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Home

전시회 자산 가치 평가 모형 개발
A Study on Development of Exhibition Asset Valuation Model

첫 페이지 보기
  • 발행기관
    한국무역전시학회 바로가기
  • 간행물
    무역전시연구 바로가기
  • 통권
    제11권 제2호 통권 제24호 (2016.08)바로가기
  • 페이지
    pp.1-38
  • 저자
    임택, 김봉석
  • 언어
    한국어(KOR)
  • URL
    https://www.earticle.net/Article/A286846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200원

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xisting intangible asset model and to define the concept of factors of exhibition asset value by conducting literature survey and reviewing preceding research. Second, we need to define the concept of influential attributes that affect the asset value of exhibitions. Third, we need to extract exhibition's asset factors and influence factors by conduct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based on survey results. Fourth, we need to conduct analysis of importance by factors based on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alculate the importance value by factor. Fifth, we develop the asset evaluation model after reviewing former cases of previous studies on asset evaluation methods for intangible assets such as the ones applicable to digital industries and tourism service industries, etc. Sixth, we reason the economic life-cycle of exhibitions by conducting comparison studies on the intangible industry related assets considered to be similar to the exhibition industry. Seventh, we infer the future value of exhibitions by suggesting concrete evaluation standard and methodologies of exhibitions in order to come up with the final values by factor. And finally, we conduct the actual application and examination of the evaluation model developed by this study. It's needless to say that this study will lay a foundation for sound M&A activities among exhibitions and enable all the interested parties to see exhibition assets in terms of ROI perspective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문헌조사와 선행이론 조사를 통하여 전시회의 자산 가치 구 성요소와 자산 가치에 영향을 주는 영향요소에 대한 개념을 정의하려 하였고, 둘째, 전시 전문가 설문 조사 결과에 대한 요인 분석으로 전시회 자산요인과 영향요인을 도출 하고 요인별 중요도 분석을 하여 요인과 구성항목에 대한 복합가중치를 산출하려 하였다. 셋째, 디지털산업과 관광서비스산업 등 대표적인 무형자산 관련 산업 분야에서 연구 된 자산 가치평가 방법이나 모형 개발 사례 분석을 통하여 적합한 자산 가치평가 모형 을 개발하려 하였고, 넷째, 전시회와 가장 연관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무형자산들 중심 으로 경제적 수명기간과 법적 보호기간들을 비교 연구하여 전시회에 적용할 수 있는 경제적 수명기간을 추론하려 하였다. 다섯째, 구체적인 측정 기준과 방법을 제시하여 전시회의 미래 가치를 금액으로 산출할 수 있도록 하고 여섯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평가 모형에 대한 사례 적용과 검증을 실시하려 하였다. 위에서 기술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과정을 거쳐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산출하였다. 첫 번째는 요인 통계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산요인으로는 관계자산, 고객관리자산, 고 객마케팅자산, 고유자산 등 전시회의 4가지 자산 유형을 개발하였고 총 19항목의 자산 구성요소를 발굴하였다. 또한 영향요인으로는 전시산업 내부환경 요인과 전시산업 외 부환경 요인 등 2가지의 영향 관련 유형을 개발하였고 총 15항목의 영향 구성요소를 발굴하였다. 두 번째는 요인별 상대적 중요도 측정을 위한 설문과 AHP 분석을 실시하였다. 전시 회의 자산요인별 상대적 가중치와 중요도 분석 결과 관계자산이 0.344, 고객관리자산이 0.253, 고객마케팅자산이 0.228 그리고 고유자산이 0.175 순으로 중요도 결과가 나왔다. 전시회의 자산 가치에 영향을 주는 요인별 상대적 가중치와 중요도 분석 결과는 전시 산업 내부환경이 0.599, 전시산업 외부환경이 0.401 순으로 중요도 결과가 나왔다. 세 번째는 미래 자산 가치를 금액으로 산출하기 위하여 항목별 측정지표와 기준과 방법을 개발하였다. 네 번째는 전시회의 경제적 수명기간을 추론하기 위하여 전시회와 연관이 있거나 특성이 유사한 무형자산의 경제적 수명기간을 비교, 분석하여 전시회의 경제적 수명기간을 10년으로 추론하였다. 다섯 번째는 사례 적용을 위해서 국내에서 개최되고 있는 3개의 전시회를 대상으로 일부 데이터를 입수하여 본 연구모형에 반영, 적용하였고 본 연구 모형과 실제 사례와의 비교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전시회의 서비스 차별화가 가능하고 전시산업의 질적 성장의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중기적으로는 전시회의 자산 가치 활용이 더욱 활발해져 자금 조달 등에도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타 산업 분야의 기업들과 비즈니스 협력과 M&A 협상 등에 있어서도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나아가서 전시컨벤션산업 전반에 걸쳐 ROI 개념을 도입할 수 있는 기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무형자산 구성요소 발굴
  2. 자산 가치 평가방법 연구
  3. 자산의 경제적 수명기간
 III. 전시회 자산 가치 평가 모형 개발
  1. 기존 가치평가 방법과의 비교 연구
  2. 전시회 자산 가치 평가 모형
 IV. 연구방법
  1. 요인 신뢰도 분석
  2. 요인별 중요도 분석
 V. 항목별 사례적용 및 검증
  1. 측정지표 설정
  2. 사례적용
  3. 검증
 VI. 결론
  1. 연구 결과 및 시사점
  2. 한계점 및 향후과제
 참고문헌
 <요약>

저자

  • 임택 [ Taek Lim |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컨벤션전시경영학과 박사 ] 주저자
  • 김봉석 [ Bong‐Seok Kim |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컨벤션전시경영학과 교수 ] 교신저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간행물 정보

발행기관

  • 발행기관명
    한국무역전시학회 [The Korea Association of Trade Exhibition Studies]
  • 설립연도
    2005
  • 분야
    사회과학>경영학
  • 소개
    본 학회는 무역과 전시산업 간의 상호연관성을 바탕으로 무역전시 분야의 학술적 활동과 회원 상호간의 교류를 촉진함으로써 무역전시 분야의 학문적 발전과 국가경제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간행물

  • 간행물명
    무역전시연구 [International Journal of Trade Fairs and Exhibition Studies]
  • 간기
    계간
  • pISSN
    2287-173X
  • eISSN
    2733-4848
  • 수록기간
    2011~2023
  • 등재여부
    KCI 등재
  • 십진분류
    KDC 326 DDC 380

이 권호 내 다른 논문 / 무역전시연구 제11권 제2호 통권 제24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이 논문을 다운로드한 분들이 이용한 다른 논문입니다.

      페이지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