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글에서는 송명리학의 주요 논제인 ‘未發’ 문제에 대한 王陽明의 견해를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왕양명이 ‘주자의 미발설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주자가 미발 탐구를 통하여 해결하고자 했던 문제를 어떻게 처리하고 있는지’, ‘왕양명의 미발관의 특징은 무엇인지’, ‘미발 문제에 대한 왕양명의 해결 방식이 지닌 의의는 무엇인지’ 등의 문제들을 다루었다. 주자의 미발설에 대한 왕양명의 비판은 크게 두 가지 점으로 요약할 수 있다. 하나는 ‘思慮未萌‧知覺不昧’의 미발상태를 ‘자기 중심성이 탈락한 순일한 의식의 상태’인 ‘未發之中’으로 볼 수 없다는 것이다. 그 미발상태는 자기중심적으로 흐를 수 있는 氣가 아직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 불과할 뿐, 사욕이 없는 순수한 도덕본체는 아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미발시의 존양공부를 통해서는 已發之和를 확보하기 어렵다. 또 하나는 ‘미발시에 지각자는 있지만 지각되는 것은 없다’고 봄으로써 미발시의 본체체인이나 성찰공부를 근본적으로 막아버렸다는 점이다. 미발시에 도덕본체에 대한 체인이나 성찰공부가 없다면 도덕실천 역량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주자의 미발설은 도덕본체[본성]를 실현할 수 있는 이론적 토대가 되기에는 문제가 있다. 주자학의 미발규정과 미발시의 존양공부에 대한 양명의 비판이 가능한 것은 그가 미발을 주자학에서와는 전혀 달리 이해하고 있기 때문이다. 양명은 ‘미발’과 ‘이발’을 주자학에서와 같이 마음의 어떤 상태나 국면을 지시하는 개념으로 사용하지 않고, ‘마음의 본체[心體]’와 ‘마음의 작용[心用]’을 지시하는 개념으로 사용한다. 양명은 끊임없이 활동하면서 만물을 창생하고 주재하는 本性[理]을 ‘마음의 본체[心體]’로 삼고, 그것을 ‘未發之中’으로 규정한다. 心體는 私欲이 없는 순수한 천리[心卽理]이기 때문에 어디에도 치우치거나 의지함이 없는 ‘未發之中’일 수 있다. 그 心體[未發之中]는 모든 사람들이 똑같이 부여받고 있다. 그러나 대다수 일반인들은 私欲이 심체를 가리고 있기 때문에 미발지중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기 어렵다. 따라서 사욕을 제거하는 공부가 요구된다. 이 공부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心體가 스스로 자신을 체인하고 성찰할 수 있어야 한다. 양명은 心體가 이러한 능력을 지니고 있다고 본다. 그 능력이 바로 良知이다. 양명은 天性이 스스로를 환하게 드러내는 밝은 능력[明覺]을 ‘良知’로 규정한다. 양지는 바로 ‘天性과 明覺’의 통일체이다. 이것은 심체 자체가 스스로를 환하게 드러내는 능력을 지니고 있다고 본 것으로서, 良知를 心體로 규정한 것이다. 이렇게 해서 良知가 未發之中으로 규정되기에 이른다. 마음의 본체인 양지가 미발지중으로 규정됨으로 해서 양명은 양지 체용일원의 틀로 미발이발에 관한 기존의 다양한 언급들을 통일적으로 설명할 수 있게 되었다. 이것은 본성 실현을 가능하게 하는 그 이론적 토대를 良知論을 통해서 마련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① 사려 발생의 시간적 선후를 의미하는 未發‧已發의 개념과 心體로서의 未發=未發之中=良知의 맥락을 구분할 수 있게 해주었다는 점, ② 未發之中이 본체 곧 양지로서 의미되는 맥락과 수행의 결과로서 도달되는 심의 경계로서 의미되는 맥락을 구분해 주었다는 점, ③ 心體와 心의 動靜 사이의 관계를 명확히 드러내주었다는 점, ④ 未發之中과 已發之和의 관계를 양지의 체용 관계로 설명한다는 점, ⑤ 中和를 실현하는 공부를 致良知 공부로 통일시킬 수 있게 해주었다는 점 등의 이론사적 의의를 지닌다. 왕양명의 미발론이나 중화론에 대한 전문적인 연구가 드문 이유도, 왕양명철학에서는 그것들이 모두 양지론으로 전환되어 다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키워드

未發, 未發之中, 心體, 良知, 體用一源

참고문헌(24)open

  1. [단행본] / 中庸集註

  2. [단행본] / 1983 / 二程全書 / 日本 中文出版社

  3. [단행본] / 1996 / 朱熹集 / 四川敎育出版社

  4. [단행본] / 1986 / 朱子語類 / 中華書局

  5. [단행본] / 1986 / 中庸或問 / 保景文化社

  6. [단행본] / 1992 / 王陽明全集 / 上海古籍出版社

  7. [단행본] 陳榮捷 / 1983 / 傳習錄詳註集評 / 學生書局

  8. [단행본] 정인재 / 2001 / 傳習錄 / 청계

  9. [단행본] / 1995 / 霞谷集 / 민족문화추진회

  10. [단행본] 唐君毅 / 1968 / 中國哲學原論 In: 「原性篇」

  11. [단행본] 김세정 / 2001 / 양명학 인간과 자연의 한몸 짜기 / 문경출판사

  12. [단행본] 김세정 / 2006 / 왕양명의 생명철학 / 청계

  13. [단행본] 董根洪 / 2001 / 儒家中和哲學通論 / 齊魯書社

  14. [단행본] 楊祖漢 / 1999 / 중용철학 / 서광사

  15. [학술지] 이봉규 / 性理學에서 未發의 철학적 문제와 17세기 畿湖학파의 견해 / 韓國思想史學 13

  16. [학술지] 이승환 / 2006 / 朱子 수양론에서 未發의 의미-심리철학적 과정과 도덕심리학적 의미 / 퇴계학보 (119) : 1 ~ 34

  17. [단행본] 張祥浩 / 1997 / 王守仁評傳 / 南京大學出版社

  18. [학술지] 錢穆 / 陽明良知學術評 / 學原 1 (8)

  19. [단행본] 陳來 / 1980 / 朱熹哲學硏究 / 文津出版社

  20. [단행본] 陳來 / 2003 / 양명철학 / 예문서원

  21. [단행본] 蔡仁厚 / 1992 / 王陽明哲學 / 三民書局

  22. [학술지] 최일범 / 2005 / 하곡의 퇴계 비판에 나타난 공부론에 대한 연구 / 양명학 (13) : 223 ~ 243

  23. [학위논문] 韓正吉 / 1999 / 王陽明의 마음의 철학

  24. [학술지] 한정길 / 2007 / 王守仁의 中和說 연구 / 양명학 (18) : 93 ~ 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