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西遊見聞』 用言類 硏究

A Study on the Verbs in Seo-Yu-Kyeon-Mun

구결연구
약어 : -
2014 no.33, pp.393 - 441
DOI : 10.17001/kugyol.2014..33.013
발행기관 : 구결학회
연구분야 : 한국어와문학
Copyright © 구결학회
377 회 열람

이 논문은 『西遊見聞』에 쓰인 用言類를 類型別로 분류하고 각 유형의 用言들이 보여주는 용법상의 특징을 정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서론에서는 연구 목적과 방법론을 기술하고 2~7장에서는 『西遊見聞』에 쓰인 용언류를 고유어 용언, 漢字語 用言, ‘-이-’계 述語句로 나누어 그 특성과 용법을 검토하였다. 8장에서는 분석 결과를 종합하고 『西遊見聞』 텍스트의 생성 과정을 논하였다. 논문의 내용을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① 고유어 용언은 문법적 기능을 가진 예들만 확인된다. 본동사로 쓰인 예는 보이지 않는다. 이는 漢文 原文에 懸訣되는 口訣文이나 註釋文에서 문법적 요소만을 한글로 표기하는 것과 통한다. ② 단음절 한자 용언 중에는 문법적 단어로 쓰이는 것이나 轉移語로 나타나는 것이 많다(ex. 無-, 然-). 이와 함께 單音節 漢字 用言은 多音節 漢字語 用言 혹은 혹은 漢文句의 해체를 통해 만들어지는 예가 많고, 또 대부분 용례 빈도가 높은 부류다. 이는 『西遊見聞』 텍스트에 쓰인 단음절 한자 용언이 고유어를 그에 대응하는 한자로 바꾸는 방식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님을 의미한다. ③ 多音節 漢字語 用言類는 조어법 상 한문 문법의 조어법이나 수사법을 차용한 것이 대부분이다. 또한 2음절, 3음절 한자어 중 한국어의 양태 표현 구성 전체를 한문 문법을 바탕으로 漢文句로 바꾸고 그 한문구에 ‘-’를 결합해 사용하는 것들의 비중이 큰 것도 주목할 만하다. ④ 3음절 4음절 한자어 용언으로 쓰일 것으로 기대되는 것 중에서 그 구성 요소를 해체하여 국어 문장 구성 방식에 따라 재배열한 것이 적지 않다. 3음절, 4음절 한자어 용언 중에 語基가 述目 構成을 이루는 예가 없는 점이 이를 잘 보여 준다. 또한 필사본 고소설에 쓰인 한문구 용언류와 대조해 보면 『西遊見聞』 용언류 중 3, 4음절 한자어 용언의 내적 구성이 가지는 특성이 차이가 잘 드러난다. ⑤ ‘-이-’계 述語句가 쓰이며, ‘-이-’계 술어구의 70% 이상이 한국어 양태 표현 구성을 漢文句化한 것이거나 한문 구절을 그대로 사용한 것이다. 이러한 용언류의 분석 결과와 기존의 연구, 『西遊見聞』 序文의 기술 내용 등을 고려할 때, 『西遊見聞』의 國漢混用文은 漢文으로 구상하고 漢文의 구성 요소들을 해체하여 국어 문법에 따라 재배열하는 방식으로 새로운 書寫方式을 도입한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ssify the verbs in Seo-Yu-Kyeon-Mun and clarify the lexico-grammatical cheracteristics of them. In Ch.1 we described the purpose and mothodologies, and from Ch. 2 to Ch. 7 we examined usages and characterstics of the verbs. In Ch. 8 we have dealt the creation of mixed-script tex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verbs.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verbs can be summurized as follows. ① Original Korean verbs have only grammatical functions. There is none which is used as lexical word. ② Among the one-syllabled sino-korean verbs, there are much which are used as grammatical words, and created by the decomposition of the multi-syllabed verbs. ③ The multi-syllabed verbs are formed by the grammar of chinese language or by the influence of the rhetorics. The most important kinds of Sino-korean verbs are those which are used to express the modal expressions of Korean, especially Negation, Prohibition, Wish etc. ④ The multi-syllabed Sino-korean verbs are tends to be decomposed and rearranged according to the Korean Grammar. ⑤ There are predicates which have the structures of ‘predicate-noun + copula’. The ‘predicate-noun + copula’ structures are considered to be originate from way of reading chinese texts and sometime reflect of chinese greammar, which may be considered as a kind of blending.

