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일본의 식민지이자 괴뢰국이었던 만주국의 문학은 각 민족의 다양한 문학적 상상(想像)과 신세대 작가들의 등장을 바탕으로 형성, 발전하였다. 이 과정에서 만주국 문단에 등장한 여성작가들은 만주국 문학의 내용을 더욱 풍부하게 만들었으며, 작품 속에서 자신들이 직접 경험하고 관찰한 만주국 사회의 모습과 민중들의 삶을 반영하였다. 이 시기 만주국 문화⋅예술계에 등장한 양쉬(楊絮)는 가수와 배우, 기자, 작가, 편집자 등 다양한 직업을 경험했던 인물로 만주국 문화계와 문단에 있어서도 상당히 중요한 의의를 지니고 있다. 특별히 양쉬의 문학은 자신의 경험에 대한 솔직하고 사실적인 묘사를 통해 작가의 개성과 주관을 뚜렷하게 드러내고 있으며 만주국의 스타와 평범한 여성의 삶 속에서 끊임없이 교차하고 고뇌하는 개인적 사색의 내용을 담고 있다. 이러한 의의에도 불구하고 양쉬를 비롯한 만주국 여성작가에 대한 논의는 만주국 문학을 친일문학으로 바라보는 사회적 편견과 그 속에 드러나는 식민지의 그림자로 인해 해방 이후 오랜 시간 동안 심도 있는 논의가 진행되지 못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식민지 공간과 문화라는 독특한 배경 하에 성장한 만주국의 여성 작가 양쉬의 삶과 문학을 되돌아보고 그녀의 문학 창작이 지니는 특징에 대한 분석을 시도한다. 나아가 이러한 내용을 토대로 당시 만주국 사회에 등장한 신여성들과 이들이 만주국에서 지니는 사회적 의미 및 중층적 상징성에 대해 고찰한다.

키워드

양쉬, 《나의 일기》, 만주국문학, 만주국여성문학, 만주국여성작가, 여성교육, 만주국신여성

참고문헌(29)open

  1. [단행본] 楊絮 / 2017 / 楊絮作品集 (僞滿時期文學資料整理與硏究) / 北方文藝出版社

  2. [단행본] 張毓茂 / 1996 / 東北現代文學大系: 1919-1949⋅第九集⋅散文卷(上) / 瀋陽出版社

  3. [단행본] 吳瑛 / 2017 / 吳瑛作品集 (僞滿時期文學資料整理與硏究) / 北方文藝出版社

  4. [단행본] 金長善 / 2017 / 僞滿洲國時期朝鮮人文學與中國人文學比較研究 (僞滿時期文學資料整理與硏究) / 北方文藝出版社

  5. [단행본] 劉春英 / 2017 / 僞滿洲國文學大事記(下) (僞滿時期文學資料整理與硏究) / 北方文藝出版社

  6. [단행본] 劉曉麗 / 2017 / 僞滿洲國的文學雜誌 (僞滿時期文學資料整理與硏究) / 北方文藝出版社

  7. [단행본] 大久保明男 / 2017 / 僞滿洲國的漢語作家和漢語文學 (僞滿時期文學資料整理與硏究) / 北方文藝出版社

  8. [단행본] 大久保明男 / 2017 / 僞滿洲國主要漢語報紙文藝副刊目錄 (僞滿時期文學資料整理與硏究) / 北方文藝出版社

  9. [단행본] 諾曼 / 2017 / 反抗<滿洲國>―僞滿洲國女作家硏究 (僞滿時期文學資料整理與硏究) / 北方文藝出版社

  10. [단행본] 劉晶輝 / 2004 / 民族, 性別與階層―僞滿時期的“王道政治 / 社會科學文獻出版社

  11. [단행본] 劉書琴 / 2018 / 東亞文學場: 臺灣, 朝鮮, 滿洲的殖民主義與文化交涉 / 聯經

  12. [단행본] 劉愛華 / 2004 / 孤獨的舞蹈 : 東北淪陷時期女性作家群體小說論 / 北方婦女兒童出版社

  13. [단행본] 吳俊 / 2010 / 中國現代文學期刊目錄新編(上) / 上海人民出版社

  14. [단행본] 미셸 푸코 / 1997 / 자기의 테크놀로지 / 동문선

  15. [단행본] 오카다 히테키 / 2008 / 문학에서 본 ‘만주국’의 위상 / 역락

  16. [단행본] 윤휘탁 / 2013 / 滿洲國 : 植民地的想像이 잉태한 ‘複合民族國家’ / 혜안

  17. [단행본] 취샤오판 / 2016 / 중국 동북 지역 도시사 연구 - 근대화와 식민지 경험 / 진인진

  18. [단행본] 한석정 / 2008 / 주권과 순수성 / 나남

  19. [단행본] 張毓茂 / 1996 / 東北現代文學大系 : 1919-1949⋅第一集⋅評論卷 / 瀋陽出版社

  20. [학술지] 何爽 / 2020 / 抗戰時期東北報載戲劇生存樣態硏究―基於《盛京時報》與《大同報》的對比考察 / 戲劇文學 (4)

  21. [학술지] 何爽 / 2018 / 東北淪陷時期女性詩歌創作―以楊絮, 藍苓, 但娣爲例 / 現代交際 (22)

  22. [학술지] 康寧 / 2015 / 東北淪陷時期音樂敎育之思辨 / 當代音樂 (11)

  23. [학술지] 劉曉麗 / 2019 / “玻璃缸裏的魚”與“飄落的楊絮”―殖民地的弱危美學 / 學術月刊 (3)

  24. [기타] 哈爾濱硏究院 / 1986 / 東北文學硏究史料, 1986년 제6집

  25. [학술지] 王越 / 2019 / 淪陷區女性形象的“他塑”與“自塑”―以東北淪陷時期女作家創作為中心 / 學術交流 (8)

  26. [학술지] 徐雋文 / 2015 / 滿洲國明星作家楊絮的文化表演與寫作 / 現代中文學刊 (6)

  27. [학술지] 徐雋文 / 2015 / “狂歌”與“狂戀”的文筆人生―論“滿洲國”女作家楊絮的文學創作 / 名作欣賞 (22)

  28. [학술지] 교양 / 2020 / 만주국 시기 여작가를 통해서 본 여성 이미지: 소홍, 강경애, 그리고 우시지마 하루코의 자전체 소설을 중심으로 / 비교문학 (81) : 5 ~ 50

  29. [학술지] 정겨울 / 2020 / 만주국 여성작가와 문학에 대한 小考 ― 우잉(吳瑛)의 문학 창작을 중심으로 / 중국현대문학 (92) : 67 ~ 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