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This study attempts to shed new light on the military rites of the Joseon dynasty, a topic which related studies have by and large avoided, by analyzing the royal military review ceremony conducted during early Joseon. The term daeyeol (大閱, military review) refers to a royal ceremony in which the Joseon king conducted a direct review of the military forces. This was regarded as a military training ceremony that fell under the category of the ‘ritual ceremonies’ that made up the gunnye (軍禮, military rites) portion of the Orye (五禮, Five Rites), or national state rites during Joseon. The structure of the royal military review ceremony was designed to clearly highlight the fact that control over the military was the prerogative of the king and that the latter was also the main actor in such military reviews. The daeyeol (military review) was first implemented during the early reign of King Sejong. The importance of daeyeol was further emphasized during the period spanning from the reign of King Sejong to that of King Seongjeong. As such, the status of the daeyeolui (大閱儀, royal military review ceremony) was eventually upgraded to the point where it was included in the Oryeui (五禮儀, Five Rites) section of the <Sejong sillok (世宗實錄, Annals of King Sejong)>. Thereafter, military training methods underwent great changes before this particular ceremony was included in the <Gukjo oryeui (國朝五禮儀, Five Rites of State)>. The implementation of the royal military review ceremony served two purposes: while was to showcase the king’s supreme command over the military, the other was to rally the troops prior to a large-scale military operation. In this regard, the royal military review ceremony was implemented right before the onset of Jurchen conquest campaigns.

키워드

군례(軍禮), 대열(大閱), 오례(五禮), 세종실록 오례(世宗實錄 五禮),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여진정벌

참고문헌(67)open

  1. [단행본] 이범직 / 1991 / 한국중세예사상연구 / 일조각

  2. [학위논문] 정경희 / 2000 / 조선전기 예제·예학 연구

  3. [학술지] 김태영 / 1973 / 조선초기 사전의 성립에 대하여 / 역사학보 58

  4. [단행본] 지두환 / 1994 / 조선전기 의례연구 / 서울대학교출판부

  5. [단행본] 한형주 / 2002 / 조선초기 국가제례 연구 / 일조각

  6. [단행본] 김해영 / 2003 / 조선초기 제사전례 연구 / 집문당

  7. [학술지] 강제훈 / 2007 / 조선 성종대 朝會儀式과 朝會 운영 / 韓國史學報 27 (27) : 45 ~ 81

  8. [학술지] 장병인 / 2008 / 조선 전기 국왕의 혼례형태 ―‘假館親迎禮’의 시행을 중심으로― / 한국사연구 (140) : 153 ~ 181

  9. [단행본] 권오영 / 2010 / 조선왕실의 가례 1・2 /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10. [학술지] 방기철 / 2005 / 朝鮮初期 交隣國 使臣의 位次-朝?日關係를 중심으로- / 사학연구 (79) : 49 ~ 79

  11. [학위논문] 鄭鍾秀 / 1994 / 조선초기 상장의례 연구

  12. [학위논문] 안희재 / 2010 / 조선시대 국상의례 연구 : 국왕국장을 중심으로

  13. [단행본] 박도식 / 1987 / 조선초기 강무제에 관한 일고찰, In 박성봉교수회갑기념논총

  14. [학술지] 강동원 / 1996 / 한국 중세의 군사훈련 – 강무제- / 체육사학회지 (창간)

  15. [학술지] 이현수 / 2002 / 조선 초기 강무 시행사례와 군사적 기능 / 군사 (45) : 233 ~ 264

  16. [학술지] 심승구 / 2007 / 조선시대 사냥의 추이와 특성 / 역사민속학 (24) : 165 ~ 197

  17. [학술지] 김동진 / 2007 / 朝鮮前期 講武의 施行과 捕虎政策 / 조선시대사학보 (40) : 93 ~ 132

  18. [학술지] 정재훈 / 2009 / 조선시대 국왕의례에 대한 연구 – 강무(講武)를 중심으로 – / 한국사상과 문화 (50) : 225 ~ 248

  19. [단행본] 문정희 / 2002 / 천공의 옥좌 / 신서원

  20. [단행본] 장문석 / 2004 / 만들어진 전통 / 휴머니스트

  21. [단행본] Wechsler, Howard J / 2005 / 비단같고 주옥같은 정치 / 고즈윈

  22. [학술지] 윤훈표 / 2004 / 여말선초 군사훈련체계의 개편 / 군사 (53) : 181 ~ 217

  23. [기타] / 세종실록 권5, 1년 10월 29일(경자)

  24. [기타] / 周禮注疏 권29, 大司馬

  25. [기타] / 세종실록 권11, 3년 4월 14일(병오)

