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중산층은 국민 전체를 대표하는 주된 소득계층이자 노동력을 공급하는 주체로 국민 경제에 있어 핵심적인 계층이다. 이에 따라 정부의 역점사업도 중산층에 집중되어 있으므로, 중산층의 대상 한정은 중요한 사안이다. 최근 몇 년간 정부가 발표한 중산층의 비중은 통계상으로는 증가하고 있으나 스스로를 중산층이라고 생각하는 체감중산층의 비중은 감소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OECD와 한국통계청의 기준에 의거하여 경제적 요소인 소득이라는 단일 척도로 계층을 분류하고, 그러한 중산층의 계층귀속의식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득으로 분류한 계층과 개인이 주관적으로 인지하는 체감중산층 간에는 괴리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산층이 실제로 중산층의 계층귀속의식을 갖는지 여부를 종속변수로 하여 다변량 통계분석을 실시한 결과, 소득, 연령, 직업, 결혼과 같은 객관적 지표와 자신이 예측하는 미래의 소득 변화, 타인과 비교한 소비생활 수준, 소비 및 지출규모에 대한 만족도 등과 같은 주관적 지표가 유의미한 독립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키워드

중산층, 계층귀속의식, 2015 한국의 소비생활지

참고문헌(43)open

  1. [단행본] 강성진 / 2010 / 중산층의 추이, 이탈원인과 대책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1 ~ 145

  2. [단행본] 강원택 / 2015 / 당신은 중산층입니까? / 21세기북스

  3. [기타] 국민일보 / 2012 / 내가 무슨? 중산층 인식 ‘와르르’.. 장기불황에 국민절반 난 저소득층

  4. [학술대회] 금현섭 / 2011 / 주관적 계층의식의 변동 - 사회보험의 효용성을 중심으로 / 서울 행정학회 동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251 ~ 272

  5. [학술지] 김유경 / 2012 / 중산층의 주관적 귀속의식 및 복지인식 / 보건복지 Issue & Focus 152 : 2012 ~ 2033

  6. [학술지] 남준우 / 2007 / 외환위기 이후 중산층의 규모 및 소득변화의 추이 / 노동정책연구 7 (4) : 1 ~ 24

  7. [학술지] 동아시아연구원 / 2009 / 중산층 인식과 실태: 중산층 ‘3不:不信, 不滿, 不安’심각 / 여론브리핑 59 (1) : 1 ~ 19

  8. [학술지] 박민정 / 2015 / 중산층의 여가활동 특성 및 여가생활만족도와 행복수준에 미치는 영향 분석: 2012년 국민여가활동조사를 바탕으로 /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9 (3) : 121 ~ 142

  9. [보고서] 삼성경제 / 2010 / 한국 중산층의 변화와 경제사회적 결과 : 1 ~ 93

  10. [학술지] 신관호 / 2007 / 소득분포 양극화의 특성과 경제·사회적 영향 / 한국경제의 분석 13 (1) : 63 ~ 124

  11. [기타] 서울경제 / 2014 / 중산층 70% 복원 말로만

  12. [학술대회] 석상훈 / 2008 / 외환위기 이후 소득이동에 대한 연구: 패널자료를 활용한 분석 / 한국노동패널 학술대회논문집

  13. [학술지] 유경준 / 2008 / 중산층의 정의와 추정 / KDI 재정․사회정책동향 2 (1) : 84 ~ 96

  14. [학술지] 유병희 / 2016 / 중산층 소비자의 소득 - 소비 격차에 따른 소비생활 여건과 문제 및 소비생활만족도 인식 연구 / 소비자문제연구 47 (1) : 45 ~ 66

