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Home

한국어 피동사의 상적 의미와 특성 연구
A Study on Aspectual Meanings and Features of Korean Passive Verb

첫 페이지 보기
  • 발행기관
    국제언어인문학회 바로가기
  • 간행물
    인문언어 바로가기
  • 통권
    제20권 2호 (2018.12)바로가기
  • 페이지
    pp.153-170
  • 저자
    유영영
  • 언어
    한국어(KOR)
  • URL
    https://www.earticle.net/Article/A345419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200원

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aims to study aspectual meanings and features of the Korean passive verb. The aspect of a passive verb will change with meaning. When expressing the meaning of result, a passive verb is used as an Achievement and when expressing the meaning of possibility, it is used as a State. A passive verb derived from an Achievement, an Accomplishment or a Semelfactive could express the meaning of result, while a passive verb derived from an Activity could not. In addition, the subject of a passive verb that expresses the meaning of possibility could be a target argument or a tool argument, and the latter does not involve the passive meaning. Through this discussion, we can better understand the meanings of Korean passive verbs and how aspectual features vary depending on their meanings.

목차

Ⅰ. 서론
II. 상적 유형과 피동사
Ⅲ. 결과의 의미와 상적 특성
Ⅳ. 가능의 의미와 상적 특성
Ⅴ. 결론
인용문헌
[Abstract]

저자

  • 유영영 [ Rongrong Liu | 山東大學 ]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간행물 정보

발행기관

  • 발행기관명
    국제언어인문학회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HUMANISTIC STUDIES IN LANGUAGE]
  • 설립연도
    2000
  • 분야
    인문학>언어학
  • 소개
    국제언어인문학회는 '언어를 통한 인문학 연구'의 필요성에 동감하는 여러 전공분야 학자들의 뜻을 담고 있습니다. 언어에 초점을 맞추는 것은, 다양한 전공분야의 참여에서 생겨날 수 있는 '이질적 집합'의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장치입니다. 현재로서는 작은 불씨를 지핀 것에 불과합니다. 그러나 이렇게 일구어진 불꽃이 새로운 학풍의 바람결에 커다란 섬광으로 빛나게 될 날이 올 것을 우리는 확신합니다. 우리의 학회와 학술지는 인문학 불변의 가치와 시대적 사명을 인식하는 국내외의 학자들을 향해 활짝 개방되어 있습니다. 특정 전공의 범위를 넘어서서 철학, 문학, 언어학, 종교, 역사, 문화, 예술 등의 시각에서 언어의 본질을 토론할 기회가 될 것입니다.

간행물

  • 간행물명
    인문언어 [LINGUA HUMANITATIS]
  • 간기
    반년간
  • pISSN
    1598-2130
  • 수록기간
    2000~2023
  • 등재여부
    KCI 등재
  • 십진분류
    KDC 705 DDC 405

이 권호 내 다른 논문 / 인문언어 제20권 2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이 논문을 다운로드한 분들이 이용한 다른 논문입니다.

      페이지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