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특수교육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특수학교 기반 사회정서학습이 지적장애 학생의 사회정서지식, 사회정서 기술 및 또래 간 상호작용에 미친 영향

Effects of Social Emotional Learning Implementedin a Special School on the Social Emotional Knowledge, Social Emotional Skills and Peer Interaction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학교 기반 사회정서학습을 실시하여 지적장애 학생들의 사회정서지식, 사회정서기술 및 또래 간 상호작용에 미친 영향을 밝히는 것이다. 수도권 소재 A 특수학교 실험집단 3개 학급의 지적장애 학생 18명은 한 학기 동안 정규 교육과정의 일환인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에 17회기로 이루어진 중재에 참여하였다. 같은 학교 내 통제집단 3개 학급의 18명 학생들은 원래 선정된 다른 창의적 체험활동에 참여하였다. 중재의 내용은 사회정서적 유능감 3가지 요소와 각각의 하위기술, 선행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의 구성내용, 기본교육과정 바른생활 및 사회과목, 지적장애 학생의 사회적 적응기술의 분석을 통해 추출되었다. 중재 효과에 대한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사회정서지식과 사회정서기술에 대해서는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또래 간 상호작용의 변화에 대해서는 10회기 관찰을 통한 상호작용 하위유형의 발생율과 실험집단 담임교사와의 면담을 통해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실험집단 지적장애 학생들의 사회정서지식과 사회정서기술(자기보고용, 교사용) 총점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 사회정서지식 2가지 하위영역 모두와, 사회정서기술 교사용 평정 4가지 하위영역 중 3개 영역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또래 간 상호작용은 프로그램 참여 후 긍정적 변화가 산출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특수학교 지적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처음 시도한 사회정서학습 중재라는 의의를 가지며, 특수학교 교육의 질 내실화에 관심을 두고 특화된 사회정서학습을 시행하여 지적장애 학생의 사회정서적 능력을 향상시킨 결과를 제시하는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al emotional learning in special schools on social emotional knowledge, social emotional skills and peer interaction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36 students in the fourth, fifth and sixth grades attending special schools. The students were placed into two classes: a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 social emotional learning(SEL) program’s contents were constituted by analyzing previous SEL programs, the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and intellectual disability adaptation behavior. To prove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on the social emotional knowledge and social emotional skill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was appli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trends of behavior changes, positive peer interaction behavior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measured at 10 time points. Additionally, themes on the overall peer interaction behavior changes among students were derived from collected qualitative data based on interviews of three homeroom teacher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f social emotional knowledge and social emotional skills, and positive interaction behaviors among the peer group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increased. In summary,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social emotional learning program may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social emotional knowledge, social emotional skills, and peer interaction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conclusion from this study would propose the need to develop and implement social emotional learning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pecial school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tasks for future studies were identified.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