  15. [학술지] 윤자영 / 2015 / 중산층 규모 추이와 재분배 정책 / 월간노동리뷰 : 52 ~ 61

  16. [학술지] 원종학 / 2013 / 소득계층 이동의 원인과 정책적 대응방안 / 재정포럼 206 : 6 ~ 14

  17. [학술지] 이병훈 / 2006 / 사회계층의식의 변동에 관한 연구 / 경제와 사회 (70) : 111 ~ 140

  18. [학술지] 이혜경 / 1993 / 한국인의 주관적 계층인식 / 사회과학연구 8 : 77 ~ 96

  19. [학술지] 여윤경 / 2007 / 한국가계의 은퇴준비에 관한 연구-중산층 가계의 주관적 은퇴준비 충분성을 중심으로- / 소비문화연구 10 (3) : 129 ~ 155

  20. [기타] 이코노믹리뷰 / 2015 / 2016 한국 중산층 보고서: 10명 중 8명 나는 빈곤층이다...중산층 실제기준은?

  21. [학술지] 조동기 / 2006 / 중산층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주관적 계층의식 / 한국인구학 29 (3) : 89 ~ 109

  22. [학술지] 최령 / 2013 / 소득계층과 주관적 계층인식에 따른 의료이용 : 『한국의료패널』자료를 중심으로 / 보건과 사회과학 (33) : 117 ~ 139

  23. [학술지] 최효미 / 2008 / 중산층의 사회계층 소속감에 대한 분석. 노동패널자료를 이용한 사례 / 노동리뷰 46 : 73 ~ 84

  24. [단행본] 황은애 / 2014 / 「한국의 소비생활지표」 개선연구 / 한국소비자원 : 14 ~ 18

  25. [단행본] 황은애 / 2015 / 2015 한국의 소비생활지표 / 한국소비자원

  26. [단행본] 홍두승 / 2005 / 한국의 중산층 / 서울대학교 출판부

  27. [보고서] 현대경제연구원 / 2013 / OECD기준 중산층과 체감중산층의 괴리

  28. [학술지] 현대경제연구원 / 2014 / 재정정책의 중산층 제고 효과와 시사점 / Weekly economic review : 14 ~ 31

  29. [보고서] 현대경제연구원 / 2014 / 당신은 중산층입니까

  30. [학위논문] Archer, P. C. / 2008 / Middle class identification: The influence of interclass context on middle class evaluations of morality and success

  31. [학술지] Banerjee, A. / 2008 / What is middle class about the middle classes around the world? /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 22 (2) : 3 ~ 28

  32. [학술지] Diener, E. / 1984 / Subjective well-being / Psychological Bulletin 95 : 542 ~ 575

  33. [학술지] Evans, M. D. R. / 1995 / Class and class conflict in six western nations /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0 (4) : 157 ~ 178

  34. [보고서] Grabka, M. M. / 2008 / The shrinking German middle class—signs of long-term polarization in disposable income? : 21 ~ 27

  35. [단행본] Jackman, Mary R. / 1983 / Class awareness in the United States / Univ of California Press : 1 ~ 231

  36. [학술지] Lee, D-J. / 2002 / Developing a subjective measure of consumer well-being / Journal of Macromarketing 22 (2) : 158 ~ 169

  37. [학술지] Lindemann, K. / 2007 / The impact of objective characteristics on subjective social position / TRAMES 11 (61/56) : 54 ~ 68

  38. [단행본] Pettai, I. / 2002 / Kaks Eestit / TPÜ kirjastus : 118 ~ 126

  39. [학술지] Sirdeshmukh, D. / 2002 / Consumer trust, value, and loyalty in relational exchange / Journal of Marketing 66 : 15 ~ 37

  40. [학술지] Sosnaud, B. / 2013 / Class in name only: Subjective class identity, objective class position, and vote choice in American presidential elections / Social Problems 60 (1) : 81 ~ 99

  41. [단행본] Vannenman, R. / 1987 / The American Perception of Class / Temple University Press

  42. [학술지] Veenhoven, R. / 2002 / Why social policy needs subjective indicators / Social Indicators Research 58 (1) : 333 ~ 345

  43. [학술지] Yamaguchi, K. / 2002 / Class identification of married employed women and men in America /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08 (2) : 440 ~ 4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