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운명과의 만남-김윤식의 임화론에 대한 몇 가지 주석-

Encounter With Destiny : On the Kim Yoon-sik’s interpretation of Im Hwa

동아시아문화연구
약어 : -
2019 no.76, pp.89 - 113
DOI : 10.16959/jeachy..76.201902.89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연구분야 : 기타인문학
Copyright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146 회 열람

한국의 문학(연구)사에서 임화와 김윤식은 독보적인 위치에 놓여 있다. 본고의 목적은 김윤식의 임화론을 메타적으로 독해하는 것이다. 이 작업은 김윤식의 연구방법론을 추출하고 임화에 관한 평가 하나를 복원시키는 작업에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김윤식은 『한국근대문예비평사연구』에서 정치와 문학의 관계를 검토했다. 이후 그는 사상사에 몰두하면서 정치적 문제와 현실적 상황이 개별 문인들의 내면에 침투하는 양상에 천착했다. 임화의 존재는 그로 하여금 방법론적 전환을 하게끔 부추긴 매개 중 하나가 되었다. 김윤식은 임화가 현실을 극복하려는 노력(진정성)을 지녔다고 말하기 위해 루카치로부터 “운명” 개념을 차용했다. 김윤식은 중기나 후기의 루카치보다 초기의 루카치를 호의적으로 수용했는데, 이는 한국의 비평가-연구자로서 이색적인 이력이었다. 초기 루카치의 ‘운명’ 개념에 천착한 드문 비평가였기에, 김윤식은 임화가 진정성을 투철히 추구한 결과 비극적인 죽음을 맞았다는 독창적인 평가를 제시할 수 있었다. 한편 김윤식은 1970년대까지 임화가 근대의 양가적 속성을 총체적으로 살피지 못했다면서 ‘현해탄 콤플렉스’를 비판했다. 그러나 『임화연구』에서는 비판의 강도가 현저히 약해져 있다. 그리고 이후의 저작인 『임화와 신남철』에서는 임화에 대해 더욱 우호적인 태도가 드러난다. 이런 태도 변화는 김윤식의 문학관이 달라진 경과를 집약하여 보여준다. 「임화연구」를 쓸 때까지 김윤식은 ‘자주적’인 문제의식을 견지하고 있었다. 그래서 제도적 근대성을 강조한 임화에 대해서는 이견을 표현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김윤식이 임화를 우호적으로 평가하게 된 것은 ‘가치중립성으로서의 근대’ 개념을 받아들인 결과였다. 이 둘은 각자의 시대정신을 체현한 것처럼 느껴질 만큼 우직하게 자신들이 설정한 목적을 추구했다는 점에서, 후대의 문학인들에게 귀감이 될 만하다.

In Korea's history of literature (study), Im Hwa and Kim Yoon-sik are in a unique posi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ad Kim Yoon-Sik’s evaluation of Im Hwa. This will be an pre-work for extracting the methodology of Kim Yoon-Sik. Kim Yoon-sik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tics and literature in 「Korea Modern Literary Criticism Research」. Since then, he has devoted himself to the “history of thought” and has examined the political issues and the actual situations that individual writers belong. The presence of the im Hwa was one of the mediators that encouraged him to make a methodological shift. Kim Yoon-sik borrowed the concept of “destiny” from Lukacs to say that Im Hwa had an effort to overcome reality. Kim Yoon-sik accepted favorably of Lukacs earlier than Lukacs in the middle or late period. Because he was a rare critic who accepted early Lukacs’s “destiny” concept, he was able to present a unique assessment that Im-Hwa was tragically dead after pursuing authenticity. On the other hand, Kim Yoon-sik criticized ‘Hyun-Hae-Tan complex’ by saying that Im-Hwa had not been able to look at the dual nature of modernity until 1970’s. However, the intensity of criticism has been remarkably weakened in the “study of Im-hwa”. And in Kim’s later works, “Im hwa and Shin Nam-cheol” presented a more friendly attitude to Im Hwa. This change in attitude shows the change of the literary scene of Kim Yoon-sik. Kim Yoon-sik maintained the self-consciousness of the problem until he wrote the “study on Im-hwa”. 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express the disagreement about the ‘study of Im-Hwa’ which emphasized institutional modernity. It was the result of accepting the concept of ‘modernity as a value neutrality’. These two are worthy of note to future generations of writers because they pursued the purpose set by them so that they finally seemed to embody the spirit of their age.

