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최근 일자리를 둘러싼 세대담론이 과잉 양산되는 경향을 보이지만, 경험적인 분석은 그리 많지 않다. 고령자가 청년일자리를 잠식하는지 단정하기 어려운데, 세대 간 일자리 경쟁담론이 확대 재생산되는 셈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 제12~15차를 활용하여 임금근로자 4.645명을 불균형 패널로 구축하여 패널 로짓 확률효과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세대 간 일자리 대체관계의 중심에 있는 일자리 질에 초점을 맞추었다. 분석결과 첫째, 질 좋은 일자리에 종사하는 임금근로자 비율은 40.6%로 낮게 나타났다. 세부지표별로는 고용안정성을 나타내는 정규직 비율이 53.7%, 월 최저임금 이상을 받는 근로자가 77.5%, 4대 사회보험의 보호를 받는 임금근로자가 61.4%이다. 둘째, 세대별 고통의 분포는 생애주기의 양 끝단에 있는 20대와 50대 그리고 60세 이상에 집중되는 역 U자형이다. 20대의 일자리 질도 낮지만, 50대부터 낮아지기 시작해서 60세가 넘으면 다른 세대와 비교하기 어려울 정도의 하층 일자리에 종사한다. 청년과 고령자는 모두 노동시장의 취약계층인데. 청년 노동시장의 문제를 고령자에게 찾으며 ‘을’과 ‘을’의 일자리 전쟁으로 몰아갔던 것으로 보인다. 셋째, 패널 로짓 확률효과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20대의 일자리 질이 50대보다 높게 나타났다. 통계적으로 유의할 정도의 차이는 없지만 고령자가 좋은 일자리를 차지하고 있어서 청년들이 질 낮은 일자리를 전전할 수밖에 없다는 세대담론을 지지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결과는 노동시장문제를 세대게임으로 환원하거나 청년-고령자의 이분법적인 선택으로 접근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음을 말해준다.

키워드

청년, 고령자, 세대, 일자리 대체관계, 일자리의 질, 패널 로짓 확률효과모형

참고문헌(104)open

  1. [학술지] 강창희 / 2020 / 최저임금 인상이 고용규모에 미치는 영향 : 집군추정법(Bunching Estimator)을 활용한 분석 / 한국경제의 분석 26 (1) : 87 ~ 133

  2. [학술지] 강철희 / 2004 / 재취업자의 고용의 질에 관한 연구: 재취업 고용형태와 임금수준 예측요인에 대한 탐색 / 사회보장연구 20 (1) : 83 ~ 116

  3. [기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 2021 / 2020년 진료비통계지표(진료일 기준)

  4. [기타] 관계부처합동 / 2019 / 인구구조 변화의 영향과 대응방향 총론 : 인구구조 변화 대응전략- / 관계부처합동 보도자료

  5. [단행본] 고용노동부 / 2021 / 2021년 고용노동백서

  6. [기타] 국민연금공단 / 2021 / 국민연금 공표통계(2021년 7월말 기준) / 국민연금공단

  7. [학술지] 권용재 / 2020 / 고령층의 경제활동 참여증가가 청년고용 등에 미치는 영향: 광주․전남지역을 중심으로 / 사회과학연구 46 (2) : 167 ~ 205

  8. [학술지] 권재열 / 2020 / 가동연한 연장의 의의와 영향 - 대법원 2019. 2. 21. 선고 2018다248909 전원합의체 판결 - / 법조 69 (2) : 745 ~ 763

  9. [학술지] 김대일 / 2012 / 최저임금의 저임금 근로자의 신규 채용 억제효과 / 노동경제논집 35 (3) : 29 ~ 50

  10. [학술지] 김대일 / 2021 / 정년 연장의 고용효과 / 노동경제논집 44 (2) : 1 ~ 31

  11. [학술지] 김범식 / 2015 / 고용의 질 지수를 활용한 서울시 고용의 질 평가와 구성요소별 분해 / 서울도시연구 16 (4) : 215 ~ 229

  12. [학술지] 김선기 / 2014 / 세대연구를 다시 생각한다 : 세대주의적 경향에 대한 비판적 검토 / 문화와 사회 17 : 207 ~ 248

  13. [학술지] 김세움 / 2013 / 조직 내 세대 간 일자리 공존은 가능한가? / 월간 노동리뷰 : 51 ~ 65

  14. [학술지] 김영곤 / 2016 / 소방조직 내 한국적 조직문화가 세대 간 갈등에 미치는 영향 / 행정논총 54 (2) : 233 ~ 264

