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1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부적응 학생의 참여를 위해 개발된 체육수업 프로그램을 적용한 사례를 분석하여 이들의 정서 및 태도가 어떠한 변화의 양상을 나타내는지 관찰하고, 그 결과에 담긴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G도에 위치한 D고등학교 3학년 학생 26명을 대상으로 2015년 8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1회 2시간씩, 주 1회, 16주간 정서변화 체육수업 프로그램과 태도변화 체육수업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질적 사례연구 방법으로 수행된 본 연구에서는 심층면담, 체육수업 활동 자료, 체육교사 수업일지를 자료로 수집하였고, 사례중심분석(case-oriented analysis)에 기반을 둔 사례 내 분석(within-case analysis)의 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울감, 스트레스, 자존감의 정서적 측면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으며 즐거움의 본질 찾기, 인정과 주변의 응원, 다양한 성공의 경험을 위한 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협동심, 배려, 규칙준수의 태도적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으며, 학생중심의 협동분위기, 나와 다름 인정하기, 규칙에 대한 이미지 재구성의 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교부적응 학생을 위해 개발된 체육수업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긍정적인 변화, 소외에서 참여로의 경험, 향후 각 학교현장에 보급 및 적용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으며 건전한 학교문화를 만드는데 기여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ase of an applied physical education program developed for the participation of maladjusted students to examine the emotional and attitude change and to find meaning in the result. For this purpose, 26 students from D high school in G province were selected for participating in PE classes for emotional and attitude change from August 2015 to December 2015 for 2 hours once a week for 16 weeks. In this qualitative case study,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 physical education class activity data, and physical education teacher class journal. Within-case analysis was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ositive emotional changes in terms of depression, stress, and self-esteem, so strategies for finding the nature of pleasure, recognition, and support from others, and experience of various successes were needed. Second, there were positive changes in attitude in terms of cooperation, consideration, and observance of rules, and so strategies for student-centered cooperative atmosphere, recognition of differences with others, and image restructuring for rules were need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erms of positive change, experience of participation from alienation, and dissemination and application to each school in the future by applying the physical education program developed for maladjusted students and by creating a healthy school culture.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Ⅱ. 연구방법
Ⅲ. 학교부적응 학생의 ‘참여’를 위한 정서변화
Ⅳ. 학교부적응 학생의 ‘참여’를 위한 태도변화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57)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8-692-0031132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