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3.151.246
3.133.151.246
close menu
KCI 등재
『북상기』 글쓰기에 나타난 희곡적 특성
Dramatic Characteristics Shown in 『Buksangki』
김미령 ( Kim Miryeong )
온지학회 2017.10
온지논총 53권 41-69(29pages)
DOI 10.16900/ONJI.2017.53.02.941
UCI I410-ECN-0102-2018-800-000645382

『북상기』 작가는 당대 조선 사회가 금하고 있는 금기를 여러 번 깨트린다. 우선 ‘성’에 대한 욕망을 너무도 직설적으로, 그것도 자극적으로 드러냈는가 하면 당대 사회가 금하고 있는 구어체 백화문투를 구사하고, 낯설고 생소한 ‘희곡’이라는 장르를 굳이 선택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북상기』의 희곡적 특성에 집중하여 거기에 담긴 문학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첫째, 『북상기』는 기본적으로 ‘인간의 성에 대한 욕망’을 솔직하게 담아내고 이것을 긍정한 작품이다. 나아가 『북상기』는 당대로서는 상상조차 힘든 파격적인 성문화와 외설적 묘사를 함께 담고 있다. 이는 『북상기』가‘성’에 대한 단순한 긍정을 떠나 ‘성 지상주의’적 시각을 담보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이 지점에서 『북상기』는 기존의 성 담론과는 차별화된다. 이것이 『북상기』가 가진 문학적 의미다. 둘째, 작가는 중국 희곡의 형식 및 특징, 체제에 대해 상당한 수준의 식견을 갖추고 있는 지식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북상기』 작가는 희곡이라는 장르가 가진 장르적 매력을 익히 알았던 인물로, 이러한 희곡적 특성은 작품 곳곳에서 드러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1)익숙한 소재들을 활용한 탄탄한 구조 2)입체적이고 개성적인 인물 설정 3)생동감 있는 구어체와 읽는 재미 4)파격적 어휘와 섬세한 지시문 등의 문학적 전략들이 작품 속에 충분히 구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특징들은 『북상기』 독자의 몰입감을 끌어 올리는 전략적 장치로 유효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북상기』는 희곡의 장점과 판소리 장점을 적절히 혼용해 『북상기』만의 희곡적 특성을 가진 새로운 장르를 개척해 내었다. 공연용은 아니나, 공연용 희곡이 가지고 있는 희곡적 특성과 희곡이 가지고 있는 한계를 판소리가 가지고 있는 장점으로 보완하여 기존의 희곡과 판소리의 한계를 뛰어 넘고, 독자의 읽는 재미를 한층 끌어 올린 작품이 바로 『북상기』인 것이다. 그런 점에서 『북상기』의 문학적 의미는 새롭게 평가받아야 할 것이다.

The author of the 『Buksangki』 broke taboos of the Joseon Dynasty several times. He straightforwardly and provocatively showed desire for sexuality to be restrained from listening and seeing and used 'Baekhwamuntoo,' a colloquial language which was prohibited at that time, obstinately in a strange genre of drama. However, there were only a few studies on 『Buksangki』. Therefore, this study gave a focus on dramatic characteristics of the 『Buksangki』. Especially, it was interesting that the genre of drama was selected for the story. However, specific discussion on dramatic characteristics in 『Buksangki』 has never been made ye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uthor who positively accepted human desire for sexuality described unprecedented sexual culture and pornography which was hard to imagine at that time in 『Buksangki』. This novel has a perspective of sexuality for sexuality's sake beyond simple acceptance of sexuality, which was different from existing discourses on sexuality. Second, it was discovered that the author was an intellectual who had high level of knowledge on styles, characteristics and frameworks on Chinese drama. In particular, he was familiar with the attractive characteristics of drama as a genre and such dramatic characteristics were found in his novel. :1). solid structure using familiar materials; 2). characteristic and multi-dimensional characters; 3). lively and fun colloquial language to read; and 4). exceptional words and detailed directive sentences. He made the use of those literary strategies in his novel. Third, in particular,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author of 『Buksangki』 developed a new genre with its own dramatic characteristics through properly mixed use of advantages of Drama and Pansori. It was not written to perform, but as limitations of drama were supplemented by advantages of Pansori, the limitations were overcome, which gave more fun to read. It is suggested that the literary meaning 『Buksangki』 should be newly considered in this respect.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