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0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주변시 제한유무에 따라 시각탐색과제에서의 반응시간과 뇌파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실험 1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주변시의 차폐유무와 방해자극조건에 따른 시각탐색과제의 반응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주의포착에 관한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자극에 근거하여 시각탐색과제와 몇 가지 유형의 방해자극을 새로이 개발하고, 실험참가자들에게 제시되는 방해자극 조건에 따른 시각탐색과제의 반응시간과 주변시 차폐유무에 따른 시각탐색과제의 반응시간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선명한 방해자극 조건이 선명하지 못한 방해자극 조건보다 시각탐색과제의 반응시간이 빨랐다. 이와 달리 주변시 차폐유무에 따른 시각탐색과제의 반응 시간은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지만 주변시 차폐유무에 따라 집단을 구분하고 방해자극 조건들에서 시각탐색과제의 반응시간을 살펴보면, 모든 방해자극조건에서 주변시를 차폐한 조건의 반응시간이 일관성 있게 빠른 경향성이 나타났다. 실험 2는 시각정보처리가 이루어지는 동안 주변시 차폐 안경의 착용 전후의 뇌 신호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주변시 차폐 안경을 착용한 경우, 뇌의 작업부하 정도가 현저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시각탐색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적절하게 시각장의 범위를 제한하면 주의를 비롯한 개인의 정보처리과정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경험적 증거로 고려할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masking the peripheral visual field has an influence on reaction time and brain waves during visual search tasks. In the first experiment, we examined the effects of masking the peripheral visual field and distractor conditions that increased reaction time to detect target. For this, we devised a visual search task employing well-known characters from various cartoons as distractors consistent with previous research. Results of experiment 1 found reaction time was faster in the condition in which clear distractors were employed than in the blurred distractor condition. Although the effect of masking the peripheral visual field on reaction time was not significant, decreased reaction times were observed in all distractor conditions. In the second experiment, we observed brain wave activity when participants wore the min"s A glasses which produced masking the peripheral range of the visual field. Results of experiment 2 showed that work load of brain activities significantly decreased for participants wearing the min"s A glasses. Consequently, our results provide empirical evidence of the positive effect of properly adjusting the visual field on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during visual search tasks.

목차

1. 서론
2. 실험 1
3. 실험 2
4. 논의
참고문헌

참고문헌 (23)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