteristics of BSC between upper-tier and lower-tier local governments, and thus there do not exist any differences in the effectiveness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BSC between the two.

정부 수준, BSC 효과, 행정조직문화
governmental level, effectiveness of BSC, administrative organizational culture

  • 1. [학술지] 강윤호 / 2009 / 지방정부에서 토착 행정조직문화와 성과관리제도 도입효과간 관계: 한국과 미국간 비교분석 / 지방정부연구 / 13 (2) : 25 ~ 2 kci
  • 2. [학술지] 강윤호 / 2009 / 서베이를 활용한 행정연구 방법론에서 분석의 단위와 수준에 관한 분석 :「지방정부연구」 게재논문을 대상으로 / 지방정부연구 / 13 (3) : 363 ~ 3 kci
  • 3. [보고서] 강인재 / 1998 / 새로운 제도와 한국관료문화와의 적합성에 관한 연구
  • 4. [학술지] 국경복 / 2007 / 관리제도의 수용성과 효과성 인식에 관한 경험적 연구: 사례를 중심으로 / 정책분석평가학회보 / 17 (3) : 31 ~ 3 kci
  • 5. [학술지] 김인 / 2008 / 공공기관 BSC 도입의 효과에 관한 연구 / 지방정부연구 / 12 (3) : 7 ~ 3 kci
  • 6. [학위논문] 박삼석 / 2008 / 지방정부의 균형성과관리(BSC)에 관한 연구: 부산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 7. [학술대회] 박영강 / 2009 / 부산광역시의 BSC 성과와 영향요인 분석 / 한국지방정부학회 2008년동계학술대회 논문집
  • 8. [단행본] 이용식 / 2003 / 인천광역시 행정문화 실태와 개선방안 / 인천발전연구원
  • 9. [학위논문] 위응복 / 2003 / 한국행정조직문화와 성과급제에 관한 연구: 지방자치단체 사례를 중심으로
  • 10. [학술대회] 조성한 / 2009 / 공무원과 국가발전: 기업가적 행정의 반성 / 서울대 행정대학원 제442회 정책 &지식 포럼
  • 11. [학술지] 조해경 / 2006 / 한국행정문화의 특성과 개선방안 / 2000년 (276) : 26 ~ 276
  • 12. [학술지] 하미승 / 2008 / 정부기관 BSC의 성과에 대한 진단·평가 연구:공무원 인식을 중심으로 / 정책분석평가학회보 / 18 (2) : 257 ~ 2 kci
  • 13. [학술지] 황창연 / 2003 / 행정조직문화와 성과관리의 관계 / 한국정책학회보 / 12 (2) : 283 ~ 2 kci
  • 14. [학술지] Cavalluzzo, K. S. / 2004 / Implementing Performance Measurement Innovations: Evidence from Government / Organizations and Society / 29 : 243 ~
  • 15. [단행본] Fromm, E. / 1995 / Escape from Freedom / Routledge & Kegan Paul : 141 ~
  • 16. [단행본] Hofstede, G. / 1995 / Culture and Organizations: Software of the Mind. Geert Hofstede Institute for Research on Intercultural Cooperation / University of Limburg at Maastricht
  • 17. [학술지] Hoque, J / 2000 / Linking Balanced Scorecard Measures to Size and Market Factors: Impa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 Journal of Management Accounting Research / 12 : 1 ~
  • 18. [학술지] Ittner, C. D. / 1998 / Innovations in Performance Measurement: Trend and Research Implications / JMAR / 10 : 205 ~
  • 19. [보고서] Kaplan, R. S. / 1999 / The Balanced Scorecard for Public-Sector Organization
  • 20. [학술지] Kaplan, R. S. / 1992 / The Balanced Scorecard-measures that Drive Performance / Harvard Business Review / 70
  • 21. [단행본] Kaplan, R. S. / 1996 / The Balanced Scorecard. Boston /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 22. [학술지] Krumwiede, K. R. / 1998 / The Implementation Stages of Activity-Based Costing and the Impact of Contextual and Organizational Factors / JMAR / 10 : 239 ~
  • 23. [학술지] Levinson, D. / 1985 / Conservatism and Radicalism /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Social Science / 12 : 27
  • 24. [학술지] Malina, M. A. / 2001 / Communicating and Controlling Strategy: An Empirical Study of the Effectiveness of the Balanced Scorecard / JMAR / 13 : 47 ~
  • 25. [단행본] Niven, P. R. / 2003 / Balanced Scorecard Step by Step for Government and Nonprofit Agencies / John Wiley & Sons, Inc
  • 26. [단행본] Olve, N. G. / 1999 / Performance Drivers / John Wiley & Sons Ltd
  • 27. [학술지] Pineno, C. J. / 2004 / Balanced Scorecard Applications and Model Building: A Survey and Comparison of the Manufactured Homes and Motor Homes Industries / Management Accounting Quarterly / 6 (1) : 21 ~ 1
  • 28. [단행본] Robbins, S. P. / 1994 / Organizational Behavior / Prentice Hall : 72 ~
  • 29. [학술지] Scott, T. W. / 1999 / Performance Measurement and Managerial Teams / Organizations and Society / 24 : 263 ~
  • 30. [학술지] Shields, M. D. / 1995 / An Empirical Analysis of Firms' Implementation Experiences with Activity-Based Costing / JMAR / 7 : 148 ~
  • 31. [학술지] Wagner III, J. A. / 1995 / Studies of Individualism-Collectivism: Effects on Cooperation in Groups /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 38 (1) : 152 ~ 1
  • 32. [학술지] Willoughby, K. G. / 2004 / Performance Measurement and Budget Balancing: State Government Perspective / Public Budgeting & Finance / 24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