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심리사회적 요인을 중심으로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3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주로 산재근로자의 직업복귀에 초점을 두었던 기존연구의 관점에서 삶의 질 향상으로 이동하여, 산재근로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확인하고 이 결과를 토대로 보다 효과적인 개입을 위한 제언을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근로복지공단의 제 1차 산재보험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산재 요양종결 근로자 2,00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산재근로자의 삶의 질 수준은 5점 기준으로 평균 3.256으로 나타났다. 둘째, 산재근로자의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산재 및 사업장 관련 요인에 따른 삶의 질 차이분석을 한 결과, 인구사회학적 요인 중 연령, 배우자유무, 교육수준, 취업상태에 따라 삶의 질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산재요인 중 요양기간, 장해등급, 재활서비스 필요성 정도에 따라 삶의 질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장 요인에서는 근로기간, 근로형태, 월평균임금, 복리후생에 따라 삶의 질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산재근로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주관적 건강상태, 비법정 복리후생, 근로기간, 취업상태, 배우자유무, 재활서비스 필요성 정도, 사회적 지지 순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산재근로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고,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 과제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quality of life (QOL) among injured workers, moving focus from previous studies on vocational rehabilitation to improving the QOL. Using the data from the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Panel of the Korea Workers’ Compensation and Welfare Service Corporation, this study analysed the 2,000 occupationally injured workers who finished medical care.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the level of QOL among the injured workers was slightly higher than the median score. Second, among the democratic facto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QOL by age, marital status, education and employment status. Among the industrial accident facto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QOL by the occupationally injury status and nursing period, degree of rehabilitation needs. And among the workplace facto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QOL by work period, employment status, monthly income, the number of welfare benefits. Third, the factors affecting the QOL among injured workers were self-esteem, self-efficacy, subjective health status, nonlegal welfare benefits, work period, employment status, marital status, degree of rehabilitation needs, and social support.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practic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QOL among injured workers, discusses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목차

초록
1. 문제제기
2. 선행연구 검토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15)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