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맹자 이단논쟁의 得과 實

Merits and demerits of Mencius’ arguments on heterodoxy

양명학
약어 : -
2014 no.37, pp.241 - 270
DOI : 10.17088/tksyms.2014..37.008
발행기관 : 한국양명학회
연구분야 : 철학
Copyright © 한국양명학회
217 회 열람

이 논문은 맹자의 사설논쟁을 소재로 하여, 양주의 위아주의와 묵자의 겸애설에 대한 맹자 비판의 득실을 분석한 것이다. 맹자는 양주의 위아주의에 대하여 無君, 그리고 묵자의 겸애설에 대해서는 無父라고 평가하였다. 양주와 묵자의 학설에 대한 무군무부라는 맹자의 평가에는 유학의 우월성이 내재되어 있다. 맹자는 孝와 慈를 내세워 묵자의 겸애설에 대한 유학의 우월성을 표시하였고, 忠이라는 이념을 근거로 양주의 위아주의에 대한 유학의 우월성을 표현하였다. 필자는 기본적으로 맹자의 평가를 전면 부정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무부무군 그리고 금수지견이라는 맹자의 평가는 지나칠 뿐만 아니라 양주와 묵자의 학설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전제되었는지에 대해서도 의문이다. 필자의 분석에 의하면 양주의 위아주의에는 분명 천하라는 이념이 내재되어 있고, 묵자의 겸애설 역시 親과 人의 차별을 완전 부정한 것도 아니다. 맹자와 양주 그리고 묵자의 시대에 대한 진단은 동일하였다. 그러나 원인에 대한 인식이 동일하지 않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처방이 제시된 것이다. 따라서 자신의 인식을 근거로 타자 학술의 부족을 비평할 수 있고, 存而不論의 태도를 취할 수 있을지언정 그 가치를 전면 부정하면서 사설로 치부하는 것은 유학의 和而不同 정신에 위배된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merits and demerits of Mencius’ critique of heterodoxy, more exactly, Yang-zhu’s and Mo-zi’s doctrines. Based on filial piety, Meng-zi says that Confucian philosophy is superior to Mo-zi’s philosophy; based on layalty to the country, he also says that Confucian philosophy is superior to Yang-zhu’s philosophy. I accept Mencius’ critique in a broad sense. But I think that his criticism is too much and his understanding on Yang-zhu’s and Mo-zi’s doctrines is not correct. According to my analysis, Yang-zhu’s doctrine has the ideology of nation and Mo-zi’s doctrine includes the sanction of a distinction between parents and others. They had the same diagnosis on the time. But they had different understanding on the causes of events in that era and so suggested different means of settling. Therefore, I say that Mencius’ critique of heterodoxy violates the basic idea of Confucian philosophy, i.e., emphasis on harmony and reconciliation.

이단사설, 겸애설, 위아주의, 효
heterodoxy, philanthropy, egoism, filial piety

  • 1. [기타] / 論語
  • 2. [기타] / 孟子
  • 3. [기타] / 墨子
  • 4. [기타] / 荀子
  • 5. [기타] / 道德經
  • 6. [기타] / 莊子
  • 7. [기타] / 韓非子
  • 8. [기타] / 呂氏春秋
  • 9. [기타] / 淮南子
  • 10. [기타] / 列子
  • 11. [기타] / 西銘
  • 12. [기타] / 二程全書
  • 13. [단행본] 馮友蘭 / 中國哲學簡史 / 藍燈文化事業公司
  • 14. [단행본] 勞思光 / 1986 / 中國哲學史 古代篇 / 탐구당
  • 15. [단행본] 錢穆 / 1986 / 先秦諸子繫年 / 臺灣東大圖書公司
  • 16. [단행본] 劉澤之 / 1988 / 墨子思想硏究 / 臺灣天山出版社
  • 17. [단행본] 陳問梅 / 1988 / 墨學之省察 / 臺灣學生書局
  • 18. [단행본] 정재현 / 2012 / 묵가사상의 철학적 탐구 / 서강대학교 출판부
  • 19. [학술지] 김동수 / 양주의 정치윤리사상 / 정신문화연구 / 86
  • 20. [학술지] 김병환 / 양주학파의 자연 생명사상 / 중국철학 / 7
  • 21. [학술지] 김성환 / 2003 / 정통과 이단에 대한 도가적 성찰 / 오늘의 동양사상
  • 22. [학술지] 윤무학 / 2006 / 孟子의 倫理學的 範疇와 墨家 / 동양철학연구 (46) : 45 ~ 46 kci
  • 23. [학술지] 이혜숙 / 묵자 겸애사상의 본질에 관한 연구 / 성신한문학 / 3
  • 24. [학술지] 한경덕 / 양주의 대안 / 태동고전연구 / 9
  • 25. [학술지] 황갑연 / 2011 / 지리산 문화권 공존에 대한 철학적 성찰 -유가의 調和와 불가의 無碍 및 도가의 대립통일 이념을 중심으로 / 남도문화연구 (20) : 479 ~ 20 kc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