  26. [기타] / 세종실록 권12, 3년 5월 8일(기사)

  27. [기타] / 세종실록 권12, 3년 5월 14일(을해)

  28. [기타] / 세종실록 권12, 3년 5월 18일(기묘)

  29. [학술지] 하차대 / 1989 / 조선초기 군사정책과 병법서의 발전 / 군사 19

  30. [기타] / 세종실록 권12, 3년 5월 20일(신사)

  31. [기타] / 세종실록 권12, 3년 6월 1일(임진)

  32. [기타] / 『대당개원례』의 ‘황제강무의’와 『송사』 예지의 ‘대열의’

  33. [기타] / 세종실록 권12, 3년 7월 9일(기사)

  34. [기타] / 세종실록 권66, 16년 10월 8일(신해)

  35. [기타] / 세종실록 권13, 3년 8월 12일(임인)

  36. [학술지] 노영구 / 2008 / 조선후기 漢城에서의 閱武 시행과 그 의미 -大閱 사례를 중심으로- / 서울학연구 (32) : 1 ~ 34

  37. [단행본] 육군본부 / 1983 / 병장설・진법 / 국방부전사편찬위원회

  38. [학술지] 유일환 / 2004 / 고대 중국에 있어서의 예의 방위 문제(1) / 철학 78 : 6 ~ 9

  39. [기타] / 세종실록 오례, 군례 대열의 大將誓曰 今行大閱 以敎人戰 進退左右 一如軍法 用命有常賞 不用命有常刑 可不勉之

  40. [단행본] 육군본부 / 1983 / 병장설・진법 / 국방부전사편찬위원회

  41. [기타] / 세종실록 권79, 19년 12월 2일(기미)

  42. [기타] / 세종실록 오례, 가례서례 노부 소가노부 小駕鹵簿【拜陵 觀射 常時門外行幸用之 若拜表 傳香 命使 路次儀仗 稱細仗】

  43. [기타] / 세종실록 오례, 가례서례 노부 대가노부“大駕鹵簿【迎詔勑 親享社廟用之 其儀物 與殿庭大仗同】

  44. [학위논문] 白英子 / 1985 / 우리나라 노簿儀衛에 관한 硏究: 儀仗, 儀禮服의 制度 및 그 象徵性을 中心으로

  45. [기타] / 세종실록 권54, 13년 10월 15일(병오)

  46. [기타] / 『대당개원례』황제친정의

  47. [기타] / 『대명집례』황제친정의

  48. [학술지] 정다함 / 2011 / 조선 초기의 ‘征伐’: 천명, 시계, 달력, 그리고 화약무기 / 역사와 문화 (21) : 45 ~ 80

  49. [단행본] 민현구 / 1983 / 조선초기 군사제도와 정치 / 한국연구원

  50. [학위논문] 吳宗祿 / 1992 / 朝鮮初期 兩界의 軍事制度와 國防體制

  51. [기타] / 문종실록 권8, 1년 6월 19일(병술)

  52. [기타] / 세종실록 오례, 군례 대열

  53. [학술지] 정다함 / 2009 / 조선전기의 정치적‧종교적 질병관, 醫‧藥의 개념‧범주, 그리고 치유방식 / 한국사연구 (146) : 119 ~ 157

  54. [기타] / 문종실록 권10, 1년 10월 24일(기축)

  55. [기타] / 『세조실록』 권36, 11년 6월 20일(병신)

  56. [기타] / 『성종실록』 권232, 20년 9월 28일(계미)

  57. [기타] / 『국조오례의』 군례 대열 見兵典及陣法

  58. [기타] / 『경국대전』상의 대열 관련 규정

  59. [학술지] 백기인 / 2006 / 조선조 국왕의 열병 형태와 그 성격 / 한국정치외교사논총 27 (2) : 33 ~ 62

  60. [학술지] 강성문 / 1989 / 조선시대 여진정벌에 관한 연구 / 군사 18

  61. [학술지] 이홍두 / 2000 / 조선초기 야인정벌과 기마전 / 군사 41

  62. [학위논문] 황선희 / 2006 / 세조 초기의 여진관계와 북정

  63. [학술지] 한성주 / 2008 / 조선 세조대 모련위 정벌과 여진인의 종군에 대하여 / 강원사학 22・23

  64. [기타] / 세종실록 권61, 15년 윤8월 25일(을해)

  65. [학위논문] 황선희 / 2007 / 세조 초기의 여진관계와 북정

  66. [기타] / 세조실록 권1, 총서文宗曰 大閱何如 世祖曰 大閱未見益也 聚之難而習之之制甚草草 惡乎用

  67. [기타] / 성종실록 권59, 6년 9월 26일(임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