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중장년층의 취업과 “괜찮은 일자리”

Employment and Decent Jobs for the Korean Mid-Old Age

한국사회정책
약어 : KSPR
2009 vol.15, no.2, pp.181 - 216
DOI : 10.17000/kspr.15.2.200901.181
발행기관 : 한국사회정책학회
연구분야 : 사회학
Copyright © 한국사회정책학회
233 회 열람

이 연구는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전반적인 고용현황을 파악하고 “괜찮은 일자리” 개념을 중심으로 고용문제의 특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한국의 중장년층은 40대에 비하여 적은 취업기회를 갖으며, 특히 괜찮은 일자리 취업문제에서는 더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또한 중장년층 가운데 가장 취약한 계층은 고연령, 저학력, 여성 배우자 집단이다. 이들은 낮은 인적자본과 가정내 지위로 인하여 직업생활을 지속하지 못하여, 50-64세의 중장년기에 들어서 취업할 경우에도 고임금과 고용안정이 보장되는 일자리를 찾기 힘들다. 이러한 결과는 중고령층의 취업지원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중고령층의 고용기회를 양적으로 확대하는 것을 넘어서, 적절하고 안정적인 경제적 보상을 할 수 있는 일자리를 확대해야 한다. 또한 장년층의 인적 특성을 고려하여 구인자-구직자 연계망을 강화하는 사업과 정년연령을 연장하는 제도적 변화가 필요하다.

This paper examines the employment status of the age groups of 50-64 and empiricall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employment in terms of "decent" jobs. The age groups are given less chances of employment than the groups of the 40s in general, and of decent jobs in particular. The most disadvantage groups among them are those of old age, low education levels and housewives. Human capitals and family status of them prevented their chance of holding good jobs, which led to less chance of decent jobs even in the age of 50-64. These findings provide significant policy implications.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decent jobs with adequate income and stable employment conditions as well as more job opportunities. We also need labor market system to link the job seekers and providers, and such public rules as higher retirement age and wage-peak systems.

중장년층 취업, 괜찮은 일자리, 퇴직제도, 고용안정성
employment of old ages, decent job, retirement system, employment stability