  15. [학술지] 김은하 / 2007 / 일자리의 질과 노동 생산성 및 분배의 관계에 관한 비교 연구 / 사회복지정책 (30) : 115 ~ 141

  16. [학술지] 김정우 / 2016 / 고용의 질은 개선되고 있는가: 사업체 패널조사 분석결과 / 노동리뷰 : 20 ~ 41

  17. [보고서] 김정희 / 2021 / 코로나19 비대면산업동향과 대학생 취업인식 분석

  18. [학술지] 김종수 / 2019 / 21세기 한국 사회의 세대 논쟁: 세대 갈등에서 세대 게임으로! / 비교문화연구 56 : 45 ~ 63

  19. [학술지] 남국현 / 2021 / 임금피크제의 도입이 고용 및 노동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 직업능력개발연구 24 (2) : 261 ~ 284

  20. [학술지] 남춘호 / 2011 / 고용의 질 지수를 이용한 노동시장의 불평등과 양극화추세 분석 / 경제와 사회 (92) : 305 ~ 350

  21. [학술지] 노용환 / 2007 / 주성분분석을 이용한 우리나라 '고용의 질' 추이 분석 / 직업능력개발연구 10 (3) : 45 ~ 65

  22. [기타] 대한상공회의소 / 2021 / 중장년 인력관리에 대한 기업실태 조사. 2021.09.27. 보도자료

  23. [단행본] 도종환 / 2012 / 흔들리며 피는 꽃 / 문학동네

  24. [학술지] 박길성 / 2011 / 한국사회의 세대갈등: 연금과 일자리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 12 (1) : 3 ~ 25

  25. [학술지] 박재흥 / 2001 / 세대연구의 이론적ㆍ방법론적 쟁점 / 한국인구학 24 (2) : 47 ~ 78

  26. [학술지] 박재흥 / 2009 / 세대명칭과 세대갈등 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 경제와 사회 (81) : 10 ~ 34

  27. [보고서] 방하남 / 2007 / 고용의 질-거시・기업・개인수준에서의 지표개발 및 평가

  28. [학술지] 방하남 / 2016 / 고용보험의 사각지대와 정책과제에 관한 연구: 실업급여를 중심으로 / 사회복지정책 43 (1) : 51 ~ 79

  29. [보고서] 백흥기 / 2017 / 사업서비스업 부진의 원인과 시사점

  30. [기타] 보건복지부 / 2020 / 2021년 보건복지부 예산 89조 5766억 원 최종 확정 2020.12.02. 보도자료

  31. [기타] 보건복지부 / 2021 / 2021년 국민기초생활보장 사업안내

  32. [학술지] 서기주 / 2009 / 사회갈등의 구조 및 특성에 관한 연구 / 경찰연구논집 (5) : 185 ~ 209

  33. [학술지] 신경아 / 2011 / 산업화 세대의 일 중심적 삶 : 남성노동자의 구술생애사 연구 / 산업노동연구 17 (2) : 239 ~ 276

  34. [학술지] 신재열 / 2021 / 첫 일자리의 선택이 노동소득에 미치는 영향: 첫 일자리 이후의 일자리 이행과 노동소득의 변화에 관한 검토 / 경제와 사회 (131) : 210 ~ 252

  35. [학술지] 신진욱 / 2020 / 세대불평등 담론의 정치적 계보와 의미론: ‘386’ 담론의 구조와 변화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 1990~2019년 / 경제와 사회 (126) : 407 ~ 442

  36. [보고서] 안서연 / 2020 / 중고령자의 경제생활 및 노후준비실태

  37. [보고서] 안주엽 / 2011 / 세대간 고용대체 가능성 연구

  38. [학술지] 오민홍 / 2015 / 정년연장이 청년일자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7 (4) : 2005 ~ 2013

  39. [단행본] 우치다테 마키코 / 2018 / 끝난 사람 / 한스미디어

  40. [보고서] 유진성 / 2021 / 산업별 청년층 취업자 추이 분석과 시사점

  41. [학술지] 유홍준 / 2014 / 고용의 질:연령계층화와 구조적 지체에 대한 탐색(1983~2012) / 노동정책연구 14 (3) : 1 ~ 36

