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후보

17세기 한인 봉교자 장성요의 천유관에 대한 연구: 『天儒同異考』를 중심으로

Zhang Xingyao's Understanding of the Christian-Confucian Relation

신학과철학
약어 : 신철
2012 no.21, pp.29 - 55
DOI : 10.16936/theoph..21.201211.29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연구분야 : 가톨릭신학
Copyright © 서강대학교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197 회 열람

명말청초 중국 천주교사에 대한 연구는 마테오 리치와『천주실의』및 그의 적응주의적 선교 노선, 천주교와 유교의 관계에 대한 보유론적 天儒觀 등에 집중되어 왔는데, 이는 그의 적응주의적 선교 노선이 가져왔던 영향력이나 서학에 관련된 다양한 논변들이 대체로『천주실의』에 보이는 내용을 바탕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어쩌면 당연한 일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로 청대 초기 漢人 입교자인 張星曜(1633 – ca.1715)의 眞敎 변론서인『天儒同異考』를 중심으로 하여 이 시기 천주교와 유교라는 두 신념 체계의 교류에서 보이는 융합과 갈등의 양상을 이해해보려 한다. 시기적으로 마테오 리치가 중국에서 활동하던 명대 말기로부터 약 한 세기가 지난 17세기에 초점을 맞추려는 이유는 바로 그 백 년 정도의 시간 동안 천주교 전교가 진행되면서 중국인 천주교 신자들의 전통에 대한 이해 및 새로운 천주교 신앙에 대한 태도에 의미 있는 변화가 있었으리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본고는 명말 천주교가 전래된 이후 백 년에 이르는 시간 동안 중국인 천주교 신자의 天儒觀에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를 추적해보고, 이를 통하여 유교의 용어나 관념을 가지고 기독교를 전달하려는 ‘격의 기독교’ 로부터 ‘중국적 기독교’ 혹은 ‘유교적 기독교’로 변화해가는 양상을 탐구하고자 하는 시도다.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Confucian-Christian exchange of ideas and culture during the 17th century. Zhang Xingyao(張星曜, 1633 - after 1715), one of the most serious Chinese Christians of early Qing period, had very distinct self-identity as a Confucian literati. One of his greatest writings, Tianru Tongyikao(天儒同異考,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eaching of the Lord of Heaven and of the Confucian Literati) shows his efforts to harmonize between Confucianism and Christianism. In this text, he not only identifies Christianism as Confucian tradition, but also elucidates the properties of Christian faith. I think that his explanation of 3 stages of Christian-Confucian combination ― Linking the Teaching of the Lord with Confucianism(天敎合儒), Using the Teaching of the Lord as a complement to Confucianism(天敎補儒), Making the Teaching of the Lord transcend the Confucian ones(天敎超儒) ― can be said to be a meaningful exploration of Chinese Christianism. Chinese Christianism or Confucian Christianism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endencies since the 16th century, and today many scholars try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Confucian Christianity.

장성요(張星曜), 천유관(天儒觀),『천유동이고(天儒同異考)』, 중국적 기독교, 유교적 기독교
Zhang Xingyao, Christian-Confucian relation, Tianru Tongyikao, Confucian Christianism, Chinese Christianism

  • 1. [학술지] 김상근 / 2004 / 서광계의 기독교 신앙과 상제(上帝)에 대한 제한적 이해 / 한국기독교와 역사 (21) : 207 ~ 21 kci
  • 2. [단행본] 이연승 / 2005 / 中國 格義 基督敎 初探―明末淸初 예수회 선교사들을 통하여 본 중국 격의 기독교의 양상, In 중국과 중국학 3 / 영남대학교 중국연구센터
  • 3. [단행본] 서양자 / 2001 / 중국천주교회사 / 가톨릭신문사
  • 4. [단행본] 최소자 / 1987 / 東西文化交流史硏究 / 삼영사
  • 5. [단행본] 劉耘華 / 2005 / 詮釋的圓環 / 北京大學出版社
  • 6. [단행본] 方豪 / 1988 / 中國天主敎史人物傳 / 中華書局
  • 7. [단행본] 孫尙揚 / 1992 / 明末天主敎與儒學的交流和衝突 / 文津出版社
  • 8. [단행본] 李天綱 / 1998 / 中國禮儀之爭 / 上海古籍出版社
  • 9. [단행본] 李天綱 / 1997 / 天儒同異 : 明末淸初中西文化學說述評, In 復旦學報(社會科學版) 3 / 復旦大學
  • 10. [단행본] 張星曜 / 2000 / 天儒同異考, In 明末淸初耶蘇會思想文獻滙編 第37冊 / 北京大學宗敎硏究所
  • 11. [단행본] 張星曜 / 1996 / 欽命傳教約述, In 徐家匯藏書樓明淸天主敎文獻 第3冊 / 方濟出版社
  • 12. [단행본] 肖淸和 / 2007 / 張星曜與『天儒同異考, In 天主敎硏究論輯 4 / 北京天主敎與文化硏究所
  • 13. [학술지] 肖淸和 / 2011 / 靈異故事與明末淸初天主敎的民間化 / 東岳論叢 / 32 (1)
  • 14. [학술지] 韓琦 / 2000 / 張星曜與『欽命傳教約述』 / Sino-Western Cultural Relations Journal / 22
  • 15. [단행본] de Bary, Theodore / 2010 / Sources of Chinese Tradition, Vol.2 / Columbia Univ. Press : 152
  • 16. [단행본] Huang Chun-chieh / 1993 / Norms and the state in China / E. J. Brill
  • 17. [단행본] Mungello, David / 1994 / The Forgotten Christians of Hangzhou / University of Hawaii Press
  • 18. [학술지] Mungello, David / 1976 / The Reconciliation of Neo-Confucianism with Christianity in the Writings of Joseph de Prémare, S.J / Philosophy East and West / 26 (4)
  • 19. [단행본] Standaert, Nicolas / 2009 / 法國國家圖書館明淸天主敎文獻 第8冊 / 臺北利氏學社
  • 20. [단행본] Standaert, Nicolas / 1988 / Confucian and Christian in late Ming China / E.J. Brill
  • 21. [단행본] Standaert, Nicolas / 2001 / Handbook of Christianity in China, Vol.1 / Boston:Brill
  • 22. [인터넷자료] / 儒家基督敎’論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