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글은 대문에 등장하는 상징물을 통해 중국인의 문화표상을 분석하는 것을 주요 연구로 삼았다. 대문에 등장하는 상징물은 동물, 식물, 기물, 그림, 글 등으로 구분되는데, 이들 상징물을 통해 중국인들은 제액축귀(除厄逐鬼)를 바라고, 오복(五福)을 기원하고 자신의 권위를 지키려고 하였다. 또한 영업점에서는 문에다 실물을 걸어 무엇을 파는가를 사람들에게 알려 홍보, 선전의 역할을 기대하였다. 문에 건 상징물은 일종의 간판 구실을 하는 것으로 주민과 상인간의 약속 표시인 셈이다. 이렇게 대문에 다양한 유형의 상징물이 등장한 것은 사람들은 문을 통해 사람뿐만 아니라 오복(五福), 부정(不淨), 잡귀(雜鬼) 등도 드나든다고 믿었기에, 인간에게 행복을 주는 것은 받아들이고, 그렇지 않은 부정적인 것은 막으려고 조치를 취하였던 것이다. 또한 대문은 집안의 신을 보호하고 집안으로 들어오는 잡귀와 부정을 막는 경계이다. 그 경계가 무너질까봐 사람들은 대문 앞에서 여러 행위를 펼친 것이다. 그런데 중국은 넓은 영토와 다민족으로 이루어진 국가로 다양한 문화표상은 시대적, 지역별, 민족별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문에 보이는 상징물의 상당수는 고대 문헌자료에도 기록되어 있을 정도로 중국인의 문화적 표상이 오랜 역사적 기간을 걸쳐 형성되어 오늘까지 전해져 내려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민속의 구비적 특성을 비추어 볼 때, 문헌적 기록이 발견되지 않는다고 해서 대문의 상징물들이 근현대에 모두 형성되었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중국의 남북은 생업에 있어 북방은 밀농사, 남방은 수도작 지역이며, 날씨와 관련해서는 북방은 춥고 건조한 반면 남방은 덮고 습하다. 그러다 보니 자연환경과 문화적 차이에 따른 중국 남북 사람들의 문화적 표상을 엿볼 수 있다. 중국은 다민족국가이지만 대문 관련 상징물은 한족(漢族)이 기타 소수민족 보다 우월하다. 또한 소수민족 문에 보이는 상징물 가운데는 한족의 영향을 받은 것도 적지 않다. 그러나 소수민족의 독특한 문화현상도 유지되고 있다.

키워드

제액축귀 오복 권위 홍보 문화표상 상징

참고문헌(77)open

  1. [기타] / 禮記

  2. [기타] / 周禮

  3. [기타] / 史記

  4. [기타] / 周易

  5. [기타] / 左傳

  6. [기타] / 山海經

  7. [기타] / 淮南子

  8. [기타] / 三国志

  9. [기타] / 戰國策

  10. [기타] / 莊子

  11. [기타] / 漢書

  12. [기타] / 後漢書

  13. [기타] / 論衡

  14. [기타] / 百家書

  15. [기타] / 風俗通儀

  16. [기타] / 歲時廣記

  17. [기타] / 藝文類聚

  18. [기타] / 藝林伐山

  19. [기타] / 酉陽雜俎

  20. [기타] / 太平御覽

  21. [기타] / 術平御覽

  22. [기타] / 夢溪筆談

  23. [기타] / 字詁

  24. [기타] / 花鏡

  25. [기타] / 幼學故事琼林

  26. [기타] / 本草綱目

  27. [기타] / 幽明彔

  28. [기타] / 易林

  29. [기타] / 燕京歲時記

  30. [기타] / 名義考

  31. [기타] / 陔餘叢考

  32. [기타] / 道藏經

  33. [기타] / 長葛縣志

  34. [기타] / 都門竹枝詞

  35. [기타] / 全相增補三敎搜神新大全

  36. [기타] / 睡虎地秦墓竹簡

  37. [단행본] J.G.Frazer / 1995 / 황금가지 Ⅱ / 삼성출판사

  38. [학술지] 김광언 / 2000 / 중ㆍ한ㆍ일 세 나라의 주거민속 연구 Ⅱ(門) / 比較民俗學 (18)

