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University Students’ Perspectives and Voices on L2 Writing in Blended Learning

외국어교육연구
약어 : -
2018 vol.32, no.1, pp.79 - 107
DOI : 10.16933/sfle.2018.32.1.79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연구분야 : 교육학
Copyright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33 회 열람

Blended learning has been applied to L2 writing contexts due to its pedagogical and practical benefits such as providing more writing opportunities and interactive environments. This study aims to explore university students’ perspectives and voices on L2 writing in blended learning.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102 students in academic English writing courses through blended learning. Data collection instruments included a questionnaire, students’ reflective journals, and interview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majority of the students had not experienced the process approach and blended learning before the experiment. Second, the students were interested in online learning and ready for blended learning and autonomous learning. Third, the students positively perceived L2 writing in blended learning in terms of usefulness, helpfulness, satisfaction, and motivation. Last, the students had positive perspectives on explicit writing activities. Based on the findings, pedagogical implications are suggested.

블렌디드 러닝은 더 많은 쓰기 기회 및 상호작용적 환경 제공과 같은 교육적 및 실용적인 장점으로 인해 제2언어 글쓰기 수업에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대학생들의 블렌디드 러닝 환경에서의 제2언어 글쓰기 수업에 대한 인식과 실제적인 견해를 조사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블렌디드 러닝 환경에서 학문적 영어 글쓰기 수업을 수강하는 102명의 학습자들이다. 본 연구의 필요한 데이터 수집을 위하여 설문지, 학습자 성찰 일지 및 인터뷰가 사용되었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학습자들은 과정중심쓰기 수업 및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사전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자들은 온라인 학습에 흥미가 있으며, 블렌디드 러닝 및 자율학습을 위한 준비가 되어 있다고 답하였다. 셋째, 학습자들은 블렌디드 러닝 환경에서 시행되는 영어쓰기 수업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넷째, 학습자들은 본 수업에서 제공된 명시적인 쓰기 활동에 대하여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다. 주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블렌디드 러닝 쓰기 수업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이 제시되었다.

L2 writing, Blended learning, Perspectives, Students’ voices
제2언어 쓰기, 블렌디드 러닝, 학습자 인식 및 견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