  42. [학술지] 이경호 / 2019 / 최저임금 인상이 신규근로자 고용과 근로시간에 미치는 영향 / 노동경제논집 42 (2) : 63 ~ 99

  43. [학술지] 이병희 / 2021 / 중고령자 계속고용 촉진의 필요성과 지원방안 / 월간 노동리뷰 : 40 ~ 53

  44. [학술지] 이병훈 / 2016 / 일자리 질의 양극화 추이에 관한 실증분석 / 노동정책연구 16 (4) : 37 ~ 64

  45. [학술지] 이승윤 / 2017 / 한국 청년노동시장의 불안정성 분석 / 비판사회정책 (54) : 487 ~ 521

  46. [학술지] 이영주 / 2015 / 프레이밍의 ‘정서적 효과’에 관한 연구: ‘공감’을 매개변인으로 노인문제 프레이밍이 세대차이, 노인부담 인식, 정책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 언론과학연구 15 (4) : 271 ~ 306

  47. [학술지] 이은희 / 2016 / 20대 청년세대의 고민과 경제문제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주요 인터넷 게시판 분석을 중심으로 - / 소비자정책교육연구 12 (2) : 121 ~ 143

  48. [학술지] 이자형 / 2014 / 비인지적 능력과 일자리의 관계에 관한 맥락적 이해 / 교육사회학연구 24 (2) : 209 ~ 241

  49. [학술지] 이재경 / 2015 / 한국의 세대불평등과 세대정치: 일자리영역에서 나타나는 정책주도 불평등을 중심으로 /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28) : 15 ~ 44

  50. [학술지] 이재경 / 2018 / 세대갈등의 양상, 원인, 대안 모색 한국의 렌트(추구)사회를 중심으로 / 경제와 사회 (118) : 18 ~ 48

  51. [학술지] 이정 / 2019 / 최저임금 상승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 분석: 청년층과 중장년층의 비교 / 공공사회연구 9 (2) : 34 ~ 58

  52. [학술지] 이정민 / 2016 / 최저임금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 / 노동경제논집 39 (2) : 1 ~ 34

  53. [학술지] 이철승 / 2019 / 세대, 계급, 위계: 386 세대의 집권과 불평등의 확대 / 한국사회학 53 (1) : 1 ~ 48

  54. [학술지] 임유진 / 2021 / 복지와 세대 갈등의 상관성에 관한 비판적 검토 / 대한정치학회보 29 (2) : 53 ~ 73

  55. [학술지] 장지연 / 2017 / 임금피크제 지원금의 고령자와 청년 고용 효과에 관한 연구 / 동향과 전망 (100) : 244 ~ 274

  56. [학술지] 장지연 / 2019 / 사회보험 사각지대: 고용보험과 산재보험을 중심으로 / 노동리뷰 : 9 ~ 19

  57. [학술지] 전상진 / 2015 / 비참한 청년과 화려한 기성세대? : 청년성과 세대게임 / 자음과 모음 29 : 126 ~ 143

  58. [보고서] 정진호 / 2020 / 60세 정년의무화의 고용효과

  59. [보고서] 조성호 / 2020 / 일자리 안정과 저출산 대응 방안 연구

  60. [보고서] 중소벤처기업부 / 2021 / 2020년 소상공인실태조사 결과(잠정)

  61. [학술지] 지은정 / 2008 / 고령남성의 경제활동참가 결정요인 연구 - 노후빈곤노동가설 및 숙련편향기술진보설을 중심으로 - / 한국사회복지학 60 (3) : 31 ~ 58

  62. [학술지] 지은정 / 2009 / 노후 노동지위:생애노동경력과 재산을 매개로 / 한국사회복지학 61 (1) : 323 ~ 357

  63. [학술지] 지은정 / 2012 / OECD 15개국 청년고용과 중고령자 고용의 대체관계 / 한국사회복지학 64 (4) : 233 ~ 259

  64. [학술지] 지은정 / 2016 / 인력고령화와 노동생산성: 교육훈련의 상호작용효과를 중심으로 / 사회보장연구 32 (2) : 245 ~ 270

  65. [학술지] 지은정 / 2020 / 누적 이익/불리가설의 관점에서 본 정년퇴직과 근로소득 불평등 / 국정관리연구 15 (3) : 169 ~ 200

  66. [학술지] 지은정 / 2020 / 생애 주된 일자리 퇴직자의 최저임금 사각지대 연구: 서울시 전일제 재취업자를 중심으로 / 지방행정연구 34 (4) : 239 ~ 266

  67. [학술지] 지은정 / 2021 / 집단 간 위협이론의 관점에서 본 노인정책연령 : 노인인지연령을 넘어서 / 한국행정연구 30 (2) : 243 ~ 275

