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9.190.220
18.219.190.220
close menu
KCI 등재
19세기 금강산도의 일면 - 개인소장 ‘금강산도 10폭병풍’ 고찰
A study of Ten Panel Folding Screen Painting of Kemgang Mt. in the Nineteenth century of Joseon
고연희 ( Kho Youenhee )
온지학회 2019.01
온지논총 58권 303-338(36pages)
DOI 10.16900/ONJI.2019.58.10.303
UCI I410-ECN-0102-2019-800-001772455

≪금강산도10폭병풍(金剛山圖10幅屛風)≫(개인소장)은 파노라마식 거대화면을 보여주는 구도에 산봉우리의 의인(擬人), 의물(擬物)로의 표현이 세밀한 19세기 금강산도이다. 이 화면의 구도는 금강내산(金剛內山)전도(全圖)의 전통을 계승한 결과이며, 의인, 의물의 산표현은 조선시대금강산 형상화를 주도한 전통의 수용이면서 왕실화원화가들을 거치며 지속된 표현의 적극적 반영이었다. 이 그림은 전통의 구도와 표현을 수용하면서, 19세기에 유행하게 된 왕실용 규모의 대병풍(大屛風) 프레임을 적용하며 거대한 파노라마식 화면을 보여주는 새로운 유형의 금강산도로 탄생하였다. 또한 그림에 적힌 명명(命名) 중 ‘황류담(黃流潭)’은 19세기 중반에 풍양조씨 문인그룹에서 동의하여 사용하기 시작한 이름으로 구칭 ‘황천강(黃泉江)’이나 안동김씨 그룹이 개명한 ‘옥경담(玉鏡潭)’을 거부한 명칭이었다는 점에서 반불가적(反佛家的), 반속(反俗)의 명칭이며 안동김씨의 그룹에 대항하는 태도가 반영되어 있다. 또한 그림 위‘수왕성(首王城)’의 표기는 신라를 기리는 표현으로 조선후기 왕실과 관료학자들이 주장하는 역사관이 부각된 표현이다. 이 작품은 19세기 중반 일군의 관료사회의 요구로 제작된 새로운 프레임과 내용을 담은 금강산도라 할 수 있다. 또한 이를 모사한 병풍의 존재(국립민속박물관 소장)는 이 그림이 일군의 관료그룹에서 거듭 요구되고 제작되었던 정황을 알려준다. 즉 ≪금강전도 십폭병풍≫은 18세기의 금강산도 문화와 결을 달리하는 19세기 학자들의 금강산도 문화를 보여주면서, 아울러 근대기 대형파노라마식 금강산도와의 사이에서 위치를 점하는 19세기 금강산도 일면이다.

Ten Panel Folding Screen Painting of Kemgang Mt. at a private collection which was displayed recently is impressive in its size showing panoramic view of Kemgang Mt. and personified visualizing of almost all the peaks of the mountain. The basic composition and personification are from Korean tradition, but the huge frame of screen making one panoramic view is newly tried in the nineteenth century. At that time, the size and frame of screen after the huge ritual screen painting in the court has been preferred, the sponsors for this screen painting chose the most authoritative form. The written names for the famous spots on the painting reflects the political tendencies of the sponsor of the painting. “Huanglyudam or yellow colored brook” written on this painting is for “hungcheongang which means a yellow river where dead people must cross first. This change of the name is against Buddhism and also a political group, Andong Kim’s family, who already changed “huangchengang” into “Okkyeongdam.” It means that the sponsor for this painting must be a political group associated to the Pungyang Cho’s family who was against the Andong Kim’s family. Besides, there is another similar work to Ten Panel Folding Screen Painting of Kemgang Mt. at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Although the screen at the Folk Museum missed six panels, the remained four panels are almost the same to those of ten panel screen. Through these two similar folding screens, it would be said that there was a new aspect of Kemgang Mt painting by a political group in the nineteenth century.

Ⅰ. 머리말
Ⅱ. 구도 및 표현의 특성
Ⅲ. 명소(名所) 명명(命名)의 특징과 의미
Ⅳ. 모사(摹寫)와 그 의미
Ⅴ.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