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한국국학진흥원의 ‘아름다운 이야기할머니’ 사업은 2009년부터 정기적으로 열리고 있는 현대의 대표적 생활현장형 이야기판이다. 이 글의 목적은 이야기할머니 이야기판의 현지 조사를 통해 이야기 연행에 필요한 이야기, 화자, 청중 3요소를 중심으로 이야기할머니 구연 활동의 실제를 파악하고, 이야기꾼으로서의 이야기할머니 연행 양상과 특성을 밝히는 데 있다. 나아가 이야기할머니 구연 활동의 향후 개선방향과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야기할머니 구연 활동은 ‘아름다운 이야기할머니’ 사업단에서 기획하고 제작한 운영 지침에 의해 이루어진다. 구연 활동에 필요한 이야기는 연간 계획에 따라 사업단에서 별도로 제작한 교재에서 매해 구연 목록을 선정하여 제공한다. 최근 3년간 선정된 이야기 목록을 살펴본 바, 문헌에 기록된 선현들의 미담을 다룬 역사인물담 선정 비중이 매우 높았다. 현지 조사를 통해 분석한 이야기할머니 연행 방식은 소통개방형, 오락놀이형, 연기형으로 나타났다. 소통개방형 화자는 지난 이야기 되새기기 단계와 생각 말하기 단계에서 다양한 질문기법을 통해 청중을 이야기판에 참여시켜 화자와 청중의 소통을 적극적으로 유도하였다. 오락놀이형 화자는 본격적인 이야기 구연 전후로 오락성이 가미된 노래와 율동을 삽입하여 청중을 적극적으로 이야기판에 참여시켜 이야기판을 놀이판 양상으로 이끌어 나갔다. 연기형 화자는 다양한 목소리 연기를 통해 청중이 흥미를 갖고 이야기판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였고, 대화 삽입을 통해 서사를 확장해 나갔다. ‘아름다운 이야기할머니’ 사업은 이야기를 통한 조손 세대의 교감과 훈육의 목적을 넘어 이제는 단절되고 사라져가는 전통적인 이야기 구술문화를 회복시키는 구심으로의 역량을 확장시켜 나가야 한다. 따라서 향후 이야기할머니 구연 활동은 이야기판의 3주체인 이야기, 화자, 청중을 중심으로 다음과 같이 이루어져야 한다. 첫째, 화자가 기억하여 구연하기 쉽고, 청중의 상상력을 자극시킬 수 있는 생명력과 전승력을 지닌 구전설화 발굴과 목록 확대가 필요하다. 둘째, 화자가 구연 활동을 통해 개성 있는 이야기꾼으로 성장해 나갈 수 있도록 화자에게 구연의 자율성과 개방성을 확대해야 한다. 셋째, 청중이 이야기판의 한 주체이자 잠재적 이야기꾼으로 성장해 나갈 수 있도록 이야기판에서 청중의 위상을 높여야 한다.

키워드

이야기할머니, 이야기 구연, 조손 세대, 세대 공감, 생활현장형 이야기판, 한국국학진흥원, 이야기 구술문화

참고문헌(19)open

  1. [인터넷자료] / 아름다운 이야기할머니 홈페이지

  2. [단행본] 한국국학진흥원 / 2009 / ① 우리 옛이야기 / 성심 : 1 ~ 164

  3. [단행본] 한국국학진흥원 / 2009 / ② 세계 옛이야기 / 성심 : 1 ~ 194

  4. [단행본] 한국국학진흥원 / 2009 / ③ 우리 이웃의 아름다운 이야기 / 성심 : 1 ~ 203

  5. [기타] 한국국학진흥원 / 2014 / 2014 아름다운 이야기할머니 하반기 월례교육 / 6-11월 교재

  6. [기타] 한국국학진흥원 / 2015 / 2015 아름다운 이야기할머니 상반기 심화교육 / 교재

  7. [기타] 한국국학진흥원 / 2015 / 2015 아름다운 이야기할머니 하반기 심화교육 / 교재

  8. [기타] 한국국학진흥원 / 2016 / 2016 아름다운 이야기할머니 상반기 심화교육 / 교재

  9. [기타] 한국국학진흥원 / 2016 / 2016 아름다운 이야기할머니 하반기 심화교육 / 교재

  10. [학술지] 김미숙 / 2016 / 이야기할머니 활동이 유아의 인성과 노인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7 (1) : 117 ~ 135

  11. [학술지] 김숙희 / 2015 / 세대와 소통하며 시대를 횡단하는 이야기문화의 연행 양상 - (한국국학진흥원의) 이야기할머니를 대상으로 - / 유아교육연구 35 (5) : 53 ~ 69

  12. [학위논문] 박현숙 / 2012 / 설화 구연 전통에 기반한 옛이야기 들려주기 방법 연구

  13. [학술지] 박현숙 / 2015 / 박영만 『조선전래동화집』의 스토리텔링 기법 연구 / 한민족문화연구 49 (49) : 217 ~ 248

  14. [학술지] 박현숙 / 2016 / 현대 이야기판의 구연 양상과 구술문화적 의미 / 구비문학연구 (42) : 227 ~ 269

  15. [학술지] 이민옥 / 2016 / 이야기할머니의 이야기전달능력과 언어교수효능감이 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어린이미디어연구 15 (1) : 75 ~ 99

  16. [단행본] 이복규 / 1999 / 구비문학의 연행자와 연행양상 / 박이정 : 112 ~ 113

  17. [학술지] 이선화 / 2015 / 조손세대 간의 소통 활성화를 위한 <아름다운 이야기 할머니> 양성교육과 활동현황 조사 / 독서연구 (34) : 9 ~ 36

  18. [학위논문] 전성훈 / 2014 / 실버세대가 참여한 스토리텔링 교육의 효과와 영향에 대한 연구 : '아름다운 이야기 할머니 사업'을 중심으로

  19. [학술지] 조정현 / 2015 / <아름다운 이야기할머니> 사업의 의의와 지역문화유산 활용의 전망 / 어문론총 (65) : 119 ~ 150