  39. [단행본] 진쿠퍼 / 2000 / 그림으로 보는 세계문화 상징 / 까치글방

  40. [단행본] 손세관 / 2001 / 깊게 본 중국의 주택 / 열화당

  41. [단행본] 정연학 / 2003 / 한·중농기구 비교연구 / 민속원

  42. [단행본] 이창희 / 2003 / 조선대세시기 I(국립민속박물관 세시기 번역총서) / 국립민속박물관

  43. [단행본] 김인희 / 2004 / 동호·퉁구스의 가신신앙 / 경인문화사

  44. [단행본] 임영주 / 2004 / 한국의 전통 문양 / 대원사

  45. [단행본] 장장식 / 2006 / 몽골에가면 초원의 향기가 난다 / 민속원

  46. [학술지] 정연학 / 2006 / 주거민속으로서 한중 대문(大門)의 비교 / 비교민속학 (32) : 153 ~ 216

  47. [단행본] 안동현 / 2009 / 특수교육학 용어사전 / 국립특수교육원

  48. [단행본] 정연학 / 2009 / 한·중 두 나라의 문과 상징 / 시월

  49. [단행본] 葉大兵 / 1990 / 中國風俗辭典 / 上海辭書出版社

  50. [단행본] 王樹村 / 1991 / 中國民間年畵史論集 / 天津楊柳복畵社

  51. [단행본] 劉錫誠 / 1991 / 中國象徵辭典 / 天津敎育出版社

  52. [단행본] 徐華鐺 / 1991 / 中國獅子藝術 / 輕工業出版社

  53. [단행본] 劉志文 / 1993 / 廣東民俗大觀 (上) / 廣東旅游出版社

  54. [학술지] 劉健 / 1993 / 浙江省部分地區的稻作文化 / 中國民間文化 (2)

  55. [단행본] 王樹村 / 1994 / 門與門神 / 學苑出版社

  56. [단행본] 鄭曉江 / 1994 / 中國辟邪文化大觀 / 花城出版社

  57. [단행본] / 1994 / 中國少數民族民俗大辭典 / 內蒙古人民出版社

  58. [학술지] 金濤 / 1994 / 舟山鑼鼓探源 / 中國民間文化 (13)

  59. [단행본] 呂威 / 1994 / 財神信仰 / 學園出版社

  60. [단행본] 王樹村 / 1995 / 中國民間年畵 / 浙江敎育出版社

  61. [단행본] 芮傳明 / 1995 / 中西紋飾比較 / 上海古籍出版社

  62. [단행본] 劉錫誠 / 1995 / 門神人物的傳說 / 花山文藝出版社

  63. [단행본] 邢莉 / 1995 / 中國女性民俗文化 / 中國當案出版社

  64. [단행본] 山曼 / 1995 / 山東民俗 / 山東友誼書社

  65. [단행본] 王子今 / 1996 / 門祭與門神崇拜 / 三聯書店

  66. [단행본] 薄松年 / 1998 / 中國門神畵 / 嶺南美術出版社

  67. [단행본] 葉大兵 / 1998 / 俗海探微 / 黃山書社

  68. [단행본] 樓慶西 / 2001 / 中國建築的門文化 / 河南科學技術出版社

  69. [단행본] 李文鄭 / 2001 / 新編實用春聯 / 中州古籍出版社

  70. [단행본] 馬書田 / 2002 / 中國道敎諸神 / 團結出版社

  71. [단행본] / 2002 / 中國原始宗敎百科全書 / 四川辭書出版社

  72. [단행본] 覃力 / 2004 / 說門 / 山東畵報出版社

  73. [단행본] 吳裕成 / 2004 / 中國門文化 / 天津人民出版社

  74. [단행본] 陳傳平 / 2004 / 曲阜 孔廟孔林孔府 / 三太出版社

  75. [단행본] 孫大章 / 2004 / 中國民居硏究 / 中國建築工業出版社

  76. [단행본] 李月英 / 2005 / 三江竝流區的怒族人家 / 民族出版社

  77. [단행본] 劉魁立 / 2008 / 祥瑞動物 / 中國社會出版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