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 장안리 (홍익대학교)
  • 성민정 (중앙대학교)
표지
이용수
내서재
0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한국 사회의 구성원들이 급격히 다양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다양성과 포용성에 대한 교육과 논의가 보다 활발히, 심도 있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광고홍보학과 재학생 12명과의 1:1 심층 인터뷰를 통하여 그들이 생각하는 다양성과 포용성이 무엇이며 이와 관련하여 전공 교과과정을 통해 어떤 내용을 학습하였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참여자들은 다양성과 포용성은 ‘틀린 것’이 아닌 ‘다른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머리로는 알지만 실천하기 어렵고 아직 우리 사회에는 부족한 가치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한편 다양성/포용성 제고에 개인적인 접촉 경험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과과정에 있어서는 전공수업에서 예시를 통해 다양성/포용성을 간접적으로 학습하고 있었다. 또한 다양성/포용성은 오늘날 조직과 공중 모두에게 필요한 가치이며, 향후 더욱 관련 교육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앞으로 PR 교육과정에서 다뤄야 할 다양성/포용성 관련 교육 및 확대 방안을 제시한다.

In today’s society, diverse groups of people, including close to 2 million foreigners are co-existing in Korea. As the society is becoming increasingly diverse, PR practitioners are expected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diversity/inclusion and work with stakeholders from various backgrounds. Therefore, diversity and inclusion education in PR undergraduate programs is becoming a necessity in preparing future practitioners. Thus, the current study conducted 1:1 in-depth interviews with PR majors to understand how they make meaning of diversity and inclusion; what they learned from the PR education; and what they expect from the program in terms of diversity/inclusion. Results of the data show that PR majors consider D&I as not a matter of being right or wrong but accepting the differences; that which they understand but find it difficult to implement; and that the society has low level of diversity and inclusion. However, personal contacts has been found to make positive influence on D&I. Findings also show that participants remembered learning about D&I in their program through case studies, and perceived D&I education as a necessity, something everyone needs to learn these days. And more important for PR majors because organizations need to be aware of diverse stakeholders; thus, participates suggested ways in which D&I in their education/department/university could be strengthened. Based on research findings, the current study offers course/program recommendations, discusses implications and topics for future studie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151-24-02-089370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