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역사 자료 말뭉치의 보완과 활용- 언해 자료를 중심으로 -

Complement and utilization of historical Korean language corpus

한말연구
약어 : KLR
2019 no.53, pp.183 - 218
DOI : 10.16876/klrc.2019..53.183
발행기관 : 한말연구학회
연구분야 : 한국어와문학
Copyright © 한말연구학회
16 회 열람

In this paper, we examined the process of historical Korean language corpus and thought about the limitation of present corpus and future direction. In addition, I have looked at a corner of the process of the Korean lexical system change by examining how the "謗" of the original text has been disputed in various documents as an example of a study using an annotated data corpus arranged side by side with the original Chinese text and the unexamined text. As a way to improve the completeness of the constructed corpus, this paper proposes the following two. The first is to have a physical environment in which anyone who is interested in the document data can access it regardless of the place and the time, and can check the latest version of the corpus text and the high quality picture of the document which is used as the preview directly. The second is to create a system that easily informs the corpus when someone finds an error in the corpus created in the previous environment, corrects corpus after expert review of the collected information, and then periodically updates the corrected corpus. This system should include the release of documents included in the corpus, the retrieval of corpus, and the provision of statistical data. In the future, I hope that a detailed study of the kanji of the original Chinese text and the corresponding vocabulary corresponding to the Chinese text using the parallel corpus of the Korean-translated text will lead to a new chapter in the study of the Korean lexical history.

국어사, 한국어 역사 자료 말뭉치, 한문, 언해문, 병렬 말뭉치
Korean language history, historical Korean language corpus, Chinese sentence, Korean-translated sentence, parallel corpus

  • 1. [단행본] 국립국어원 / 2000 / <표준국어대사전> 편찬 백서 / 국립국어원
  • 2. [단행본] 국립국어원 / 2000 / <표준국어대사전> 편찬 지침 Ⅰ / 국립국어원
  • 3. [단행본] 국립국어원 / 2007 / 21세기 세종계획 백서 / 국립국어원
  • 4. [기타] 국립국어원 / 2014 / 2014년 역사자료 종합 정비 제안 요청서 / 국립국어원
  • 5. [보고서] 김흥규 / 1998 / (1998년) 21세기 세종계획 국어 기초자료 구축 분과 특수자료구축 소분과
  • 6. [보고서] 김흥규 / 1999 / (1999년) 21세기 세종계획 국어 기초자료 구축 분과 특수자료구축 소분과
  • 7. [보고서] 서상규 / 2000 / (2000년) 21세기 세종계획 국어 기초자료구축 분과 특수자료구축 소분과
  • 8. [보고서] 서상규 / 2001 / (2001년) 21세기 세종계획 국어 특수자료 구축
  • 9. [보고서] 서상규 / 2002 / 2002년 21세기 세종계획 국어 특수자료 구축
  • 10. [보고서] 서상규 / 2006 / 2006년 21세기 세종계획 국어 특수자료 구축
  • 11. [보고서] 서상규 / 2007 / 2007년 21세기 세종계획 국어 특수자료 구축
  • 12. [보고서] 임용기 / 2003 / 2003년 21세기 세종계획 국어 특수자료 구축
  • 13. [보고서] 임용기 / 2004 / 2004년 21세기 세종계획 국어 특수자료 구축
  • 14. [보고서] 임용기 / 2005 / 2005년 21세기 세종계획 국어 특수자료 구축
  • 15. [학술지] 장경준 / 2019 / "우리말샘" 어휘 역사 정보의 현황과 개선 방안 / 한국사전학 (33) : 116 ~ 33 kci
  • 16. [학술지] 조남호 / 2000 / <표준국어대사전> 편찬 경과 / 새국어생활 / 10 (1) : 5 ~ 1
  • 17. [보고서] 황선엽 / 2015 / 2015년 역사자료 종합 정비
  • 18. [보고서] 황선엽 / 2016 / 2016년 역사자료 종합 정비
  • 19. [보고서] 황선엽 / 2018 / 2018년 역사자료 종합 정비
  • 20. [보고서] 홍윤표 / 1997 / 21세기 세종계획(국어정보화 중장기 발전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