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참고할 만한 구체적인 매뉴얼이나 유언 없이 세상을 뜬 작가가 만든, 고장 나거나 ‘나이 든 뉴미디어’ 작품들은 어떻게 해야 할까? 오작동 상태인 백남준의 멀티미디어 작품 〈다다익선〉(1988)을 ‘범례적 징후’로 파악함으로써, 본고는 하나의 해답을 제시하려 한다. 백남준의 작업에서 ‘시간’, ‘자연’, 그리고‘ 테크놀로지가 맺는 관계’를 ‘엔트로피’의 차원에서 주목해 읽음으로써, 우리는 이들이 이른바‘ 시간-기반 미디어’라고 불리는 작업들의 보존과 복원을 ‘퍼포먼스’로 파악하는 최근의 논의에 어떻게 빛을 던져 주는지 보게 될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는 백남준의 작업을‘ 인본주의적’으로 파악하는 시각은 물론, ‘엔트로피’,‘ 비결정성’,‘ 우연’처럼 서로 대체 가능해 보이는 개념들을 둘러싼 혼동을 비판적으로 다룰 것이다. 이를 위해 「노버트 위너와 마샬 매클루언」, 〈당황한 비〉, 그리고 휠체어에 탄 백남준이 1997년 미국의 워커 아트센터에서 벌인 퍼포먼스와 같은 그의 중요한 언급과 글, 작업 및 퍼포먼스들을 재독해함으로써, 우리는 ‘쓸모없는 뉴미디어’로서의 〈다다익선〉이 내가 ‘시차적 당대성’이라 부르는 것을 어떻게 예시하는지 보게 될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우리는 백남준의 작업에 대한 기존의 논의 전반은 아니라 할지라도, 이에 필수적인 교정을 제공하게 될 것이며, 나아가 뉴미디어, 포스트-미디엄/포스트-미디어, 그리고 미디어고고학에 대한 동시대적 성찰에도 시사적인 자극을 더하게 될 것이다.

키워드

백남준, 엔트로피, 퍼포먼스, 시간-기반 미디어, 시차, 포스트-매체, 당대성

참고문헌(58)open

  1. [기타] 국립현대미술관 소통홍보팀 / 2019 / 국립현대미술관 <다다익선> 복원 방향 및 계획 발표

  2. [단행본] 귄터 안더스 / 2017 / 현대독일미학: 감각, 기억, 사유의 변증법 / 이학사

  3. [학술지] 김지훈 / 2016 / 매체를 넘어선 매체: 로잘린드 크라우스의 ‘포스트-매체’ 담론 / 美學(미학) 82 (1) : 73 ~ 115

  4. [단행본] 니콜라우스 아르농쿠르 / 2006 / 바로크음악은 ‘말’한다 / 음악세계

  5. [인터넷자료] / ‘다다익선’ 땜질 뒤엔 저작권자의 침묵이

  6. [학술지] 박은승 / 2018 / 원전 연주를 위한 음악 해석에 대한 고찰 / 음악교육공학 (35) : 133 ~ 152

  7. [인터넷자료] / 백남준‘ 다다익선’ 브라운관 수리해 원형유지… 2022년 재가동

  8. [보고서] 백남준미술관 / 2013 / NJP Reader #4: 음악의 전시(Exposition of Music)

  9. [단행본] 백남준 / 2019 / 백남준: 말에서 크리스토까지 / 백남준아트센터

  10. [인터넷자료] / 백남준 저작권자 하쿠타“ 삼촌 이용하려던 한국… 다시 대화할지 고민중”

  11. [인터넷자료] / 백남준 회고전 개최하는 영 테이트모던 미술관 큐레이터 인터뷰

  12. [단행본] 조르조 아감벤 / 2014 / 사물의 표시: 방법에 관하여 / 난장

  13. [인터넷자료] / 음악가로 출발한 백남준 음악세계 연구 조속히 이뤄져야

  14. [단행본] 임산 / 2012 / 청년, 백남준: 초기 예술의 융합 미학 / 마로니에북스

  15. [학술지] 정연심 / 2018 / ‘열린 체계’: 백남준의 예술과 기술의 협업 / 우리춤과 과학기술 14 (1) : 93 ~ 116

  16. [인터넷자료] / Art That Goes on the Blink

  17. [단행본] Balsom, Erika / 2017 / After Uniqueness: A History of Film and Video Art in Circulation / Columbia University Press

  18. [단행본] Chiu, Melissa / 2015 / Nam June Paik: Becoming Robot / Yale University Press

  19. [인터넷자료] Cramer, Florian / What is Post-Digital?

