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우수등재 학술저널

죽음현저성에 따른 여행의도

공포관리이론의 관광학적 적용

본 연구의 목적은 공포관리이론을 관광학에 적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여행의도와 세계관 방어 간의 죽음현저성 영향을 조사하고, 죽음현저성과 종속변수 사이에 여행욕구와 자존감의 조절 영향을 확인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간단한 설문에 응하는 것으로 죽음현저성에 대한 비초점 방어의 실험을 설계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했다. 먼저, 죽음현저성 조작은 개인을 더 큰 여행욕구와 여행의도로 이끌었고, 자존감 역시 죽음현저성과 여행의도 사이에서 상호작용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죽음현저성의 조작은 참가자들이 국내/외 여행에 기꺼이 더 많은 여행 경비를 지불하는 것에도 영향을 미쳤다. 특히, 죽음현저성 집단의 해외여행 선호는 통제 집단에 비해 압도적이었으며 경비 지불 의사에서도 20%에 가까운 WTP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우리가 직면하는 가장 미묘한 자극조차도 우리의 소비행동에 심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Based on TMT(terror management theo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mortality salience on travel intention and world-view defense. It was also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travel intention and self-esteem as related to mortality salience and its dependent variables. This experiment on mortality salience and control was conducted using distal defense treatments to answer a series of research questions. A control group was also used for comparison. The results showed were as follows: 1) Mortality salienc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ravel intention. 2) The experimental group with mortality salience had a higher instant travel intention than the control group. 3) The control group with high self-esteem showed higher travel intention than the control group with low self-esteem. 4) Participants in the mortality salience condition were willing to spend more money on overseas travel.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having a mortality-related image led participants to spend more on overseas travel, but not domestic travel. Findings are discussed in the context of consumer behavior.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