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テクレルのマイナス待遇化」に関する一考察 -非恩恵表現を中心に-

A review of the negative treatment of ‘テクレル’ -With a focus on reception of non-blessing

일어일문학연구
약어 : -
2018 vol.105, no.1, pp.23 - 43
DOI : 10.17003/jllak.2018.105.1.23
발행기관 : 한국일어일문학회
연구분야 : 일본어와문학
Copyright © 한국일어일문학회
14 회 열람

본고는 일본어의 ‘テクレル의 마이너스 대우화’의 ‘비은혜’적인 표현의 사용양상을 대우커뮤니케이션의 관점에서 분석·고찰하였다. 본고에서는 ‘표현주체가, 자신이나 자신 측에게 바람직하지 않은 일을 한 대상에 대한 마이너스의 대우의도를, 플러스의 대우표현인 ‘テクレル’를 사용하여 표현하는 발화행위‘를 ‘テクレル의 마이너스 대우화’ 로 규정짓고, 드라마의 시나리오 등을 제재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표현주체의 표현의도에 따라 다양한 장면에서 이러한 언어행동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テクレル의 마이너스 대우화’는 그 표현형식에 따라 크게 <표현형식과 표현내용이 일치하는 표현>과 <표현형식과 표현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표현>으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テクレル’의 앞에 사용되는 동사로는, ‘말하다, 하다, 오다’등이 대부분이었다. 주로 상사와 부하 등의 <상→하>의 인간관계에서 많이 볼 수 있었는데, 표현주체는 자신이나 자신 측에 피해를 입힌 대상, 넓게는 그에 따른 상황에 대한 ‘분노’‘비난’‘민폐’‘비아냥’‘항의’‘자조’등을 나타내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발화행위를 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는 ‘‘テクレル’’를 사용하면 발화효과가 높아지고, 그로 인해 마이너스대우의 의도를 더욱 강조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일반적으로 ‘피해’나 ‘민폐’의 기분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수동문이 자주 사용되는데, 이 경우 가해자와 피해자가 표현주체와 이해주체라는 것을 명확하게 나타낼 수 없기 때문에, ‘피해’와 ‘민폐’ 사실 이외의 다른 마이너스의 발화의도는 잘 나타나지 않는다. 하지만 ‘テクレル’를 사용한 마이너스대우 발화의 경우, 가해자와 피해자가 비교적 명확한데다가, 원래 가지고 있는 ‘은혜성’의 영향으로 ‘민폐’이외의 다른 표현의도를 나타낼 수 있음과 동시에 마이너스대우 의도를 강조할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와 같이 ‘テクレル’의 마이너스 대우화’를 사용하는 언어행동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paper reviewed and analyzed the usage patterns of the negative treatment of ‘tekureru’ in Japanese, with a focus on the expression of ‘non-blessings’. In this paper, the negative treatment of ‘tekureru' are defined as a negative treatment intent towards undesirable things on one’s own part or on another’s part, where the auxiliary verb for reception ‘tekureru’ is used in articulation. Materials from the scripts of TV soap operas were used for this analysis. The review confirmed that depending on the expressive intent of the speaker, such acts of articulation occurred in various scenes. The expression of negative treatment of tekureru can be categorized, depending on the expression format, into <expressions where expressive format and expressive intent align> and <expressions where expresive format and expressive intent misalign>. The verbs used in front of tekureru were mostly those meaning ‘to speak’, ‘to do’ or ‘to come’. The expressions were often found in hierarchical relationships such as the relationship between a supervisor and a subordinate. The speaker was found to show his expressive intent of ‘anger’, ‘criticism’, ‘inconvenience’, ‘sarcasm’ in a broader sense towards his self or the agent who inflicted damage on himself or those close to him. The cause for using such articulation seems to be due to the emphasis of negative treatment intent that is available when ‘‘tekureru’’ is used. In the case of negative articulation when ‘tekureru’is used, the victim and the offender are relatively clearly defined, and due to the effect of the innate ‘blessing aspect’, another expressive intent other than ‘inconvnenience’ is expressed while emphasizing a negative treatment intent at the same time.

非恩恵表現, プラス待遇表現, マイナス待遇, 嫌味, テクレルのマイナス待遇化
non-blessings, Expression of positive treatment, A negative treatment, Sarcasm, The negative treatment of ‘tekureru’

  • 1. [단행본] 庵功雄 / 2003 / やさしい日本語 のしくみ / くろしお出版 : 54 ~
  • 2. [단행본] 今井邦彦 / 2012 / ことばの意味とはなんだろう―意味論と語用論の役割 / 岩波書店 : 1 ~
  • 3. [학술지] 益岡隆志 / 2001 / 日本語における授受動詞の恩恵性 / 言語(特集「授受の言語語学」) / 30 (5) : 26 ~ 5
  • 4. [단행본] 蒲谷宏 / 2009 / 敬語表現ハンドブック / 大修館書店 : 86
  • 5. [단행본] 菊地康人 / 1997 / 敬語 / 講談社 : 41 ~
  • 6. [학술지] 김수경 / 2015 / 「プラス待遇表現のマイナス待遇化」における 発話機能と人間関係 / 일어일문학연구 / 92 (1) : 23 ~ 1 kci
  • 7. [학술지] 김수경 / 2015 / 日本語における「マイナス待遇表現のプラス待遇化」 -発話機能を中心に- / 일어일문학연구 / 95 (1) : 67 ~ 1 kci
  • 8. [학술지] 橋元良明 / 2001 / 授受表現の語用論 / 言語(特集「授受の言語語学」) / 30 (5) : 26 ~ 5
  • 9. [학술지] 浜崎敏行 / 1999 / 皮肉発生に対  する知覚的印象の音律からの推定 / 音声言語情報処理 / 27 (1) : 1 ~ 1
  • 10. [단행본] 森勇太 / 2016 / 発話行為から見た日本語授受表現の歴史的研究 / ひつし書房 : 3 ~
  • 11. [단행본] / 2013 / すいか1·2 / 河出文庫
  • 12. [단행본] 輿水泰弘 / 2011 / 相棒シナリオ傑作選1·2 / 竹書房
  • 13. [단행본] シナリオ作家協会 / 2013 / 12年鑑代表シナリオ集 / 年鑑代表シナリオ集編纂委員会
  • 14. [단행본] 日本脚本家連盟 / 2005 / テレビドラマ代表作選集 / 日本脚本家連盟など
  • 15. [인터넷자료] / http://www.plala.or.jp/ban/
  • 16. [기타] / 2005 / 花より男子
  • 17. [기타] / 2013 / 半沢直樹3
  • 18. [기타] / 2016 / 声の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