  20. [인터넷자료] Fouser, Robert / Having Fun with New Toys: Nam June Paik and the Aesthetic of Jaemi

  21. [단행본] Gleick, James / 2017 / 인포메이션 / 동아시아

  22. [단행본] Goodman, Nelson / 1968 / Languages of Art: An Approach to a Theory of Symbols / The Bobbs-Merril Co. Inc

  23. [단행본] Harnoncourt, Nikolaus / 2006 / 바로크음악은‘ 말’한다 / 음악세계

  24. [단행본] Herzogenrath, Wulf / 1988 / Nam June Paik Video Works 1963-1988 / Hayward Gallery

  25. [단행본] Hölling, Hanna / 2017 / Paik’s Virtual Archive: Time, Change, and Materiality in Media Art /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169

  26. [단행본] Joselit, David / 2013 / After Art / Princeton University Press

  27. [학술지] Joselit, David / 2007 / No Exit / October (119) : 37 ~ 45

  28. [단행본] Joselit, David / 2016 / 피드백 노이즈 바이러스: 백남준, 앤디 워홀, 그리고 이미지 정치에 관하여 / 현실문화

  29. [단행본] Joseph, Branden W / 2016 / Experimentations: John Cage in Music, Art, and Architecture / Bloomsbury

  30. [인터넷자료] Kane, Carolyn / The Cybernetic Pioneer of Video Art: Nam June Paik

  31. [학술지] Kim, Hee-young / 2017 / Indeterminate Temporality Embedded in Nam June Paik’s Early Experiments from 1959 to 1963 / Journal of Taipei Fine Arts Museum (34) : 9 ~ 37

  32. [단행본] Kittler, Friedrich / 1999 / Gramophone, Film, Typewriter, Geoffrey Winthrop-Young / Stanford University Press

  33. [단행본] Kostelanetz, Richard / 2003 / Conversing with Cage / Routledge

  34. [단행본] Krauss, Rosalind / 2017 / 북해에서의 항해: 포스트-매체 조건 시대의 미술 / 현실문화

  35. [학술지] Krauss, Rosalind / 1999 / Reinventing the Medium / Critical Inquiry 25 (2) : 289 ~ 305

  36. [단행본] Krauss, Rosalind / 2013 / 비정형: 사용자 안내서 / 미진사

  37. [단행본] Lee, Pamela M / 2004 / Chronophobia: On Time in the Arts of the 1960s / MIT Press

  38. [학술지] Martin, Joshua S / 2013 / Removing the Entropy from the Definition of Entropy: Cla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volution, Entropy, and the Second Law of Thermodynamics / Evolution: Education and Outreach 6 (1)

  39. [인터넷자료] Marshall, Colin / A Society of Screens: The Korean, and the World, envisioned by Nam June Paik

  40. [학술지] Norris, Andrew / 2003 / The Exemplary Exception / Radical Philosophy (119)

  41. [단행본] Nam June Paik / 1974 / Video ‘n’ Videology 1959-1973 / Everson Museum of Art, Syracuse, exhibition catalog

  42. [단행본] Paik, Nam June / 1964 / Afterlude to the Exposition of Experimental Television / fLuxus cc fiVe ThReE

  43. [인터넷자료] Paik, Nam June / Norbert Wiener and Marshall McLuhan: Communication Revolution

  44. [단행본] Paik, Nam June / 1976 / Video Art: An Anthology / The Raindance Foundation

  45. [인터넷자료] Peters, John Durham / Obsolescence in the Digital Era

  46. [학술지] Pillow, Kirk / 2003 / Did Goodman’s Distinction Survive LeWitt? / Journal of Aesthetics and Art Criticisms 61 (4)

  47. [인터넷자료] Sharpe, Emily / The Sistine Chapel’s System Upgrade: Nam June Paik’s immersive video to be recreated for Tate

  48. [단행본] Smithson, Robert / 1996 / Robert Smithson: Collected Writings /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9. [단행본] Tischleder, Babette B / 2015 / Cultures of Obsolescence: History, Materiality, and the Digital Age / Palgrave Macmillan

  50. [단행본] Wiener, Norbert / 2011 / 인간의 인간적 활용: 사이버네틱스와 사회 / 텍스트

  51. [학술지] Wimsatt Jr. W. K / 1946 / The Intentional Fallacy / The Sewanee Review 54 (3) : 468 ~ 488

  52. [인터넷자료] Wolf, Alexander / Life and Technology: The Binary of Nam June Paik

  53. [학술지] Zinman, Gregory / 2018 / Nam June Paik’s Etude 1 and the Indeterminate origins of Digital Media Art / October (164) : 3 ~ 28

  54. [인터넷자료] / https://www.si.edu/object/hmsg_96.4

  55. [인터넷자료] MoMA / Nam June Paik: Conservation of Untitled

  56. [인터넷자료] / Preserving Nam June Paik’s Electronic Superhighway

  57. [인터넷자료] / Time-Based Media

  58. [인터넷자료] / Time-Based M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