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1.156
3.144.1.156
close menu
KCI 등재
남편의 자녀양육참여율이 남편과 아내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맞벌이 부부의 고용형태 차이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Husband’s Child-rearing Participation Rate and Marital Satisfaction among Dual-income Couple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Differences in Employment Status of a Dual-income Couple
오성은 ( Oh Seongeun ) , 허수연 ( Huh Sooyeon )
DOI 10.16975/kjfsw.68.1.2
UCI I410-ECN-0102-2022-300-000576926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남편과 아내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남편의 자녀양육참여율에 대한 맞벌이 부부의 고용형태 차이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결혼만족도는 결혼에 대한 본인의 기대가 얼마나 충족되었는지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개인의 기대 수준 충족에 따라 만족도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자녀양육에 대한 책임과 기대수준은 맞벌이 부부의 고용형태 차이에 따라 다를 수 있다. 그렇기에 본 연구는 남편의 자녀양육참여율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맞벌이 부부의 고용형태 차이에 따라 그 영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밝혀내고자 한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아동패널조사 5차년도 참여자 중 맞벌이를 하고 있는 285가구의 부부를 대상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남편의 자녀양육참여율은 아내의 결혼만족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남편의 결혼만족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맞벌이 부부의 고용형태 차이에 따라서 남편의 자녀양육참여율이 남편과 아내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다른지 확인해 보기 위하여 남편과 아내의 결혼만족도에 대한 남편의 자녀양육참여율과 부부의 고용형태 차이의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오직 아내의 결혼만족도에 대해 남편은 정규직이고 아내는 비정규직인 경우에만 남편의 주말 양육참여의 상호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맞벌이 가정에서 아내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남편의 자녀양육참여율에 대한 협상력 증대를 위해 노동시장에서의 여성의 지위 향상이 필요하다는 함의를 도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differences in employment status (regular work or non-regular work) of a dual-income coupl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usband’s child-rearing participation rate and marital satisfaction. This study employs data from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PSKC). The study subjects consists husbands and wives of 285 dual-income households in 5th-year data of the PSKC.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ings: First, when husband’s participation rate in child-rearing increase, wives tend to be more satisfied with their marriage. However, husband’s child-rearing participation rate did not show significant influence on husband’s marital satisfaction. Second, the moderating effects of differences in employment status of a dual-income coupl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usband’s weekend child-rearing participation rate and wive’s marital satisfaction were only significant among dual-income couples that consist of a husband with regular work and a wive with non-regular work. The results imply that women’s status in the labor market needs to be improved in order to increase the husband’s participation rate in child-rearing, which affects the marriage satisfaction of the wife in a dual-income family.

1. 서론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3. 연구방법
4. 분석결과
5.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