  68. [보고서] 지은정 / 2016 / 60+ 고용활성화를 위한 적합일자리 연구

  69. [보고서] 지은정 / 2021 / 세대 간 일자리 대체관계 및 상생을 위한 정책방향

  70. [학술지] 최옥금 / 2006 / 괜찮은 일자리(Decent Job)에 대한 탐색적 연구: 개념정의 및 실태파악을 중심으로 / 사회보장연구 22 (2) : 227 ~ 252

  71. [보고서] 최충 / 2017 / 임금피크제 효과의 고용효과 추정

  72. [기타] 통계청 / 2021 / 2021년 8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결과 2021.10.26. 보도자료

  73. [기타] 통계청 / 2021 / 2021년 1/4분기(2월 기준) 임금근로 일자리동향 2021.08.26. 보도자료

  74. [기타] 통계청 / 2021 / GDP 연간지표

  75. [기타] 통계청 / 2021 / 행정구역・시군구별・1세별 주민등록인구

  76. [기타] e-나라지표 / 2021 / 보건복지예산

  77. [보고서] 한국경영자총협회 / 2021 / 고령자 고용정책에 대한 기업 인식 조사결과

  78. [보고서] 한국경제연구원 / 2019 / 정년연장의 쟁점과 과제

  79. [기타] 한국은행 / 2021 / 2019년 산업연관표(연장표) 2021.06.21. 보도자료

  80. [보고서] 한요셉 / 2019 / 60세 정년 의무화의 영향: 청년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81. [학술지] 함인희 / 2012 / 사회경제적 위기와 중산층 가족의 “품위 하락”(Falling from Grace) : 가장의 실직 경험을 중심으로 / 한국학연구 (43) : 531 ~ 569

  82. [보고서] Böheim, René / 2019 / The effect of early retirement schemes on youth employment

  83. [학술지] Bertoni, Marco / 2017 / Does a Higher Retirement Age Reduce Youth Employment? / Economic Policy 36 (106) : 325 ~ 372

  84. [보고서] Cazes, Sandrine / 2015 / Measuring and Assessing Job Quality: The OECD Job Quality Framework

  85. [보고서] Böheim, René / 2019 / The effect of early retirement schemes on youth employment

  86. [학술지] Kauppinen, Timo / 2005 / [EU]유럽연합에서의 ‘고용의 질’ / 국제노동브리프 3 (7) : 12 ~ 23

  87. [학술지] Kondo, Ayako / 2016 / Effects of increased elderly employment on other workers’ employment and elderly’s earnings in Japan / IZA Journal of Labor Policy 5 (2)

  88. [학술지] Green, Francis / 2005 / [OECD]선진국에서의 ‘고용의 질’ 개념의 발전 / 국제노동브리프 3 (7) : 24 ~ 30

  89. [인터넷자료] Lanot, Gauthier / The Substitution Rate between Low Pay Workers and the National Minimum Wage

  90. [인터넷자료] Mohnen, Paul. / The Impact of the Retirement Slowdown on the U.S

  91. [인터넷자료] Mohnen, Paul / The Impact of the Retirement Slowdown on the U.S

  92. [보고서] OECD / 2019 / Ageing and Employment Policies: Working Better with Age

  93. [인터넷자료] Vestad, Ola Lotherington / Early Retirement and Youth Employment in Norway

  94. [보고서] World Bank Group / 2021 / Does Elderly Employment Reduce Job Opportunities for Youth?

  95. [기타] / 2021 / “말이 안 통해”, “말을 안 들어”, ‘꼰대’-‘요즘것들’ 사이 차단벽 / 뉴스토마토

  96. [기타] / 2021 / 정년연장 어떻게 볼 것인가 / 서울경제

  97. [기타] / 2021 / 숙련된 기술・노하우 구합니다‥정년 없애고 퇴직자 재채용 / 서울경제

  98. [기타] / 2021 / 토익・학벌보다 경력 한 줄 절실…‘울며 겨자먹기’로 계약직 가는 청년들 / 서울경제

  99. [기타] 이데일리 / 2021 / [청년일자리]①취업은커녕 알바도 못구해요 / 벼랑끝 취포세대

  100. [기타] 통계청 / 「2018년 사업체노동력조사」 원자료

  101. [기타] 통계청 / 「2021년 경제활동인구조사」 원자료

  102. [기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제12~15차 한국복지패널」 원자료

  103. [인터넷자료] / 연도별 최저임금 결정현황 / 최저임금위원회 홈페이지

  104. [인터넷자료] / 한국복지패널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