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2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As far as Chosŏn dynasty concerned, Jongmyo shrine(宗廟) was a symbol of the nation. However, Chosŏn Jongmyo was burned down when the Japanese invasion occurred, and Jongmyo mortuary tablets(神主) were evacuated by government officers and commoners. During evacuation, they overcame many crises and solaced mortuary tablets with performing rituals. Since the termination of the invasion, King Seonjo(宣祖) and government officers discussed about rebuilding of Jongmyo shrine. Some of officers wanted to change the shape of Jongmyo shrine based on ZhuXi(朱熹)’s theory. However, it could not be enforced and construction was not processed immediately cause of financial difficulty and famine. In analyzing this process, we could confirm the changed point of ritual understanding of the later Chosŏn period.

목차

Ⅰ. 서론
Ⅱ. 임진전쟁의 발발과 종묘 신주의 파천
Ⅲ. 한성 환도와 假廟의 성립
Ⅳ. 신묘 재건 논의와 종묘의 낙성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24)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9-905-0003184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