임화, 김윤식, 비평사, 사상사, 현해탄 콤플렉스
Im Hwa, Kim Yoon-sik, History of literature, History of idea, Hyun-Hae-Tan Complex.

  • 1. [단행본] 게오르크 루카치 / 1988 / 영혼과 형식 / 심설당
  • 2. [학술지] 김미영 / 2010 / ‘移植’ 논의를 통해 본 林和의 新文學史論 / 한국문화 (49) : 275 ~ 49 kci
  • 3. [단행본] 김윤식 / 2004 / 텍스트로서의 인간-임화론 / 서울대학교출판부
  • 4. [단행본] 김윤식 / 2012 / 내가 읽고 만난 일본 / 그린비
  • 5. [단행본] 김윤식 / 1990 / 우리 소설을 위한 변명 / 고려원
  • 6. [단행본] 김윤식 / 1994 / 모더니티란 무엇인가 / 민음사
  • 7. [단행본] 김윤식 / 1988 / 한국현대문학사론 / 한샘
  • 8. [단행본] 김윤식 / 1989 / 임화연구 / 문학사상사
  • 9. [단행본] 김윤식 / 2011 / 임화와 신남철 / 역락
  • 10. [학술지] 김윤식 / 1998 / ‘조선의 발렌티노’ 임화와의 대화-근대문학사를 위한 노교수의 변명 / 출판저널 / 228
  • 11. [단행본] 김윤식 / 1973 / 한국근대문예비평사연구 / 일지사
  • 12. [단행본] 김윤식 / 1984 / 한국근대문학사상사 / 한길사
  • 13. [단행본] 김윤식 / 1987 / 한국문학의 근대성과 이데올로기 비판 / 서울대 출판부
  • 14. [단행본] 김윤식 / 1988 / 한국현대문학사론 / 한샘
  • 15. [단행본] 김윤식 / 1983 / 황홀경의 사상 / 홍성사
  • 16. [단행본] 레온 에델 / 1983 / 작가론의 방법-문학 전기란 무엇인가 / 삼영사
  • 17. [학술지] 신승엽 / 1991 / 이식과 창조의 변증법 / 창작과 비평 / 19 (3)
  • 18. [학술지] 임진영 / 1991 / 가치중립〮유토피아〮리얼리즘 / 실천문학 (23)
  • 19. [단행본] 임화 / 2009 / 임화 문학예술 전집 / 소명출판
  • 20. [학술지] 장문석 / 2013 / 『한국근대문예비평사연구』의 학술사적 의의를 묻다 / 한국현대문학연구 (41) : 605 ~ 41 kci
  • 21. [학위논문] 장문석 / 2009 / 전형기 임화와 '조선'의 발견 : 출판활동과 신문학사 서술을 중심으로
  • 22. [단행본] 지젝 / 2016 / 분명 여기에 뼈 하나가 있다 / 인간사랑
  • 23. [학위논문] 최병구 / 2008 / 임화 문화론 연구
  • 24. [학위논문] 최은혜 / 2013 / 카프시기(1925∼1935) 임화의 문화 평론 연구
  • 25. [학술지] 황호덕 / 2015 / 김윤식 비평과 문학사론, 총체성과 가치중립성 사이 -신비평에서 루카치로의 행로 / 현대문학의 연구 (57) : 91 ~ 57 kci
  • 26. [학술지] 황호덕 / 2016 / 루카치 은하와 반도의 천공, ‘문학과 사회’ 상동성론의 성좌들 / 문학과 사회 / 29 (2)
  • 27. [단행본] Georg Lukacs / 1981 / essay on realism / The MIT Press
  • 28. [단행본] 丸山眞男 / 1961 / 日本の思想 / 岩波書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