현대 한국어 태동기, 국한혼용문, 한자어 용언, 조어법, 한문 문법, 혼효, 서유견문
Mixed-Script texts in Early Stages of Modern Korean, Sino-Korean Verbs, Word formation, grammatical blending, Seo-Yu-Kyeon-Mun

  • 1. [학술지] 김상대 / 1987 / 口訣文의 設定에 대하여 / 國語學 / 16 : 177 ~
  • 2. [단행본] 김상대 / 1993 / 口訣文의 硏究 / 한신문화사
  • 3. [학술지] 김영민 / 2009 / 근대계몽기 문체 연구: 유길준을 중심으로 / 동방학지 (148) : 391 ~ 148 kci
  • 4. [단행본] 김완진 / 1983 / 韓國 語文의 諸問題 / 일지사 : 229 ~
  • 5. [학술지] 김주필 / 2007 / 19世紀 末 國漢文의 性格과 意味 / 진단학보 (103) : 193 ~ 103 kci
  • 6. [단행본] 김철 / 2008 / 복화술사들 : 소설로 읽는 식민지 조선 / 문학과 지성사
  • 7. [단행본] 김태준 / 1976 / 박영문고 92 / 박영사
  • 8. [단행본] 김태준 / 1976 / 西遊見聞(속) / 박영사
  • 9. [단행본] 김태준 / 2004 / 한힌샘 주시경 연구 17 / 탑출판사 : 65 ~
  • 10. [학술지] 김흥수 / 2004 / 이른바 개화기의 표기체 유형과 양상 / 국어문학 / 39 : 39
  • 11. [학술지] 南美惠 / 2007 / 四字成語의 유형과 문법 / 어문연구(語文硏究) / 35 (1) : 139 ~ 1 kci
  • 12. [학술지] 남풍현 / 1973 / 杜詩諺解 註釋文의 文法的 考察 / 東洋學 / 3 : 75 ~
  • 13. [학술지] 1994 / 開化期 國語 文體에 대한 종합적 연구(1) / 국어교육 / 83, 84합 : 113 ~
  • 14. [학술지] 송민 / 2013 / 漢字語에 대한 어휘사적 조명 / 國語學 (66) : 3 ~ 66 kci
  • 15. [학술지] 안대회 / 2006 / 조선후기 이중 언어 텍스트와 그에 관한 논의들 /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24) : 203 ~ 24 kci
  • 16. [단행본] / 1977 / 中世國語 口訣의 硏究 / 일지사
  • 17. [학술지] 안예리 / 2013 / ‘1음절 한자어+하다’ 용언의 통시적 변화 - 말뭉치 언어학적 접근 - / 한국어학 / 58 : 107 ~ kci
  • 18. [단행본] 윤용선 / 2003 / 15세기 언해 자료와 구결문 / 도서출판 역락
  • 19. [단행본] 이기문 / 1970 / 개화기의 국문 연구 / 일조각
  • 20. [학술지] 이기문 / 1984 / 開化期의 國文 使用에 관한 硏究 / 韓國文化 / 5 : 65 ~
  • 21. [학술지] 이병근 / 2000 / 유길준의 언문 사용과 서유견문 / 震檀學報 / 89 : 309 ~
  • 22. [학술지] 이석주 / 1979 / 개화기 국어의 표기 연구- 西遊見聞과 國民小學讀本을 중심으로 / 한성대논문집 / 3 : 53 ~
  • 23. [단행본] 이승재 / 2004 / 방언연구 : 자료에서이론으로 / 태학사 : 131 ~
  • 24. [단행본] 이한섭 / 2000 / 西遊見聞 語彙索引 / 도서출판박이정
  • 25. [학술지] 이호권 / 2008 / 조선시대 한글 문헌 간행의 시기별 경향과 특징 / 한국어학 / 41 : 83 ~ kci
  • 26. [단행본] 임상석 / 2008 / 20세기 국한문체의 형성 과정 / 지식산업사
  • 27. [학술지] 정병설 / 2001 / 朝鮮後期 東아시아 語文交流의 한 斷面 : 東京大 所藏 한글飜譯本 玉嬌梨를 中心으로 / 한국문화 / 27 : 55 ~
  • 28. [학술지] 정병설 / 2008 / 조선후기 한글 · 출판 성행의 매체사적 의미 / 진단학보 (106) : 145 ~ 106 kci
  • 29. [단행본] 채훈 / 1983 / 서유견문 / 신화사
  • 30. [학술지] 한영균 / 1987 / 孟子諺解 異本攷 / 울산어문논집 / 3 : 19 ~
  • 31. [학술지] 한영균 / 2011 / 『西遊見聞』 文體 硏究의 現況과 課題 / 國語學 (62) : 225 ~ 62 kci
  • 32. [학술지] 한영균 / 2013 / 近代啓蒙期 國漢混用文의 類型·文體 特性·使用 樣相 / 구결연구 (30) : 219 ~ 30 kci
  • 33. [학술지] 한영균 / 2013 / 19세기 서양서 소재 한국어 어휘 자료와 그 특징 / 한국사전학 (22) : 277 ~ 22 kci
  • 34. [학술지] 한영균 / 2013 / 宗古聖敎會 刊行의 國語史 資料에 대하여 / 언어사실과 관점 / 32 : 1 ~ kci
  • 35. [단행본] 허경진 / 2004 / 조선 지식인 유길준 서양을 번역하다-서유견문 / 도서출판 서해문집
  • 36. [단행본] 홍종선 / 2000 / 현대국어의 형성과 변천 3-문체, 어휘, 표기법 / 박이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