  • 1. [단행본] 김동배 / 1999 / 노인의 경제생활: 노인도 경제생활의 주체이다 in:한국노인의 삶: 진단과 전망 / 미래인력센터. : 259 ~
  • 2. [단행본] 김소영 / 2007 / 정년제의 노동법적 고찰 in : 2006 노동법의 쟁점 / 한국노동연구원 : 205 ~
  • 3. [학술지] 김영숙 / 2002 / 도시 빈곤노인 가계의 경제적 생활수준에 관한 연구 - 일반가계, 일반노인 가계 및 빈곤노인 가계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 소비자학연구 / 13 (3) : 5 ~ 3 kci
  • 4. [학술지] 류기철 / 2001 / 실업급여수급 실직근로자의 재취업양상 / 경제학연구 / 5 (2)
  • 5. [학위논문] 문경옥 / 2006 / 중고령 근로자의 괜찮은 일자리(decent job)로의 진입요인에 관한 연 구
  • 6. [학술지] 박경숙 / 2004 / 생애구술을 통해 본 노년의 자아 / 한국사회학 / 38 (4) : 101 ~ 4 kci
  • 7. [단행본] 박경숙 / 2003 / 고령화사회, 이미 시작된 미래 / 의암출판.
  • 8. [학술지] 박경숙 / 2003 / 55세이상 고령자의 노동시장 은퇴과정: 은퇴의 유형화에 대한 함 의 / 노동정책연구 / 3 (1) : 103 ~ 1
  • 9. [학술지] 박경숙 / 2001 / 중장년기 종사상 지위와 은퇴과정의 다양성 / 노동경제논집 / 24 (1) : 177 ~ 1
  • 10. [학술대회] 방하남 / 2004 / 좋은 일자리의 개념구성 및 결정요인의 분석 / 제5회 한국노동패널학술대회 논문집
  • 11. [보고서] 방하남 / 2005 / 인구고령화와 노동시장변화와 노동정책과제
  • 12. [학술지] 성지미 / 2006 / 중고령자 취업 결정요인 / 노동정책연구 / 6 (1) : 39 ~ 1 kci
  • 13. [학술지] 원영희 / 1995 / 동·별거 형태가 한국노인의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한국노년학 / 15 (2) : 97 ~ 2
  • 14. [학술지] 윤현숙 / 2003 / 노부모와 자녀간의 지원교환이 노인의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 한국노년학 / 23 (3) : 15 ~ 3 kci
  • 15. [단행본] 이성균 / 2004 / 경제위기와 노동시장변동 / 울산대학교 출판부.
  • 16. [학술지] 임주영 / 2003 / 노인이 지각하는 심리적 안녕감 관련 변수에 관한 연구 / 한국가족복지학 / 8 (1) : 127 ~ 1
  • 17. [학술지] 최옥금 / 2007 / 노인 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패널자료를 활용한 분석 / 한국사회복지학 / 59 (1) : 5 ~ 1 kci
  • 18. [학술지] 최희경 / 2004 / 공공부조 수급에서 제외된 빈곤노인의 현황과 특성 / 한국사회복지학 / 56 (2) : 237 ~ 2 kci
  • 19. [학술지] 최옥금 / 2005 / 근로빈곤층의 ‘괜찮은 일자리(Decent Job)' 이동에 관한 연구 : 임금일자리를 중심으로 / 노동정책연구 / 5 (1) : 1 ~ 1 kci
  • 20. [단행본] 통계청 / 2007 / 경제활동인구조사 부가조사-고령층 / 통계청
  • 21. [학술지] 통계청 / 2005 / 2004 고령자 통계 / 통계청
  • 22. [단행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2005 / 2004년 전국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23. [학술지] 허준수 / 2006 / 도시지역 미취업 노인들의 취업의사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한국사회복지학 / 58 (1) : 291 ~ 1 kci
  • 24. [학술지] 홍백의 / 2005 / 우리나라 노인 빈곤의 원인에 관한 연구 / 한국사회복지학 / 57 (4) : 275 ~ 4 kci
  • 25. [단행본] Anker, Richard / 2000 / Measuring Decent Job with Statistical INdicators / ILO
  • 26. [단행본] Baltes, Margaret M / 1999 / Social-Psychological Theories and Their Application to Aging: From Individual to Collective in Handbook of Theories of Aging / Springer Publishing Company : 209 ~
  • 27. [학술지] Deaton, Angus S / 1997 / Intertemporal Choice and Inequality /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 102 (3) : 97 ~ 3
  • 28. [단행본] Easterlin, Richard, A / 1995 / Economic and Social Implication of Demographic Patterns in Handbook of Aging and The Social Sciences / Academic Press.
  • 29. [단행본] Ghai,Dharam / 2002 / Decent Work: Concepts, models and indicators / International Institute for Labour Studies Discussion Paper
  • 30. [학술지] Henretta, J / 1993 / Joint role investments and synchronization of retirement: A sequential approach to couples' retirement timing / Social Forces / 71 : 981 ~ crossref
  • 31. [학술지] McCall, Brian P / 1997 / The Determinant of Full-time versus Part-Time Reemployment following Job Displacement / Journal of Labor Economics / 15 (4) : 714 ~ 4 crossref
  • 32. [단행본] O'Rand, Angela M / 1999 / On Reestablishing the Phenomenon and Specifying Ignorance: Theory Development and Research Design in Aging in Handbook of Theories of Aging / Springer Publishing Company : 56 ~
  • 33. [학술지] Riley, Michael, W / 1994 / Aging and Society: Past, present, and future / Gerontologist / 34 : 436 ~ crossref
  • 34. [학술지] Rosenbaum,David I / 2000 / The Impact of Age on Employment Tenure: Results from an Employment Discrimination Case / Journal of Forensic Economics / 13 (3) : 291 ~ 3 crossref
  • 35. [학술대회] Satir, V. / 2008 / Self-esteem / Paper at the 1st Meeting of the Working Group on the Measurement of Quality of Employ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