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접속 기능 우언적 구성의 특성에 대한 연구 - 접속어미와의 교체 여부를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features of periphrastic constructions with conjuctional function

한말연구
약어 : KLR
2022 vol.63, no.6, pp.1 - 21
DOI : 10.16876/klrc.2022.63.6.1
발행기관 : 한말연구학회
연구분야 : 한국어와문학
Copyright © 한말연구학회
1 회 열람

In Korean, conjuctive ending is the typical grammar element that connects clauses. However, some periphrastic constructions work as conjunctive endings and reveal same meaning. This study focuses on the features of periphrastic constructions which have a conjunctional function considering the substitution of conjunctive ending. Based on Korean dictionaries and precedent researches, a list of periphrastic constructions with conjunctional function and conjunctive endings is shown and then investigated to verify whether all periphrastic constructions can replace with conjunctive ending or not.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result, only some of periphrastic constructions can replace conjunctive endings. Periphrastic constructions which can replace conjunctive endings have distinctive properties as following. First, they appear detailed meanings of time and manner. Second, they restrict relation between antecedent clause and following clause. Third, they increase the independence of antecedent clause as contrasted with conjunctive ending. If periphrastic constructions can't change conjunctive endings, it is due to morphological and semantic reasons, which are including conjunctive ending inside but appearing more expanded meaning than that, expressing nonexistent meaning of conjunctive ending, and representing the specified meaning immediately and directly.

접속, 접속어미, 우언적 구성, 절, 문법 기능
conjunction, conjunctive ending, periphrastic construction, clause, grammar function

  • 1. [단행본] 강현화 / 2017 / 담화 기능에 따른 한국어 유사 문법 항목 연구 / 한글파크
  • 2. [단행본] 국립국어원 / 2005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2:용법 편 / 커뮤니케이션북스
  • 3. [단행본] 권재일 / 1985 / 국어의 복합문 구성연구 / 집문당
  • 4. [학위논문] 김수정 / 2019 / 접속 영역의 관점에서 본 국어 접속문 연구
  • 5. [단행본] 김진수 / 1987 / 국어 접속조사와 어미 연구 / 탑출판사
  • 6. [학술지] 김진수 / 1989 / 국어 접속어미의 분류 / 언어연구 / 6 : 79 ~
  • 7. [학술지] 도재학 / 2014 / 우언적 구성의 개념과 유형에 대하여 / 國語學 (71) : 259 ~ 71 kci
  • 8. [학위논문] 박진희 / 2012 / 국어 절 접속의 의미관계 유형에 대한 연구
  • 9. [학술지] 박형진 / 2009 / ‘문법적 연어’에 대한 고찰 / 열린정신 인문학 연구 / 10 (1) : 41 ~ 1 kci
  • 10. [학술지] 백낙천 / 2009 / 국어의 문법화 현상에 대하여 / 한국언어문화 (39) : 241 ~ 39 kci
  • 11. [단행본] 백봉자 / 2006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사전 / 도서출판 하우
  • 12. [단행본] 우형식 / 1996 / 국어문법의 탐구Ⅲ-국어 통사론의 문제와 전망 / 태학사
  • 13. [학술지] 유현경 / 2018 / 기능 중심 한국어 통사론의 모색- 새로운 한국어 문법 체계 정립을 위한 시론 - / 한말연구 (47) : 147 ~ 47 kci
  • 14. [학위논문] 윤평현 / 1989 / 국어의 접속어미에 대한 연구: 의미론적 기능을 중심으로
  • 15. [단행본] 윤평현 / 2005 / 현대국어 접속어미 연구 / 박이정
  • 16. [단행본] 이은경 / 2000 / 국어의 연결 어미 연구 / 태학사
  • 17. [단행본] 이희자 / 2006 / 한국어 학습 학습자용 어미‧조사 사전 / 한국문화사
  • 18. [단행본] 이희자 / 2008 / 한국어 학습 초급용 어미‧조사 사전 / 한국문화사
  • 19. [단행본] 임호빈 / 2009 / 신개정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문법 / 연세대학교 출판부
  • 20. [학술지] 장경희 / 1995 / 국어 접속 어미의 의미 구조 / 한글 / 227 : 151 ~
  • 21. [단행본] 최윤곤 / 2007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구문표현 연구 / 한국문화사
  • 22. [단행본] 최현배 / 1937 / 우리말본 / 정음문화사
  • 23. [학위논문] 한희정 / 2017 / 한국어 교육을 위한 접속 표현 연구
  • 24. [학위논문] 홍혜란 / 2016 / 한국어교육을 위한 복합 연결 구성 연구
  • 25. [인터넷자료] / 고려대한국어사전
  • 26. [인터넷자료] / 연세한국어사전
  • 27. [인터넷자료] / 표준국어대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